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CE

검색결과 1,416건 처리시간 0.027초

대관령 지방에 발생하는 감자역병균의 생리형 (Physiologic Races of Phytophthora infestans(Mont.) de Bary at Alpine Area,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71 to 1973)

  • 함영일;강응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7-231
    • /
    • 1974
  • 본 시험은 우리나라 씨감자 주요 생산지인 대관령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역병군의 생리형을 조사 판별하기 위해 71-73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1. 1971년에는 68계통을 분리 접증 했는데 Race 0, Race 1, Race 2, Race 3, Race 1.3, Race 1.4, Race 3.4, Race 1.3.4, Race 2.3.4, Race 1.2.3.4등 10가지 생리형이 간별 되었으며 그중 Race 0와 Race 3가 제일 널리 분포 되었었고 2. 1972년에는 62계통을 분리 하였던 바 Race 0, Race 1, Race 4, Race 1.3, Race 1.3.4등 5가지 생리형이 나타났으며 그중 전해에 이어 Race 0가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3. 1973년에는 76계통비서 Race 0, Race 3, Race4, Race 1.3, Race 3.4 Race 1.3.4 등 9가지 생리형이 나타났던 바 Race 0와 Race 4가 가장 널리 분포 되어있는 생리형으로 나타났다. 4. 이로써 우리나라에는 Race 0, Race 1, Race 2, Race 3, Race 4, Race 1.3, Race 1.4, Race 3.4, Race 1.3.4, Race 2.3. 4,Race 1.2.3.4 등 11가지 Race가 존재함이 밝혀졌으며 Race 0, Race 3과 Race 4가 가장 널리 분포 되어있는 생리형으로 나타났다. 5. 이와 같이 생리형은 매년 기후조건의 차이에 따라 발생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 PDF

대두품종에서의 콩씨스트 선충 혼합 Race의 생식력 (Reproductivity of Mixtures of Race 3 and Race 4 of Heterodera glycines on Soybean Cultivars)

  • 김영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45-251
    • /
    • 1987
  • 콩씨스트 선충 Race 3와 Race 4를 혼합하여 대두품종에 접종한 결과, 감수성품종인 'Lee'에서 혼합 Race의 암컷의 성숙은 각각의 Race의 암컷 성숙능력과 비교해 볼 때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ace 4에만 감수성인 대두품종 'Pickett'과 'Mack'에서는 혼합 Race. 접종시에 Race 4 단독에 의한 것보다 암컷의 성숙비율이 현저히 낮았다. 콩시스트 선충의 모든 Race에 감수성인 디두품종 'Lee'와 'Bragg'에서는 혼합 Race의 Race 4비율이 감소하였으며, Race 4에만 감수성인 'Pickett'과 'Peking'에서는 Race 4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Race 3와 Race 4를 여러비율로 대두품종 'Lee'에서 증식하여도 Race 4의 비율이 감소되어 Race 3이 Race 4보다 더 큰 경합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남지역 벼 도열병균 Race의 분포추이 (Monitoring of Physiological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Gyeongnam Province)

  • 강수웅;권진혁;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9-145
    • /
    • 1995
  • 경남지방에서 벼도열병균 race의 분포상황을 알기 위하여 1990∼1994년 5개년간 경남지역의 재배품종 잎동열병 병반에서단포자 분리하여 얻은 균주 509 균주를 사용하여 연도별 race 분포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내에 분포한 race의 종류는 총 33종류였다. 이 중 KI 100군 race가 16종류로 연차간 분포변동이 심하였고, KI 400군 race가 6종류, KJ 100군 race가 4종류, KI 300군 race가 3종류, KJ 200군 race 2종류, race KJ-301 및 race KJ-401이 각각 1종류씩이었다. KI 및 KJ race의 분포 비율은 각각 11.5∼29.9%와 70.1∼88.5%로 KJ race의 분포밀도가 높았고 분포밀도가 높은 race는 KJ-401 및 KJ-301로 전 race의 26.7∼57.3%를 차지하였다. 지대별 race 구성 특징은 산간 지대에서는 KI race의 분포밀도가 27.3%로 해안지대 6.8%에 비해 훨씬 높았고 KJ 100군 race도 27.7%로 해안지대 11.7%보다 분포비율이 높았다. 반대로 KJ 200군 race는 해안지대가 22.0%로 산간지대 9.7%보다 아주 높았다. 조사기간중 재배된 벼품종과 race의 분포변동을 미루어 보아 race의 분포는 재배된 벼의 도열병균 race에 대한 반응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콩씨스트선충(線蟲)(Heterodera glycines)의 Race별(別) 분포조사(分布調査) (Race Distribution of the Soybean Cyst Nematode(Heterodera glycines) in Korea)

