• 제목/요약/키워드: RFID infrastructur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4초

A Framework for Supporting RFID-enabled Business Processes Automation

  • Moon, Mi-Kyei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712-720
    • /
    • 2011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s an established technology and has the potential,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to significantly reduce cost and improve performance. As RFID-enabled applications will fulfill similar tasks across a range of processes adapted to use the data gained from RFID tags, they can be considered as software products derived from a common infrastructure and assets that capture specific ions in the domain. This paper discusses a framework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RFID-enabled applications based on a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 explicitly representing both commonalities and variabilities. To develop this framework, common activities are identified from RFID-enabled applications and the variabilities in the common activities are analyzed in detail using variation point concepts. Through this framework, RFID data is preprocessed, and thus, RFID-enabled applications can be developed without having to process RFID data. Sharing a common model and reusing assets to deploy recurrent services may be considered an advantage in terms of economic significance and the overall product quality afforded.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RFID 도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Affecting Factor for adopting RFID as a Technology Innovation)

  • 이재범;장윤희;이상철;이학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1-55
    • /
    • 2006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wireless frequency recognitio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o recognize, trace, and Identify people, things and animals using radio frequency. Although current RFID technology can provide wide advantages in many fields, most companies do not consider widely adopting this technology yet. This paper presents RFID implementation as a technology innovation. This research selects three affecting factors of IT infrastructure, fitness of Tag, fitness of Frequency, and one moderator of the power of business partners, on RFID adoption based on innovation model, and then empirical survey is conducted among the companies using RFID technology or planing for RFID adop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ree affacting factors and one moderator factor. Reserachers can find the direction to activate RFID technology as a competitive advantage.

RFID 비즈니스 이벤트의 생성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A Simulation Model for the Creation of RFID Business Events)

  • 류우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609-2614
    • /
    • 2013
  • 물류, 의약품, 병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RFID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RFID의 도입을 위해서는 EPC정보서비스(EPCIS)등과 같은 핵심 RFID S/W의 성능 및 적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때 다양한 종류의 비즈니스 이벤트 데이터셋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RFID 응용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접근방법을 통해 보다 실제와 유사한 RFID 비즈니스 이벤트 데이터셋을 생성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페트리넷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RFID 환경에 대한 유연한 표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실제 RFID 환경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함에 따라 RFID 도입여부 검토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RFID 표준특허 데이터 분석을 통한 RFID 기술 동향 (Analysis of RFID Standard Patent Data for RFID Technology Trends)

  • 노승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85-190
    • /
    • 2014
  • RFID 기술은 RFID 통신,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그리고 정보 처리 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융합 기술이다. RFID 기술은 사용자의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 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 사회의 기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RFID 기술에 대한 조기 개발 및 표준화 노력을 경주하여, 기술 주도권 확보와 함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FID 표준과 관련이 있는 국제 표준화기구(ISO, IEC, ITU)에 선언된 RFID 표준특허 데이터를 분석하여 RFID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2013년 6월 기준으로 RFID 기술 관련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국제 표준화기구인 ISO, ISO/IEC JTC1, ITU-T에 선언된 표준특허 906건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RFID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이론 관점에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FID Diffusion: In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Diffusion Theory)

  • 장성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73-18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RFID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혁신 확산이론과 RFID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은 RFID를 도입한 73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준화, 정보시스템 하부구조는 RFID 통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이점, 조직간 협업, 경쟁적 압력은 RFID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FID 통합은 RFID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RFID의 확산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 RFID 기술 표준화 활동 및 전략 (Mobile RFID Technology Standardization Activities and Strategy)

  • 오세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698-1707
    • /
    • 2011
  • 모바일 RFID 기술은 RFID 통신,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그리고 정보 처리 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융합 기술이다. 모바일 RFID 기술은 사용자의 주변 사물에 대한 정보 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 사회의 기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모바일 RFID 기술에 대한 조기 개발 및 표준화 노력을 경주하여, 기술 주도권 확보와 함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RFID 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활동 및 현황을 정리하고, 주요 표준화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제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모바일 RFID 표준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RFID/USN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XML 기반 정보 관리 시스템 (XML-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RFID/US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 한기덕;조이현;권혁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51-1354
    • /
    • 2006
  • 최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개발과 응용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RFID 기술 및 USN기술은 미래 핵심기술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든 산업에 접목하여 새로운 정보화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은 RFID Middleware가 구축되었다는 가정 하에 RFID/USN 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 및 RFID/USN 기술 중 RFID/USN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소개, 역할 및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 PDF

안전한 모바일 RFID 서비스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통합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Integration Framework for Secure Mobile RFID Service Network)

  • 박남제;정교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3-64
    • /
    • 2008
  • The mobi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new application to use mobile phone as RFID reader with a wireless technology and provides new valuable services to user by integrating RFID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 infrastructure with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However,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oncerns, and even some resistances, related to consumer tracking and profiling using RFID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ecurity analysis and implementation leveraging globally networked mobile RFID services which complies with the Korea's mobile RFID forum standard.

  • PDF

Evaluation for cargo tracking systems in railroad transportation

  • Park, Nam-Kyu;Kim, Joo-Young;Choi, Woo-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3호
    • /
    • pp.239-244
    • /
    • 2008
  • Cargo tracking issue on train transportation is challenging area because of long distance haulage, theft, terror attack and customer service. This paper aims at evaluating various cargo tracking systems in terms of cost and technology. The contents of this paper consist of the research trend of cargo tracking system in the railroad transportation and reviewing of technical alternatives in cost and service side. GNSS and RFID are reviewed as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Internet and Satellite technology like INMASAT and Low Earth Orbit are also reviewed a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is paper selects cost and service factors in two alternatives of GNSS-Satellite and RFID-Internet, among GNSS-Internet, GNSS, Satellite, RFID-Internet, RFID-Satellite and evaluate each alternative in terms of cost and service. In a result, in terms of cost, RFID-Internet type is superior to GNSS-Satellite type, but in service GNSS-Satellite type is preferred to RFID-Internet in point of area coverage and service coverage.

휴대단말 기반의 비즈니스 응용을 위한 UHF/HF 듀얼밴드 통합 모바일 RFID와 NFC의 연동 방안 (UHF/HF Dual-Band Integrated Mobile RFID/NFC Linkage Method for Mobile Device-based Business Application)

  • 박남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841-851
    • /
    • 2013
  • 모바일 RFID/NFC 연동기술이란, 900 MHz 기반의 모바일 RFID 리더와 NFC 리더/태그를 하나의 SoC로 개발하여 USIM 카드에 탑재함으로써 현존하는 2가지 모바일 RFID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NFC기술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RFID 기술과 관련 표준을 분석하여 NFC 기술과의 연동 가능성을 파악하고 연동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연동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듀얼태그의 도입과 코드체계의 연동을 통해 기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연동방안을 제안하였고 연동방안의 연동 요구사항 만족 여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 연동 환경 구축에 필요한 새로운 표준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