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 mak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RAPD분자마커를 이용한 칡(콩과) 및 근연분류군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and Pueraia lobata Ohwi (Fabaceae) and Related Taxa by RAPD Makers)

  • 김동갑;장대식;김진숙;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46-453
    • /
    • 2009
  •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콩과에 속하는 칡 1종의 13집단과 근연분류군 2종의 4집단 등 총 17개의 개체군에 대하여 유전적 유연관계 및 종간 특이적인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분자마커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15개의 oligo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200 bp에서 2,800 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이중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는 총 208개, monomorphic bands는 3개를 확인하였으며, 칡의 종 특이적 분자마커는 4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칡속의 17개 개체군 집단에 대한 UPGMA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UPGMA phenogram에서 한국산 칡 9개체군과 국외산 칡 3개체군이 각각 독립적인 두 개의 작은 유집군을 형성하였으며, 이후 두 유집군이 하나로 크게 유집되어 다른 칡 근연분류군과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칡과 근연분류군간의 유연관계 분석 및 한국산과 국외산 집단의 원산지판별에 매우 유용한 분자마커로 생각된다.

Fast Genetic Variation among Coliphage Quasispecies Revealed by 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Kwon, Oh-Sik;Lee, Jae-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66-171
    • /
    • 1996
  • 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newly isolated coliphages form soil by using a RAPD assay. From the initial result, the coliphages were turned out to be different form one another but were closely related to .psi..lambda. due to the fact that they shared the samed RAPD maker in which other T phage testings failed to show. By using the primers EC01 or EC02, a fast genetic mutation of .psi.C1 was found by producing specific RAPD markers on the phages from the first filial progeny to the second filial progeny. When we made a RAPD assay with combined primers (EC01, EC05 and EC08), the genetic mutation was again confirmed in .psi.C1. The assay detection showed mutations in other coliphages such as .psi.C2 and .psi.C3 by revealing specific RAPD bands among different progeny phages, where genetic instability of the coliphages in implied.

  • PDF

RAPD marker를 이용한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

  • 장요순;노충환;홍경표;명정구;김종만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34-34
    • /
    • 2003
  • 한국산 선발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과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를 탐색하였다. 1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200개의 random primer 분석을 통하여 polymorphic pattern을 나타내는 23개의 random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각 primer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OPA-11 primer는 크기가 각각 600 bp, 650 bp 및 750 bp 인 3개의 DNA 단편에 의하여 4개의 genotype을 나타냈으며, 각 genotype의 빈도는 집단간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선발계통 집단에서는 4개의 genotype이 모두 발견되는 반면, 일본산 양식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을 포함한 교배집단에서는 특정 genotype만 발견되었다. OPA-11 primer 유래의 polymorphic DNA 단편을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primer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돔집단의 유전적 특성 파악 및 집단 구별에 RAPD marker를 활용하였으며, 참돔 육종시 형질 및 기능관련 DNA marker 탐색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SCAR과 RFLP 분석에 RAPD marker를 이용하여 100% 정확도를 갖는 RFLP maker를 찾고, MAS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s Associated with Leguminosae Using Multigene Loci, RAPD and ISSR

  • Mahmodi, Farshid;Kadir, J.B.;Puteh, A.;Pourdad, S.S.;Nasehi, A.;Soleimani, 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10-24
    • /
    • 2014
  •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50 Colletotrichum spp. isolates from legume crops studied through multigene loci, RAPD and ISSR analysis. DNA sequence comparisons by six genes (ITS, ACT, Tub2, CHS-1, GAPDH, and HIS3) verified species identity of C. trunc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des and identity C. capsici as a synonym of C. truncatum. Based on the matrix distance analysis of multigene sequences, the Colletotrichum species showed diverse degrees of intera and interspecific divergence (0.0 to 1.4%) and (15.5-19.9), respectively. A multilocu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clustered Colletotrichum spp. isolates into 3 well-defined clades, representing three distinct species; C. trunc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The ISSR and RAPD and cluster analysis exhibited a high degree of variability among different isolates and permitted the grouping of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into three distinct clusters. Distinct populations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s were genetically in accordance with host specificity and inconsistent with geographical origins. The large population of C. truncatum showed greater amounts of genetic diversity than smaller populations of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species. Results of ISSR and RAPD markers were congruent, but the effective maker ratio and the number of private alleles were greater in ISSR markers.

삼백초와 식물 2종의 지역개체군별 RAPD 분석 (RAPD Analyses on the Regional Populations of Two Species of Saururaceae in Korea)

  • 태경환;김용현;도재화;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2-280
    • /
    • 2007
  • 삼백초과식물 2속 2종에 대한 30개 지역별 개체군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2,0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총 16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156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2종의 종내 개체군 군집에 대한 UPGMA phenogram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 유집형태에 근거하여 재배지 개체군과 자연집단 개체군과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또한 지역별 개체군들끼리 유집되는 결과를 보였다. 2종 모두에서 지역별 개체군중 경남의 개체군과 제주도의 개체군이 전남의 개체군에 비해 유연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삼백초과 식물의 개체군별 유연관계를 분석하거나 재배집단과 자연집단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실험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RAPD Polymorphism and Genetic Distance among Phenotypic Variants of Tamarindus indica

  • Mayavel, A;Vikashini, B;Bhuvanam, S;Shanthi, A;Kamalakannan, R;Kim, Ki-Won;Kang, Kyu-Su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421-428
    • /
    • 2020
  •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is one of the multipurpose tree species distributed in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climates. It is an important fruit yielding tree that supports the livelihood and has high social and cultural values for rural communities. The vegetative, reproduct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raits of tamarind vary widely. Characterization of phenotypic and genetic structure is essential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accessions for sustainable cultivation and conservation. This study aimedto examine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 collected accessions of sweet, red, and sour tamarind by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imers. Nine accessions were collected from germplasm gene banks and subjected to marker analysis. Fifteen highly polymorphic primers generated a total of 169 fragments, out of which 138 bands were polymorphic.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of RAPD markers varied from 0.10 to 0.44, and the Jaccard's similarity coefficient values ranged from 0.37 to 0.70. The genetic clustering showed a sizable genetic variation in the tamarind accessions at the molecular level. The molecular and biochemical variations in the selected accessions are very important for developing varieties with high sugar, anthocyanin, and acidity traits in the ongoing tamarind improvement program.