  • 최동로;이영배;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3-207
    • /
    • 1987
  •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를 판별(判別)하고 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콩씨스트선충(線蟲)은 race 1과 race 3, 경기도(京畿道)에서 race 3, race 5, race c 그리고 충청남도(忠淸南道)에서 race 1과 race 5가 각각(各各) 판별(判別)되었다. 2. 같은 지역(地域), 적어도 같은 면지역(面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는 동일(同一)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3. 각(各) race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race 1이 52.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race 5가 28.6%, race 3이 14.3% 그리고 race c가 4.8%의 순(順)이었다. 4. 판별(判別)된 4개(個) race 중(中)에서 race 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판별(判別)된 race였다.

  • PDF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에 대한 콩 저항성품종 및 Race검정 (Studies on the Resistance and Races of Soybean-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n Korea)

  • 김동근;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2
    • /
    • 1983
  • 콩씨스트선충의 방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공씨스트선충(Heteropera glycines)의 race를 검정하고 콩 장려 16품종들의 콩씨스트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 중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race 5에 대하여 저항성 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황금콩, 힐콩, 단엽콩 등이 비교적 선충의 증식이 적게되는 품종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일본에서 공씨스트선출에 저항성 품종으로 육성된 "동북태"(Kaiden)는 아주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기국에서 감수성 판별품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엽콩" (Essex)과 "힐공"(Hill)은 다른 품종보다 선충의 증식이 적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콩씨스트선충은 지역에 따라서 race가 다르게 나타났나. 전남 화순에서는 race 1, 경남 염산과 경기도 수원에서는 race 5 그리고 경북 선산에서는 새로운 "race c" 등 3개의 race가 검정되었다. 이 실험에서 우리나라에도 공씨스트선충의 race 1, race 5 및 race c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밟혀졌다.

  • PDF

국내 콩씨스트선충의 Race 분포 (Distribution of Races of Soybean Cyst Nematode in Korea)

  • 김동근;이재국;이영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9-253
    • /
    • 1999
  • 국내 콩씨스트선충의 race 분포를 규명하기 위해 전국 8개도 21개 지역으로부터 선충을 채집하여 검정한 결과, 4종류의 race가 발견되었은데, 그중 race 3(48%)이 가장 많았으며 race 5(24%), race 1(19%),race 6(9%) 순이었고 지역별 차이는 없었다. 국내포장에 서식하는 콩씨스트선충 집단중 약 33%는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Pickett를, 약 43%는 PI88788을 가해할 수 있는 virulence gene을 가지고 있었는데, Peking과 PI90763은 모든 씨스트선충 집단에 대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국내 콩씨스트선충 저항성 품종 육성에는 Peking이나 PI90763을 교배모본으로 하여 race 5와 6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타인종에 대한 지각적 개별화 연습이 5-6세 유아의 혼합 인종 범주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ther-Race Perceptual Individuation Training on Five- to Six-Year-Olds' Categorization of Mixed-Race Faces)

  • 강은;박유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10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five- to six-year-old children's categorization of mixed-race faces and how it was affected by perceptual individuation training (PIT) for other-races. Methods: Sixty-five children attending classes for 5-year-olds in childcare centers were shown happy and angry faces of Korean and African American mixed-race people, along with neutral faces of Korean and African American monoracial people. They were asked to categorize the faces into same-race or other-race. After the pretest, participants received a PIT for either African American (other-race) or monkeys. Then the racial categorization task was administered again as a posttest. Results: Children showed no general tendency to categorize mixed-race faces as out-group in the pretest. Yet, the PITs further reduced children's categorization of mixed-race faces as out-group. In particular, the effect was clearly evident in children who received the PIT for other-rac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ndency to categorize mixed-race faces as an out-group may not be evident in early childhood and that experiences of perceptually identifying other-race individuals may help children view mixed-race individuals as being in the ingroup, at least perceptually.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race 동정 및 시판품종의 흰가루병 저항성 판별 (Identification of fungal races that cause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and selection of resistant commercial melon cultivars against the identified races in Korea)

