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BOUND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4초

돼지 위저부 평활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eurotransmitters in porcine gastric fundus)

  • 김태완;나준호;이장헌;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9-128
    • /
    • 1997
  • The relaxation of gastric fundus smooth muscles is the primary physiological event which induces the receptive relaxation of monogastric animals. L-arginine/Nitric oxide(L-arg/NO) system is known to mediate the inhibitory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neurotransmission in various tissues including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s. The longitudinal smooth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showed fast relaxation during electrical field stimulation(EFS) and rebound contraction after EFS in NANC condition. So,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elucidation of the neurotrasmitters related to the NANC relaxation and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NANC relaxation and L-arg/NO system. The longitdinal smooth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were hung in the organ bath and under the presence of guanethidine($5{\times}10^{-5}M$), precontraction was induced by carbachol($1{\times}10^{-6}M$). The muscle responses to EFS and drugs were isomerically recorded. The ru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ongtudinal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showed frequency-dependent relaxation and rebound contraction to electrical field stimulaton(1ms, 8V, 1~16Hz, 20sec, EFS). These responses were blocked by tetrodotoxin($1{\times}10^{-6}M$). 2. The relaxation and rebound contrac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to EFS were inhibited by L-NAME($2{\times}10^{-5}M$). The inhibitory effect of L-NAME was antagonized by L-arginine($1{\times}10^{-3}M$), but not by D-arginine($1{\times}10^{-3}M$). 3. Exogenous NO($NaNO_2$, $1{\times}10^{-5}{\sim}1{\times}10^{-4}M$, pH=2.0) caused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as EFS did. 4. Methylene Blue($2{\times}10^{-5}M$), a soluble guanylate cyclase inhibitor, inhibited the relaxation and rebound contrac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induced by EFS, but N-ethlmaleimide, a adenylate cyclase inhibitor, did not. 5. 8-Br-cGMP($1{\times}10^{-6}{\sim}3{\times}10^{-6}M$), permeable cGMP analogue, induced dose-dependent relaxation. but 8-Br-cAMP($1{\times}10^{-6}{\sim}3{\times}10^{-6}M$), permeable cAMP analogue, did not. Both did not evoked rebound contraction. 6. ${\alpha}$-chymotrypsin did not affect the relaxa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7. Reactive blue 2($1{\times}10^{-4}M$, 40min) siginificantly inhibited the rebound contraction induced by EFS and inhibited contraction caused by exogenous ATP($1{\times}10^{-4}{\sim}1{\times}10^{-3}M$). These results suggests that NANC relaxa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s of porcine gastric fundus mainly mediated by NO and the rebound contraction is related to NO and other neurotransmitters.

  • PDF

기반암 하상 미지형과 슈미트 해머 반발 값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midt Hammer's 'R' and bedrock microforms)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69
    • /
    • 2012
  • 암석의 물리적 강도는 침식의 저항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어 왔다. 포트홀과 그루브와 같은 암식 미지형은 기반암 하상 하천에서 차별적 침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형적인 지형으로 암석의 강도와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전통적인 지형학 연구에서 슈미트 해머는 암석의 강도를 현장에서 추정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암석의 반발 강도와 암석의 미지형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청송의 길안천 중류에 위치하는 백석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암으로 된 연구 지역의 전반적인 암석의 반발 강도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65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모두 극경암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반발 강도의 공간적 분포로 보면 하천의 하상에서 외곽으로 가면서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복상의 높은 지점이 반드시 다른 지점에 비하여 높은 반발 강도를 지닌 것은 아니었다. 동일한 암석인 경우 미지형이 잘 발달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암석 강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미지형의 내부와 외부에 있어서의 반발 강도의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단, 역암의 경우 내부의 자갈 부분은 사질 부분에 비하여 반발 강도도 크고, 주위에 비하여 돌출하여 있었다. 지질학적 취약선에 1cm 이내로 근접한 부분에 있어서는 암석의 강도가 급격히 낮아져 침식의 시작 지점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도 암석의 강도 차이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약선의 방향이 침식의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도법과 초음파속도법의 최소시험횟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Number of Rebound Number Test and Pulse Velocity Method for Estimating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이문환;채창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833-840
    • /
    • 2004
  • 비파괴 검사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법 중에서 반발도법과 초음파 속도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파괴 강도 시험법은 대부분이 외국의 시험법을 적용하고 있어서 국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반발도법의 경우, 일본건축학회 등의 제안에 자라 20개의 타격점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표준편차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초음파 속도법에 의한 시험은 압축강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측정횟수의 규정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이검증을 이용하여 비파괴 검사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타격횟수의 신뢰도를 검토하고 최소시험 횟수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반발도법과 초음파 속도법으로 추정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값이 만족할 만한 신뢰범위에 들기 위한 최소시험횟수는 각각 11회와 7회로 분석되었다. 다만, 실구조물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이상치의 결측처리와 시험군의 격자 배열을 전제로 한다면, 반발도법은 국내의 관행에 따라 20회로, 음파 속도법은 9회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Evaluating the pull-out load capacity of steel bolt using Schmidt hammer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 Saleem, Muhamma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5권5호
    • /
    • pp.601-609
    • /
    • 2018
  • Steel bolts are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a large variety of applications that range from fixing permanent installations to temporary fixtures. In the past much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destructive testing techniques to estimate their pull-out load carrying capacity with very little attention to develop non-destructive techniques. In this regards the presented research work details the combined use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and Schmidt hammer tests to identify anchor bolts with faculty installation and to estimate their pull-out strength by relating it to the Schmidt hammer rebound value. From experiment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load capacity of bolt depends on its embedment length, diameter, bond quality/concrete strength and alignment.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is used to judge the quality of bond of embedded anchor bolt by relating the increase in ultrasonic pulse transit time to the presence of internal pours and cracks in the vicinity of steel bolt and the surrounding concrete. This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Schmidt hammer rebound number, R, can be used to accurately identify defective bolts which resulted in lower pull-out strength. 12 mm diameter bolts with embedment length of 70 mm and 50 mm were investigated using constant strength concrete. Pull-out load capacity versus the Schmidt hammer rebound number for each embedment length is presented.

