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264.7 Cell Line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2초

분비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에 의한 HeLa Cell Line의 증식억제 효과와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된 Nitric Oxide 생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n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Formation in RAW264.7 and on the Proliferation of HeLa Cell Lines by the Stem Bark Extracts of Abies nephrolepis)

  • 배기은;정한수;김동섭;최영웅;김영숙;김영균
    • 생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1
    • /
    • 2009
  • Abies nephrolepis(Pinaceae) extracts were tested for determined immune system regulating activity based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on HeLa cell line. The A. nephrolepis extracts increased dose-dependently anti-proliferation of HeLa cell line. The DM fraction of the extracts having anti-proliferatative effects of HeLa cell line was fractionalized four subfractions($D1{\sim}D4$). Inflammation-induced NO production was inhibited by D2 and D4 in LPS-activated RAW264.7 macrophages. And also, this fraction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exa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use of DM fraction of A. nephrolepis in chemoprevention and regulation overproduction of NO on pathogenic conditions. The mechanism of the inflammatory effects, however, must be evaluated through various parameters in the induction cascade of NO production.

종자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Seed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김윤숙;하상근;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1-1676
    • /
    • 2012
  • 9 종류의 종자 중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NO 생성능이 높은 메밀, 민들레, 봉선화, 해바라기 4종의 종자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4종의 종자 추출물이 RAW 264.7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 활성능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다. 4종의 종자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자 추출물을 섭취하였을 때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자극이 있기 이전에 체내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cytokine 등의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포주를 이용한 군소 다당류와 Glycosaminoglycan의 기능성 검색 (Screen of Functional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Glycosaminoglycan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by Cell Line)

  • 홍유미;박시향;윤보영;최병대;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4-19
    • /
    • 2011
  • 군소에서 정제한 GAG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NO 생성량, TNF-$\alpha$, IL-6 생성량을 증가시켜 면역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00{\mu}g$/mL 농도에서 배양 72시간 후 약 40%에 가까운 위암세포(AGS)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정상세포 IEC-6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면역조절을 위한 기능성식품 혹은 위암 치료제로서 군소의 당 추출물과 GAG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Effect of Bifidobacterium Cell Fractions on IL-6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Lee, Byung-Hee;Ji, Geun-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40-744
    • /
    • 2005
  • Bifidobacterium has been previously shown to potentiate immune function, which was mediated through the stim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by macroph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urther characterize the effective component of Bifidobacterium by measuring the level of interleukin (IL)-6 cytokine using the RAW 264.7 murine cell line as a macrophage model.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for 24 h in the presence of whole cells (WCs), cell walls (CWs), and cell-free extracts (CFEs) from various strains of Bifidobacterium and other lactic acid bacteria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most effective compon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ains and the concentrations used. When tested with each cell fraction from Bifidobacterium sp. BGN4, heat treatment of the cell fractions lowered the production of IL-6. Synergistic effect was obtained, especially when CWs and CFEs were combined. Sonicated WCs stimulated IL-6 production more than intact WCs. The in vitro approaches employed here should be useful in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Bifidobacterium on gastrointestinal and systemic immunity.

생약 추출물의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면역증강 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 of Medicinal Herb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최인욱;박용곤;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21-1527
    • /
    • 2012
  • 본 연구에서 12종류의 생약재 중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NO 생성능이 높은 감초, 건지황, 당귀, 도라지, 목천료 5종의 생약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5종의 생약추출물의 성분을 실험한 결과 단백질, 다당 물질의 함유량이 감초(58.1%), 건지황(90.4%), 당귀(87.4%), 도라지(41.3%), 목천료(85.7%)로 대부분 고분자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약추출물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활성능 관련 지표를 측정한 결과 5종의 생약재를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자 물질인 단백질과 다당으로 이루어진 생약추출물을 섭취 시 외부로부터 침입한 항원이 들어오기 이전에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AW 264.7 세포에서 지모(知母)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nemarrhenae Rhizoma 80% Ethanol Extract in RAW 264.7 cells)

  • 이영근;김청택;최학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7-103
    • /
    • 2017
  • Objective : According to recent studies, Anemarrhenae Rhizoma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W extract, but it hasn't not yet conducted to evaluate inflammatory factors about 80% ethanol extrac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effects of individual or combined 80% ethanol extract of Anemarrhenae Rhizoma on cell viability and various anti-inflammatory factors. Methods :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was prepared with 80% ethanol. MTT assay, ELISA, and Luminex were performed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 line to measure cytotoxicity, Nitric oxide (NO), cyclooxygenase-2 (COX-2), prostaglandin E2 ($PGE_2$), Leukotriene B4 ($LTB_4$), and cytokines ($IL-1{\beta}$, IL-6, and $TNF-{\alpha}$), respectively. Results : At concentration of $200{\mu}g/m{\ell}$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RAW 264.7 cells. However, at concentration less than $100{\mu}g/m{\ell}$ of Anemarrhenae Rhizoma,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in RAW 264.7 cells. All concentration of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showed no difference of NO, and $IL-1{\beta}$level in RAW 264.7 cell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ontrast, at concentration of $100{\mu}g/m{\ell}$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COX-2, PGE2, and $LTB_4$ level in RAW 264.7 cell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alpha}$)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concentration of all or 10, and $100{\mu}g/m{\ell}$,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nemarrhenae Rhizoma has inhibitory effect on inflammatory mediators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showing possible developed as a raw material for new therapeutics to ease the symptoms related with inflammatory.

