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CP 시나리오

Search Result 38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valuation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inflow to Chungju Dam by user-centered selection of GCM and downscaling method (사용자 중심의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에 따른 충주댐 유입량 기후변화 영향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Park,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25
    • /
    • 2018
  • 본 연구는 충주댐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댐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목적에 접합한 GCM 및 상세화 기법 선정을 위한 절차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가 유입량의 재현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편이보정 전의 29개 원시 GCM에 대한 강수량 및 기온의 순단위 시 공간적 재현성 평가를 통해서 상위 16개 GCM을 선정하였다. 이후 상세화 기법을 선정하기 위해서 유입량 전망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총강수량(prcptot) 및 일최대강수량 (rx1day)을 기후지수(Climate Indices)로 선정하였다. 상세화 기법은 과거기간의 재현성이 평가, 미래기간 시그널 왜곡도 평가, 공간상관성에 대한 재현성 평가를 통해 SQM 기법을 선정하였다. 제한적인 기후변화 전망 자료를 고려하여 과거 30년 기간에 대한 모의결과 월단위 모형효율지수(ME) 및 결정계수 ($R^2$)는 모두 0.92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GCM 선정에 따른 오차는 원시 GCM을 통해 선정된 16개 GCM을 사용한 경우 유입량 재현성 평가에 있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상세화 자료를 유역 모델링에 활용하는 경우 GCM의 선정보다는 상세화 기법의 선정이 전체적인 재현성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기간에 대한 평균 유입량 전망은 모든 RCP 시나리오에서 근 미래 보다는 중간 및 먼 미래 기간 동안에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미래 기간에 대해여 RCP 8.5 시나리오가 RCP 4.5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유입량의 증가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홍수 관리측면에서 중요한 일 최대 유입량의 미래 변동은 평균 유입량과 비교하여 최대 두 배 이상의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댐운영 측면에서는 연간 총 유입량의 변화보다 시기별 유입량의 변동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균 유입량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근 미래 기간에 대해서는 RCP 시나리오 모두 7월 및 8월을 중심으로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중간 미래에서 먼 미래로 갈수록 평균 및 일단위 최대 유입량 모두 전체 기간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limate Aridity/humidity Characteristics in Seoul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Based on RCP 4.5 and 8.5 (RCP 4.5와 8.5에 따른 기온 및 강수량변화를 반영한 서울 기후 건조/습윤특성)

  • Rim, Chang-Soo;Kim, Seong-Y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5
    • /
    • pp.421-433
    • /
    • 2014
  • In this study, monthly and annual aridity indices which are the ratios of precipitation to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Seoul climate measurement station were analyzed for past 50 years (1961~2010), and the ratio of aridity index simulated by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4.5 and 8.5) for each future period (2011~2040, 2041~2070, 2071~2100) to aridity index for the past period (1971~2000) was analyzed. Furthermore, 5 different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s (FAO P-M, Penman, Makkink, Priestley-Taylor, Hargreav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 on estimating aridity index and aridity index variation ratio (%).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monthly precipitation, average temperature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increased in each future period as compared to past period for both RCP 4.5 and RCP 8.5. Furthermore, winter period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than summer period, but aridity index showed different patterns as compared with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reflecting the influence of precipi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preparation for the increment of winter evapotranspiration in terms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monthly and annual aridity indices based o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greatly different according to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s; however, monthly and annual patterns of aridity index variation ratio (%) in the future period as compared to past period were very similar regardless of appli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 Ko, Sung Yoon;Sung, Joo Han;Chun, Jung Hwa;Lee, Young Geun;Shin, Man 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6 no.1
    • /
    • pp.72-8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is, site index equations by ecoprovinces were first developed using environmental factors. Using the large data set from both a digital forest site map and a climatic map, a total of 48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19 climatic variables were regressed on site index to develop site index equations. Two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4.5 and RCP 8.5, were then applied to the developed site index equ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pinus densiflora were predicted from 2020 to 2100 years in 10-year interval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pinus densiflora generally decreases as time pass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is different over time under two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RCP 8.5 which is more extreme climate change scenario showed much more decreased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than the RCP 4.5.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on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over time for pinus densiflor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olicies of suitable species on a site.

Predicting the amount of water shortage during dry seasons using deep neural network with data from RCP scenarios (RCP 시나리오와 다층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가뭄시 물부족량 예측)

  • Jang, Ock Jae;Moon, Young 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2
    • /
    • pp.121-133
    • /
    • 2022
  • The drought resulting from insufficient rainfall compared to the amount in an ordinary year can significantly impact a broad area at the same time. Another feature of this disaster is hard to recognize its onset and disappearance. Therefore, a reliable and fast way of predicting both the suffering area and the amount of water shortage from the upcoming drought is a key issue to develop a countermeasure of the disaster. However, the available drought scenarios are about 50 events that have been observed in the past.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event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water shortage in a case where the pattern of a natural disaster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the past. To overcome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four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to the water balance model and the annual amount of water shortage from 360 drought events was estimated. In the following chapter, the deep neural network model was trained with the SPEI values from the RCP scenarios and the amount of water shortage as the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The trained model in each sub-basin enables us to easily and reliably predict the water shortage with the SPEI values in the past and the predic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the upcoming season. It can be helpful for decision-makers to respond to future droughts before their onset.