팽이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Flammulina velutipes)

  • 김종봉;정자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34-1442
    • /
    • 2011
  • ITS 염기서열과 RAPD를 이용하여 F. velutipes 29개의 팽이버섯 품종 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ITS 부위에서 720 bp의 염기서열을 확인 하였으나 29개의 팽이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16개였으며, 그 중 뚜렸한 다형성을 띄는 primer는 OPA-2,4,3,9,10,20 이었다. 이들 29개 품종에서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모두 3,030개 였으며, DNA 단편의 크기는 200~2,000 bp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3,030개의 scrabble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전체 29개 품종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3.3~45%였고, 특히 한국 야생팽이의 종내 유전적 변이도는 17~38.6%로 품종 간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RAPD 변이에 기초하여 neighbor-joining tree (NJ) 분석에서는 5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cluster는 품종, 지역 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RAPD와 실험을 통해 확인된 OPA, OPB primer의 경우 미확인 팽이품종들을 검색 하는데 분자 유전적 표지 maker로써 이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PPLICATION OF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ANALYSIS METHOD FOR CLASSIFICATION AND BREEDING OF THE KOREAN GINSENG

  • Lim Y.P.;Shin C.S.;Lee S.J.;Youn Y.N.;Jo J.S.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8-142
    • /
    • 1993
  • Korean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as medicine from ancient times in Asia. Current breeding efforts in Korea include the individual plant selection and the subsequent pure - line isolation, and considerable number of lines with desirable traits have thus been isolated. However, there were rare data on genetic maker and its analysis for selection of superior varieties. For taxonomic characterization and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for ginseng breeding,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including the RFLP and RAPD methods were applied. Cytoplasmic DNA of ginseng was analyzed for RFLP analysi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t pattern among the chloroplast DNA or mitochondrial DNA of variants. In the case of RAPD analysis, the band patterns using 4 of 10 RAPD primers show the distinctive polymorphism among 9 ginseng variants, and lines, and Similarity Index(SI) on polymorphism was calculated for the extent and nature of these variabilities in ginseng. The sequences of 4 selected primers were TGCCGAGCTG, AATCGGGCTG. GAAACGGGTG, and GTGACGTAGG. By SI based on the polymorphic band patterns, Chungkyung - Chong and Hwangskoog - Chong, and JakyungChong 81783 and Jinjakyung of Russia showed the most close SI. The data of KG10l coincided with the fact that it was released from Hwangskoog - Chong. and Jakyung - Chong 81783 and Jinjakyung of Russia showed the most close SI. The data of KG101 coincided with the fact that it was released from Hwangskoog - Chong by breeding process. The data of Jakyung strains indicated the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strains. From these results, RAPD analysis method could be succesively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and genetic analysis for breeding of Korean ginseng.

  • PDF

RAPD markers에 의한 한국산 반하속 식물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Korean Pinellia Tenore (Araceae) using RAPD markers)

  • 태경환;김동갑;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1-174
    • /
    • 2005
  • 한국산 반하속 식물의 종간 및 종내 집단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 bp에서 2,500 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7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70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를 확인하였고, Nei-Li의 유전적 거리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종내 개체군 군집에 대한 UPGMA 유집분석 및 NJ tree를 도출하였다. 반하의 지역별 개체군 집단간에는 각각 낮은 유전적 거리지수 수준에서 유집되어 전반적으로 개체군간 유연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하는 지역별 개체군에 따라 잎의 형태와 꽃의 색에 따른 형태학적 변이 및 체세포염색체수의 세포학적 변이 패턴을 다양하게 보이고 있어 이는 생육지의 다양성에 의해 나타난 형질분화의 차이로 추정된다. 이런 특성은 반하의 분화속도를 빠르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새로운 종은 반하속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제주도와 일본의 반하 개체군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RAPD 분석은 한국산 반하속 식물종의 종간 및 종내 개체군 집단간의 유연관계 파악에 매우 유용한 실험적 접근방법임을 보여주었다.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한 장뇌삼의 지역별 품종 구분 (Identification of Korean Mountain Cultivated Ginseng by RAPD)

  • 최지영;이주희;이수광;강호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35-4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장뇌삼 8품종과 밭에서 재배된 재배인삼 등 총 9개체에 대해 장뇌삼 품종들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APD분석에 사용한 random primer는 총 40종류(OPA 1~20, OPB 1~20)였으며, 이 중 34개가 각기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품종간의 집단을 형성하여 9개 품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유용하였다.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홍천과 재배인삼, 의성과 금산, 진안과 풍기와 강화, 상주와 안동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다시 2개의 그룹 "홍천-재배인삼-의성-금산", "풍기-강화-상주-안동"으로 구분 되었다. 9개 지역에서 수집한 품종간의 유사도 값은 최저 0.30, 최고 0.53으로 나타났다. RAPD방법은 사용법이 간단하고 소요시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DNA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한 검정법으로 형태적인 차이가 구별되지 않는 장뇌삼 품종 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밝히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품종별 계통유연관계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 AFLP 또는 Molecular Maker를 이용하거나 계통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핵, 엽록체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와 같은 정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