삼채(三菜) 물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항산화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water extracts in RAW 264.7 cells)

  • 이상수;한효상;유자연;남명수;김기광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7-43
    • /
    • 2020
  • Objectives : Allium hookeri is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remedy and its root use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tumor. However, the mechanism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is still unknow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chanism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on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Methods : Anti-oxidant effect of water extract of Allium hookeri (WEAH) was measured b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 3- (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MTS)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AH on cell viability in RAW 264.7 cells. In additi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WEAH was investigated in RAW 264.7 cells. Inflammation of RAW 264.7 cells induced by lipopolysarccharide (LPS) treatment and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1 β (IL-1β) and interleukin 6 (IL-6) gene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 (qRT-PCR) analysis. Furthermore, the phosphorylation of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IκBα) after LPS treatment with WEAH-treated RAW 264.7 cells was confirmed by immunoblot analysis. Results : WEAH showed a strong anti-oxidant effect and no cytotoxicity to RAW 264.7 cells up to 2 mg/㎖ concentration. The LPS-induced mRNA expression levels of IL-1β and IL-6 were decreased by WEAH treatment. Furthermore, the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IκBα is attenuated by WEAH treatment. Conclusions : Through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EAH, we suggest that Allium hookeri is a valuable materia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dDNA array를 이용한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탐색 (IDENTIFICATION OF GENES INVOLVED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CDNA ARRAY ANALYSES)

  • 조영준;이장희;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8-284
    • /
    • 2002
  • RAW 264.7과 이것이 분화한 파골세포양 세포에서 파골세포 분화관련유전자의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cDNA array 방법을 사용하였다. 1176 cDNA spot grid가 있는 Mouse Atlas cDNA array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역전사 효소 중합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cDNA array 결과 6개의 유전자가 2.5% 이상 발현이 증가하였으며(PKC beta II, POMC, PTEN 등), 16개의 유전자가 2.5%이상 발현이 감소하였다(Osteopontin, Cyclin D1, Cathepsin C, PTMA 등). PKC beta II 유전자의 역전사-효소 중합 반응검사결과 이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파골세포 분화 결과 RAW 264.7세포주에 비해 파골세포양 세포에서 PKC beta II 유전자의 발현이 많았다.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는 RAW 264.7 세포주와 이것이 분화된 파골세포양 세포와 차이를 보였고, 이 유전자의 발현증가와 RAW 264.7 세포주의 파골세포 분화와 연관을 보였다.

  • PDF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β, TNF-α, iNOS 유전자 차등 발현 연구 (Investigation of the IL-1β, TNF-α and iNOS gene differential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by the water extract of Angelicae Radix from Korea, China and Japan)

  • 한효상;홍성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13-522
    • /
    • 2017
  •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대식세포에 참당귀(AG), 중국당귀(AS), 일당귀(AA)를 6시간과 24시간을 반응시킨 뒤 시간별로 나타나는 inflammation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PS-induced RAW 264.7 대식세포에 AG, AS, AA를 6시간 반응 시킨 경우 $IL-1{\beta}$, $TNF-{\alpha}$, iNOS의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AA에서 더 높은 Anti-inflammatory effect를 확인하였다. AG, AS, AA가 RAW 264.7 대식세포의 cell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TS Assay(24시간)를 수행한 결과 $1,600{\mu}g/ml$ 농도에서 모두 증가시켰다. AG, AS, AA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대식세포에 6시간동안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G와 AA를 $200{\mu}g/ml$ 농도로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beta}$, $TNF-{\alpha}$, iNO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AG, AS, AA는 RAW 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nflammation 반응을 촉진하며, 24시간 뒤 inflammation의 억제를 유도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다양한 염증 반응 메커니즘에 미치는 작용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토복령(土茯笭)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산화질소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이강희;정준희;김이화;이재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69-76
    • /
    • 2009
  • Objectives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습, 해독, 통리관절등의 효능이 있는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ipopolysaccharide(LPS)로 처치하여 생성되는 nitric oxide(NO)와 prostaglandin $E_2$($PGE_2$)에 억제작용이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세포독성이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농도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LPS로 염증유발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NO 및 $PGE_2$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NO 및 $PGE_2$ assay를 수행하였다. Results :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토복령은 LPS처치로 인하여 증가된 NO 및 $PGE_2$ 생성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Conclusions : 본 연구를 통하여 토복령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PS로 유도된NO 및 $PGE_2$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추후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