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necology of the Forest Vegetation of Yeongjongdo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 이호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자연과학부 생명과학과) ;
  • 김종홍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전영문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자연과학부 생명과학과) ;
  • 정흥락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divided into 10 plant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P.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ea, Q. variabilis, Q. aliena, Q. dentata, Carpinus coreana, Betula davurica and 3 afforestations;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Castanea crenata. The dominant species in each stratum as determined by R-NCD appeared to be Q. acutissima, P. densiflora, Platycarya strobilacea, Sorbus alnifolia and Q. aliena in the tree-2 layer, Rhododendron mucronulatum, P. strobilacea, Q. serrata, Q. aliena and Q. acutissima in the shrub layer, and Carex lanceolata, C. humilis, R. mucronulatum, Misch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in the herb layer.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56%) in the range of 2∼10㎝ in the study area and it was investigated as being in the restoration phase after disturbance. The average of the age of trees was under 40-years-od. The pH of soil collected at each site appeared to be within the range between 4.53 and 5.10(the average of 4.73) in each community, organic matters appeared higher than the value in Q. mongolica, P. rigida, C. crenata communities compared to P. thunbergii, P. densiflora communities. And soil organic matters and total nitroge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contents.

영종도의 삼림식생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10개 이차림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 등 3개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R-NCD)에 의한 계층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에서 상수리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관목층에서 진달래, 굴피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초본층에서 그늘사초, 산거울, 진달래, 억새, 주름조개풀 등으로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 주로 출현하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락의 층상구조 발달은 빈약하였다. 흉고직경 분포는 각 군락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2∼10 ㎝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56%를 차지하였으며 인위적 교란 후 재생과정 중에 있는 식생으로 수령은 40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락별 토양환경의 pH는 전체평균값이 4.73(4.53∼5.10)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산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이 산지 능선부나 해안가, 저지의 구릉지에 주로 분포하는 곰솔군락, 소나무군락에 비하여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과 총질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 이창석. 1988. 민주지산일대 삼림식생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6: 63-88.
  2.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1971-2000)
  3. 길봉섭, 김창환, 김영식, 유현경, 김병삼. 1998. 오대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8: 47-91.
  4. 길봉섭, 윤경원, 김창환. 1992. 발왕산일대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0: 55-76.
  5. 김원, 서정호, 이종운. 1983. 당지동 산화적지의 초기식생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 237-242.
  6. 김준민, 장남기. 1967. 토양유기물의 분해속도와 Microbial Population의 소장에 관한 연구. 식물학회지 10: 21-30.
  7. 김종원, 남화경, 백원기, 이율경, 이은진, 오장근, 정용규. 1997. 식생평가지침. 한국자연보존협회 제2차 자연환경전국조사지침. 서울. pp. 259-322.
  8. 김종원, 정용규. 1995. 식생구조와 토양환경 분석을 통한 서식처의 생태학적 구분 - 김포매립지와 그 근린 지역의 식생을 사례로-. 한국생태학회지 18: 307-321.
  9. 김종홍, 전영문. 1998. 우이도 및 인근도서의 식생과 환경보호.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자연실태종합학술조사보고서 13: 27-58.
  10. 김철수, 박연우, 양효식, 오장근. 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I) -거문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7: 1-22.
  11. 김철수, 오장근. 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조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 181-190.
  12. 김철수, 오장근. 1992.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V) -소안도와 청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9: 1-29.
  13.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 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4: 1-56.
  14. 김태욱, 전승환, 강기호. 1992. 녹지자연도 및 식물상. 비무장지대 접경지역(민통선 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pp. 575-621.
  15. 내무부. 1985. 도서지. 1372 p.
  16. 농촌진흥청. 1971. 개략토양도(인천).
  17. 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분석법. 450 p.
  18. 박경원, 배재주, 최덕수, 이철영. 1997. 조선시대 산림사료집. 임업연구원 396 p.
  19. 박봉규, 이인숙. 1981. 남한의 삼림생태계에 있어서의 낙엽의 분해모델. 한국생태학회지 4: 38-51
  20. 박봉규, 김준민, 장남기. 1970. 광릉 및 오대산의 주요삼림식물의 Energy 및 양분순환에 대하여. 한국생활과학연구원논총. 49-62.
  21. 송종석, 송승달, 박제홍, 서봉보, 정화숙, 노광수, 김인선. 1995.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 63-87.
  22. 송호경. 1990.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79: 216-221.
  23. 유계자, 이우철. 1985. 영종도의 식생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 자연과학연구소 1: 54-63.
  24. 이경재, 조재창, 유창희. 1990.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용문산 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 식물학회지 33: 173-182.
  25. 이수욱. 1981.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 25-35.
  26.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p.
  27. 이천룡. 1998. 삼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 p.
  28. 이호준. 1985. 외나로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0: 51-85.
  29. 이호준, 양효식, 조은부. 1991. 자은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6: 58-100.
  30. 임양재, 김성덕. 1982. 작약도의 식생. 박봉규박사회갑기념논문집. 이화여자대학교. pp. 40-66.
  31. 장남기. 1988. 서울.경기의 식생. '88 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1). 환경청. pp. 49-68.
  32. 장석모, 장한성, 김종홍. 1988. 진도 첨찰산의 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11: 153-175.
  33. 전영문. 2001. 한국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1 p.
  34.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 329-435.
  35. 정흥락, 양금철. 1998. 백령도 지역의 식생.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환경부. pp. 37-52.
  36. 정흥락, 이호준, 이재석. 2000.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한국생태학회지 23: 407-421.
  37. 진현오, 이명종, 신영오, 김연제, 전상근. 1994. 삼림토양학. 향문사. 325 p.
  38. 차종환, 장남기, 임영득. 1969. 토양조건에 미치는 낙엽의 영향(II). 식물학회지 12: 15-21.
  39. 최중기. 1997. 인천 연안도서 자연환경 및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pp. 171-180.
  40. 홍원식. 1956. 한국서해안 해변식물군락의 연구(1). 생물학회보 1: 17-24.
  41. 홍원식. 1958. 영종도의 식물. 연희대학교 이공대학보 2: 52-58.
  42. 鈴木兵二, 伊勝秀三, 豊原源太郞. 1985. 植生調査法. 共立出版. 東京.
  4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Verlag, 3rd. ed., Vienna. New York. 865 p.
  44. Hansen, K. 1976. Ecological studies in Danish heath vegetation. Dansk. Bot. Arkiv., 41: 1-118.
  45. Hill, M.O. 1979.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46. Kim, J.W. 1990. A syntaxonomic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of South Korea. Abstracta Botanica 14: 51-81.
  47.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p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 391-413.
  48.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 p.
  49.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 Ecol. 25: 7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