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 mucronulatu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비슬산 군립공원의 진달래에 대한 박테리아 군집 metagenomics 분석 규명 (Metagenomic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in Biseul Mountain County Park, Daegu, Korea)

  • 최두호;정민지;권해준;김미경;김동현;김영국;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2-39
    • /
    • 2020
  • 한국, 몽골, 러시아, 중국 북반부에 서식하는 진달래는 예로부터 약재뿐 만이 아니라 관광 자원으로써도 잘 알려져 왔다. 이중 한국의 대구에 위치한 비슬산 군립공원 또한 진달래 관광지로 유명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진달래와 흙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2월과 8월에 걸쳐 군립공원 내 3 곳을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박테리아 군집 조사를 위해 확보된 흙들은 pyrosequencing 과정을 거쳤으며 총 404,899개의 sequencing reads를 확보하였다. 두 날씨에 따라 각기 다른 3 곳의 채집 장소로부터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값이 측정되었으며 이는 2,349에서 4,736 수치를 보였다. OTUs 값 측정결과 채집 장소 중에서는 군립공원 입구 지역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계절로는 8월이 2월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가장 낮은 수치의 OTUs 값을 보인 샘플은 제 2 관측지점, 특히 2월에 채집한 흙이었다. 또한 Chao1과 Sannon index 값 측정 결과, 8월에 채집한 군립공원 입구에서 유래한 샘플에서 가장 높은 생물 풍부도와 다양성 수치를 보였다. 연구를 통해, 6 샘플로부터 유래한 박테리아 군집은 비슬산 군립공원에서만 발견되는 45개의 속과 287개의 종으로 구성된 공통의 조성을 보였다. 이 발견된 공통 박테리아들은 진달래 군집 생성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 박인환;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5-66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to recommend basic information for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2011 and totally 46 vegetation data including 42 families 93 genera 108 species 16 varieties and 5 form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investigated 129 taxa, the numbers of rare plant resources were summarized as 19 tax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the endemic plants were listed as 3 taxa, 15 taxa and 4 taxa, respectively.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of Mt. Biseul was classified into 3 plant communities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ripterygium regelii subunit and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by human interference degree. And synecology, syndynamics, synchorology of these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nd Site-species ordination analysis by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reflected that human impact,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refore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4 habitat types : unstable-dry type=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unstable-moderate type=Tripterygium regelii subunit, stable-dry type=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stable-moderate type=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Finally, through the vegetational diagnosis, proper management methods such as a limit on the access of visitors, planting of native woody plants after removing unwanted vines or grass were suggested.

가을철 차광 처리에 따른 진달래와 영산홍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indicum with Shading Treatment in Autumn Season)

  • 이경재;송기선;정영숙;윤택승;홍성권;김재현;이상우;김종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03-408
    • /
    • 2010
  • 본 실험은 비닐온실 내에서 0%, 35%, 55%, 75% 차광처리에 따른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와 영산홍($R.$ $indicum$ (L.) Sweet) 묘목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차광처리는 생육 후반기인 2008년 9월 9일부터 11월 5일까지 시행되었다. 차광처리는 9월의 낮 온도를 0.9-$1.7^{\circ}C$, 10월에는 0.8-$1.7^{\circ}C$ 정도를 낮추는 효과가 관측되었다. 차광처리 전 진달래 및 영산홍의 함수율은 각각 68.5%, 66.3%이었으며, 차광처리 기간 후 75% 차광 하의 진달래의 함수율은 66.2%로써 3.4%가 감소하였으며, 영산홍은 65.9%로써 0.6%가 감소하였다. 두 수종 모두 차광 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율이 낮아지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영산홍의 광합성능력은 차광 수준이 높아질수록 높았는데 75% 차광에서 $9.63{\mu}mol{\cdot}m^{-2}{\cdot}s^{-1}$로 가장 높았다. 한편, 세포간극 내 $CO_2$의 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율 역시 전광 하의 묘목에 비하여 차광처리에 따라 높았는데 55%, 35% 및 75% 차광순이었다. 수분이용효율은 전광의 묘목이 차광처리 묘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차광처리를 받지 않은 진달래 잎색은 자주색에 가까운 색으로 변색한 반면, 차광처리 수준이 높을수록 육안으로도 녹색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차광 수준별 진달래 잎색의 변화를 Munsell Color Chart로 정리한 결과 전광의 경우 R(red)과 Y(yellow) chart의 색이 많은 반면 차광 수준이 높을수록 G(green), Y의 chart에 속하는 비율이 높아 여전히 녹색을 많이 띄고 있었다.

진달래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인체 KB cell에 대한 세포독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Human KB cell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 박승우;김상교;김미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1-505
    • /
    • 2006
  • 진달래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인체 비인두암 세포인 KB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성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진달래꽃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부분 정제하여 항산화 실험을 한결과 fraction 2와 3은 40 ppm 농도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체 비인두암 세포주인 KB cell의 성장 저해율은 $100{\mu}g/mL$ 농도에서 클로로포름 분획이 81.2%, 헥산분획이 74.6% 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는 총 폴리페놀 32.70%, 총 플라보노이드 20.30% 함유하고 있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성과의 상관관계는 총 폴리페놀에 대하여는 $r^2=0.8869$, 총 플라보노이드에 대하여는 $r^2=0.8469$로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진달래나무의 입지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abitat preferences of the azalea, Rhododendron mucronulatum T.)