  • 김회택;박종인;노일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58-65
    • /
    • 2016
  • 국내 멜론 및 박과채소 재배농가(안성, 이천, 영암, 창녕, 순천)에서 발병하고 있는 멜론 흰가루병균을 채집한 후 흰가루병균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종류 구분 및 멜론 race 판별계통을 이용한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흰가루병균의 race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멜론 흰가루병균의 종류는 Podosphaera xanthii (syn. Sphaerotheca fuliginea)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race 1, N2, A와 판별결과가 일치하는 3 종류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race (1, N1, N2, A, S, 5)와 검정 결과가 다른 새로운 race의 흰가루병균 2종이 동정되었다. 그리고 5개의 분리 및 동정된 흰가루병균을 이용하여 국내 시판중인 멜론 15품종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race1에 대해서는 15품종 중 9품종이 저항성을 보였다. Race N2와 A대해서는 소수의 품종에서 저항성을 보였으며, 새로운 race BN968에서는 15품종 모두가 이병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멜론 흰가루병 race 1 저항성 DNA 마커 KPMR1M-1과 KPMR1M-2에 의한 이병성 및 저항성 판별 결과와 race 1 접종 결과는 일치하였다. 따라서 국내 멜론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race 특이적 마커 개발 및 이를 활용한 복합 race 저항성 품종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도열병균 KI-409 race의 급격한 증가 현황과 원인 분석 (Analysis of Rapid increase of Rice Blast Fungus Race KI-409 in Korea)

  • 한성숙;최성호;나동수;은무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5-709
    • /
    • 1998
  •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grisea) race KI-409 that has been rapidely increased since 1993 and became predominant in 1995 in Korea were investigated. Varietal resistance of current commercial cultivars of rice to the race was also tested in this study. The race KI-409 was first isolated from rice cv. Namyangbyeo in 1985. Since 1985 the race had been isolated mainly from the rice cultivars having BL1 BL7 pedigree as a resistance source. Distribution ratio of the race in 1995 was 23.7% in average and became a predominant in the P. grisea population in Korea. The race distributed widely and found in all the eight provinces in Korea. Many commercial cultivars such as Chucheongbyeo as well as those with BL1 or BL7 as a genetic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the race KI-409.

  • PDF

Podosphaera xanthii의 새로운 Race 2F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국내 발병 보고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Caused by New Race 2F of Podosphaera xanthii on Cucumber in Korea)

  • 김영아;정아람;장민;박창진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83-189
    • /
    • 2020
  • 흰가루병(powdery mildew)은 오이(Cucumis sativus)를 포함하는 박과(Cucurbitaceae)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한 병 중 하나이다. 오이 흰가루병의 지속적인 발병과 방제의 어려움 때문에 그 원인 병원균을 밝히고 race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오이 흰가루병균의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남도 밀양(Miryang) 지역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결과 분리된 오이 흰가루병균들은 절대 활물기생균인 Podosphaera xanthii로 동정되었다. P. xanthii의 race 규명에 사용되고 있는 멜론(C. melo) 판별 품종을 이용하여 밀양, 이천 서울에서 분리된 MI180427, IC190611, SE180328의 레이스를 각각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MI180427과 IC190611는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발병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race 1으로 규명되었다. 반면, 분리균주 SE180328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예가 없는 race 2로 판별되었다. SE180328의 정확한 race 판별을 위해서 추가적인 멜론 판별 품종에 접종한 결과, 흰가루병 race 2 중에서 중국 베이징의 주요 race로 알려진 race 2F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race 2F의 국내 발병을 보고하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이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 육성에 고려 되어야 할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