Analysis of Drought Hotspot Areas Using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공간연관성 지표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가뭄 핫스팟 지역 분석)

  • Son, Ho-Jun;Byun, Sung Ho;Park, Kyung Woon;Kim, Ji Eu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2
    • /
    • pp.175-185
    • /
    • 2023
  • As drought risk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various research works are underway around the world to respond to drought so as to minimize drought damage.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are focused on analyzing regional patterns of drought in a comprehensive manner,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to quantitatively identify drought-risk areas in a large river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Korea.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_SPI) as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and performe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drought hotspot reg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of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and RCP 8.5. The SPI was calculated by estimating parameters for each observation station within the study area, whereas the M_SPI was calculated by estimating parameters for the entire study area. It is more reasonable to use the M_SPI for assessing meteorological drought from an overall perspective within the study area. When the M_SPI was used, long-term droughts showed drought hotspot areas clearly larger than short-term droughts. In addition, the drought hotspot area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Nakdong River basin to the Seomjin River basin over time. Especially, the moving patterns of the short-term/long-term drought were apparent under the RCP 4.5, whereas the moving patterns of the long-term drought were distinct under the RCP 8.5 scenarios.

Estimation of groundwater content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

  • Choi, Gwang Bok;Park, Ki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3-273
    • /
    • 2021
  • 기후변화는 미래세대의 문제뿐만 아니라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매우 심각한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OECD 환경전망 2050 보고서를 비롯한 많은 연구에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경고하고 있다. 평균기온 상승은 강우패턴의 변화를 일으켜 극한기후상황인 가뭄, 폭염, 홍수 등의 증가로 이어지며,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981년~2010년 1.2℃ 상승 했으며, RCP8.5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경 4.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열대야일수, 폭염일수, 여름일수와 같은 극한지수가 증가하고 강수량 변동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며, 가뭄관련 최대무강수 지속기간도 길어지며, 극심한 물부족이 예상된다. 따라서 가뭄 재해를 대비하고, 지하수의 활용에 대한 계획 수립에 바탕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기간 동안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예측은 IPCC 대표농도경로 RCP2.6, RCP4.5, RCP6.0, RCP8.5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청의 미래 기후전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주지역의 2021년~2100년 까지의 평균기온, 강수량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유역의 도시개발계획을 조사하고 장래 토지피복도를 추정하여 SWAT모형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보정 및 모델링을 실시하여 장래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 PDF

Projection and Analysis of Futur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East Asia Region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 (RCP 기반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온 및 강수량 변화 분석)

  • 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78-578
    • /
    • 2015
  • 동아시아 지역의 대부분은 몬순의 영향으로 인해 수자원의 계절적 변동성이 크며 이로 인해 홍수 및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는 수자원의 변동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수재해 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를 전망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MIP5의 핵심실험인 2개 RCP시나리오(RCP4.5, RCP8.5)에 대한 다수의 GCMs 결과를 이용하였다. 구축한 기후시나리오를 이중선형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상세화하였으며, Delta method를 이용하여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GCM 모의자료의 편의를 산정하기 위해 관측자료는 APHRODITE의 기온 및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GCM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적으로 100~300mm 정도 과소모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을 위해 과거기간은 1976~2005년, 미래기간은 2021~2050년(2040s), 2061~2090년(2070s)으로 구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RCP 4.5 하에서 연평균기온은 $1.4{\sim}1.7^{\circ}C$(2040s), $2.2{\sim}3.4^{\circ}C$(2070s) 정도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4.6~5.3% (2040s), 8.4~10.5% (2070s) 정도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RCP 8.5에서는 연평균 기온은 RCP4.5에 비해 상승폭이 더 컸으며, 강수량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연평균 강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로 계절별 기온 및 강수량이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시아 지역과 같이 계절별 강수량 발생패턴이 다른 지역에서는 홍수 및 가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계절별 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유출량 모의를 기반으로 홍수 및 가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분석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mpact on hydrologic behavior in Anseong-cheon Gongdo urban-growing watershed (미래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안성천 공도 도시성장 유역의 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 Kim, Da Rae;Lee, Yong Gwan;Lee, Ji Wan;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2
    • /
    • pp.141-15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ture hydrologic behavior affected by th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upstream of Anseong-cheon watershed ($366.5km^2$) using SWAT. The HadGEM3-RA RCP 4.5 and 8.5 scenarios were used for 2030s (2020-2039) and 2050s (2040-2059) periods as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It was shown that maximum changes of precipitation ranged from -5.7% in 2030s to +18.5% in 2050s for RCP 4.5 scenarios and th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1.8^{\circ}C$ and $2.6^{\circ}C$ in 2030s RCP 4.5 and 2050s 8.5 scenarios respectively based on baseline (1976-2005) period. The future land uses were predicted using the CLUE-s model by establishing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The 2050 urban area were predicted to increase of 58.6% (29.0 to $46.0km^2$).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14 years (2002-2015) of daily streamflow with 0.86 and 0.76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NSE) for stream flow (Q) and low flow 1/Q respectively focusing on 2 drought years (2014-2015) calibration. For future climate change only, the stream discharge showed maximum decrease of 24.2% in 2030s RCP 4.5 and turned to maximum increase of 10.9% in 2050s RCP 4.5 scenario compared with the baseline period stream discharge of 601.0 mm by the precipitation variation and gradual temperature increase. While considering both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the stream discharge showed maximum decrease of 14.9% in 2030s RCP 4.5 and maximum increase of 19.5% in 2050s RCP 4.5 scenario by the urban growth and the related land use changes.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e future land use factor might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having high potential urban growth within a watershed in the future climate change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