  • 남영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3호
    • /
    • pp.25-31
    • /
    • 1970
  • The ratio of occurrence of azalea (Rhododendron mucromultum T.) was determined on the north and south facing slopes on a mountain in Koyang county, Kyungi Province. Data was actually recorded at the eight aspects facing N, NE, E, SE, S, SW, W and NW on the mountain. In each of the eight aspects, six 10m transect tapes were placed in parallel directly down the slope, each 1m apart, and fifty 1$m^2$ quadrats were constructed between them. Frequency of the azalea in each of these quadrats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central stumps of the bushes Soil samples were also taken from pits dug in each plot to use for determination of the following: Soil pH, soil moisture loss on ignition,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The occurrence rate of azalea on the northern slop e was found to be for higher on the northern slope than on the southern slope. The abundance of azalea on the northern slope was found to be partially correlated with soil moisture(r=0.93; 0.01>p) and the amount of humus in the soil (r=0.04;0.01>p).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soil PH, and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 however, were found to have no evident relationship with the abundance of azalea. The conditions for growth in the species of azalea Rhododendron mucronulatum T'. were generally found to be more favorable on the northern slope.

  • PDF

Studies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uccession of the Shrub Communities at the Summit of Mt. Halla, Cheju Island, Korea

  • Kim, Moon-Hong;Masato, Yoshikawa;Tukasa, Hukusima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6호
    • /
    • pp.325-335
    • /
    • 1999
  • Empetrum nigrum dominant community or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dominant shrub community are developing above l,500m on Mt. Halla in Cheju Island, Korea. These communities were formed as a result of the forest of Abies koreana regression by grazing or eros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clarified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in Cheju Island by comparing with a similar community in Japan. Also this study interpreted the development data of these communities and considered community succession. As a result of our interpretation, shrub community of Cheju Island is recognized as two associations, Festuco obinae-Empetretum nigrum ass. nov and Rhododendretum mucronulatum ass. nov. Each association of Cheju Island is composed of endemic species of Cheju Island.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o Japan. The two associations are divided into 8 sub-units but each community development has been created with longtime grazing and prescribed fire. Maybe the location stability by stoppage of interference and grazing will process community transition Quickly. Comparing the shrub communities of Cheju Island with Maianthemo-Rhododendretum in Kyushu, Japan, which is close geographically, both areas have the species of Miscanthetea sinesis and Ericaceae in common. But Cheju Island has more abundant species and has higher ratio of appearance of alpine plants. The shrub communities of Cheju Island and Kyushu. Japan are identified as having a different rank over Alliance.

  • PDF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 배병호;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21-29
    • /
    • 1999
  • 본 연구는 영동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집유형을 밝히고, 이들 식생의 천이계열과 자연성을 검토하였으며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62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지역의 소나무림은 소나무군집하에 전형아군집, 신갈나무아군집, 진달래아군집, 붉나무아군집 등 4개 아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들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흉고직경 별 빈도분포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조사지역 소나무림의 토양 환경은 타 지역 소나무림에 비하여 매우 빈약하였으며 특히 pH는 평균 4.87로 강산성을 띠고 있으며, 각 하위군간에도 토양환경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군집유사도의 분석에 따라 소나무림의 천이계열을 추정하였으며, 이들 식생의 녹지자연도는 전형아군집과 진달래아군집이 7등급, 신갈나무아군집이 8-1등급, 붉나무아군집이 8-2둥급으로 각각 사정되었다.

  • PDF

冠岳山의 高度에 따른 진달래와 철쭉꽃의 開花와 開葉時期 (On the Flowering and Leafing Time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schlippenbachii along Elevation at Mt. Kwanak)

  • Kim, Joon-Ho;Beung Tae Ry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53-59
    • /
    • 1985
  • Phenological development, flowering and leafin times of Rhododendron muronulatum and R. schlippenbachii along elevagtion were studied at Mt. Kwanak, 629m high above the sea level, in Seoul. Flowering and leafing time of the former were delayed at the rate of 2.3~3.3 days and those of the latter were of 2.0~3.0 days per 100m ascent. Phenological changes of both plant specie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minimum air temperature first, and then soil water content and minimum soil temperature among the climatic factors. Phenological difference caused by altitude and slope direction(southeast-northwest) among the topographic factors was admitted at the high significance level, but the difference by ridgevalley was little.

  • PDF

PRELIMINARY STUDIES ON NATURAL PLANT EXTRACTS AS SUNSCREEN AGENTS

  • Lee, K.T.;Kim, J.H.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1-88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everal plant extracts with a view to developing UV sunscreen agents. In this study, 150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to elucidate their UV spectra using spectrophotometric method. Several plant extracts such as Phellodendron amurense, Morus alba, Rhododendron mucronulatum, Brassica alba have strong absorbency at UVA region (350nm), the suntanning wavelength. And Sophora flavescens, Caesalpinia sapper, Morus alba, Phellodendron amurense, showed absorption plateau value at UVB region (308nm), the erythema action wavelength. These extracts have a good absorbency property as synthetic filter and could be served as substitutes for synthetic UV sunscreen agents.

  • PDF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Synecology of the Forest Vegetation of Yeongjongdo)

  • 이호준;김종홍;전영문;정흥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23-236
    • /
    • 2003
  • 영종도의 삼림식생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10개 이차림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 등 3개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R-NCD)에 의한 계층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에서 상수리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관목층에서 진달래, 굴피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초본층에서 그늘사초, 산거울, 진달래, 억새, 주름조개풀 등으로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 주로 출현하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락의 층상구조 발달은 빈약하였다. 흉고직경 분포는 각 군락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2∼10 ㎝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56%를 차지하였으며 인위적 교란 후 재생과정 중에 있는 식생으로 수령은 40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락별 토양환경의 pH는 전체평균값이 4.73(4.53∼5.10)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산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이 산지 능선부나 해안가, 저지의 구릉지에 주로 분포하는 곰솔군락, 소나무군락에 비하여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과 총질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