P형 슈미트햄머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에 관한 검토 (An Investigation on Estimati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by P Type Schmidt Hammer)

  • 김기정;이용성;이백수;윤기원;최영화;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1-15
    • /
    • 2002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for a quality control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curing specimen increases in proportion to age, but that of air curing specimen hardly increases after 28 days.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however, increases due to carbonation of concrete in air curing specimen.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rebound valu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s very favorable in the case of standard curing specimen, but drops remarkably in the case of air curing specimen. Thus, as application of age coefficient is required for exact estimati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age coefficient i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age coefficient of P type schmidt hammer is higher at the age of 3 and 7days, and drops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age of 28days. And it is lower before 28days than that of N type schmidt hammer suggested in Japan, and shows the similar tendency after 28days.

  • PDF

NATM 산악터널의 숏크리트 투입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ual Quantity of Shotcrete Sprayed in a NATM tunnel)

  • 이철주;김성윤;김동건;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57-64
    • /
    • 2009
  • This study has analysed actual overbreak, shotcrete rebound and the ratio between the actual quantity of shotcrete to designed shotcrete measured during a NATM tunnel construction. The measured shotcrete rebound was about 7.2% in average which was about half the allowable rebound (15%), showing shotcrete spraying was performed well.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xcavated tunnel shape, average overbreak was about 28.5cm after tunnel excavation by drill and blasting method. This was about 260% of allowable overbreak. In addition, due to the rebound and overbreak actual amount of shotcrete used in the tunnelling work was about 116.5 % of the designed value. According to the field measurement the ratio of actual shotcrete to designed value showed some relation with standard support pattern, but the size of overbreak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 support pattern. Hence current design specifications stating the size of overbreak based entirely on standard support pattern should perhaps be reestablished. The insight into the design guideline regarding overbreak and shotcrete.

  • PDF

자동차 쇼크 업 소버용 피스톤과 리바운드 1체형 소결부품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tered monolithic component of piston and rebound for automobile shock absorber)

  • 임태환;장태석;엄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5-68
    • /
    • 2004
  • 피스톤(piston)과 리바운드(rebound)를 1체형 소결품으로 제조하기 위하여는 후가공시 발생하는 홀(hole)부분의 막힘 현상, 홀 부분의 치수 편차 현상, 가공 응력 집중에 의한 부품 모서리(edge)부의 크랙 발생 현상 둥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형체 및 소결체의 밀도 평가, hole 부분의 조직 평가(홀 내부 단차, 홀 내부의 버(burr) 발생 및 홀 크기), 소결체의 감쇠력 및 내구성 평가 등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성형에서 발생하는 크랙, 홀 내부의 단차, 홀 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PDF

반발 경도법 및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압축강도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Using Rebound Method and Impact Echo Method for the Comparis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lab)

  • 홍성욱;조영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최근 구조물이 노후화되면서 기존 구조물과 시공품질을 관리하는 비파괴검사 평가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추정의 중요성이 건설업계에서 또한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시공관리와 품질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법 중 슈미트해머 시험과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슈미트해머에 의한 반발경도 값과 충격반향기법 실험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내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반발경도 값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확장형 VLSI 리바운드 정렬기의 설계 (Design of an Expandable VLSI Rebound Sorter)

  • 윤지헌;안병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433-442
    • /
    • 1995
  • 시간 복잡도가 O(Ν)인 고집적 회로(VLSI)의 병렬 정렬기 설계에 관한 논문이다. 발표된 빠른 VLSI 정렬 알고리즘은 Ν개의 데이타를 정렬하기 위해 O(log Ν)시간 복 잡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고리즘은 입출력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복잡 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므로 확장이나 실용화하기 힘들다. 입출력 시간이 포함된 병 렬 정렬 알고리즘들의 칩면적과 시간 복잡도를 분석한 후 가장 효과적인 rebound sort 이론을 확장하여 VLSI로 구현한다. 이 리바운드 정렬기는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여 O(Ν)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한 개의 칩에 8개의 16비트 레코드를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렬 칩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어 수직으로 연결할 경우 8개 이상의 레코드 를 정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