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 chinensi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4초

Stock(Matthiola incana R. Br.)으로부터 색소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from Matthiola incana R. Br.)

  • 민병환;김석원;오승철;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41-346
    • /
    • 1998
  • 색소유전자의 전이를 통하여 새로운 색소발현체계를 가진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stock (Matthiola incana R. Br.)의 꽃봉오리로부터 cDNA-library를 합성하였고 screening을 통하여 anthocyanin 합성경로의 중요효소의 하나인 DFR (dihydroflavonol 4-reductase)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여 분리유전자의 크기가 1450bp 이며 이중 coding region은 1029 bp 임을 확인하였다. 이미 밝혀진 다른 식물체의 DFR 유전자와 서로 염기서열의 일치성을 비교해 본 결과 외자엽식물인 옥수수와 보리와는 각각 61%를 보였으며, 쌍자엽식물인 페튜니아, 금어초, 거베라, 과꽃 그리고 카네이션 등 과는 66%-67%의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염기서열의 G/C 함량분석을 통하여 쌍자엽식물의 G/C 함량은 외자엽식물의 그것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분리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기내에서의 전사와 해석을 수행한 결과 42-44 kd 크기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의 결과 DFR 유전자는 stock의 genome에 다른 대부분의 식물체와 유사하게 한 개가 존재하며 야생종과 돌연변이종의 stock을 분리 DFR 유전자를 probe 로 Nor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돌연변이종인 lineK17b가 DFR 돌연변이임을 확인하였다.

  • PDF

오배자면충(진딧물상과: 매미목) 충영의 생태 (Bionomics of Schlechtendalia chinensis(Aphidoidea: Homoptera) in the Galls)

  • 이원구;황창연;소상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87-294
    • /
    • 1999
  • 저자들은 1998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북 전주시 인근의 고덕산에서 붉나무(R.javanica)에 오배자면충(S. chinensis)의 충영이 형성되는 과정을 조사하였다. 오배자 충영의 대다수(56.8%)는 붉나무 잎의 첫 번째 익엽(pinnate), 24.3%는 두 번째 익엽에 형성되었다. 충영은 6월 1일에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6월 24일까지는 서서히 자랐다. 충영은 8월 11일 이후에는 급격하게 커졌으나, 성장률은 8월 26일 이후에는 감소하고 9월 8일 이후에는 성장이 정지되었다. 유시태생암컷(alate viviparous female)은 9월 24일 이후에 충영으로부터 탈출하였다. 간모(충영내의 제 1 세대)는 세 번 탈피하여 6월 24일에 성체가 되었다. 간모 성체는 체내에 1∼10개의 알을 가지고 있었고 1∼16개체의 제 2세대 약충을 출산하였다. 제 2세대의 약충은 6월 17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7월 14일에 알을 내포하는 개체가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7월 24일에 완전히 성숙하였다. 제 2세대의 성체는 체내에 알을 간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제 2세대의 발육 기간은 27∼37일이었다. 제 3세대의 약충은 7월 14일에 나타났고 최종적으로 유시태생암컷(alate viviparous female)은 9월 24일에 발육되었다. 제 3 세대의 시작과 최종 유시태생 암컷의 출현 사이의 두 달 동안에는 최소한 두 세대 즉, 제 3, 제 4 세대가 존재해야 할 것이다. 제 4 세대는 8월 20일 경에 시작될 것인데 왜냐하면 8월 26일의 충영내 면충 개체수(2,859마리)는 8월 19일의 개체수(263마리)보다 10배 이상 증가되었기 때문이 다. 충영의 탄닌 함량은 65.04∼68.23%이었고 한편 붉나무 잎과 줄기에서의 함량은 각각 11.56, 3.49%였다.

  • PDF

과일 껍질의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 이민영;유미소;황유정;진유정;홍명희;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40-544
    • /
    • 2012
  • 국내에서 시판되는 11 종의 과일을 선별하여 과일 껍질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이들 인자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동결건조 시료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44.1-178.3 mg GAE/g dw), 플라보노이드(4.1-40.3 mg QE/g dw), 비타민 C의 함량(0.12-4.60 mg/g dw)을 측정하고, DPPH(평균 89.1% 소거능)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평균 84.2% 소거능) 및 환원력(186.2-953.8 mM AAE/g dw)을 측정하여 시료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두>골드키위>포도껍질 등의 순위로 가장 높았으며, ABTS 라디컬 소거능과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역시, 자두>골드키위>포도껍질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이들의 항산화능은 주로 폴리페놀 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R^2$=0.6356). 그러나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은 귤(4.60 mg), 오렌지(2.27 mg), 참외껍질(2.16 mg) 등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정의 상관관계($R^2$=0.5201)를 나타내어 본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과일 껍질은 자체내 함유된 폴리페놀 화합물이나 비타민 C 등의 항산화 성분 및 농도에 따라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자두와 골드키위의 껍질은 천연 항산화제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제시된다.

White Sport Syndrome Virus Disease of Shirmp and Diagnostic Methods

  • Zhan, Wen-Bi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3
    • /
    • 2002
  • Since 1993, the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disease occurred in China among cultured shrimps resulting in mass mortality. Epizootiological surveys undertaken during the outbreak period of 1993-1994 indicated that all stages of Penaeus chinensis, P. japonicus and P. monodon were infected. Consequent to the transport of contaminated shrimp seedlings and seawater, the disease spread all over the farms of China. The disease was more rapidly transmitted at temperatures above $25^{\circ}C$. Challenge experiments showed the causative agent was highly virulent. White spots appeared on the carapace of both span-taneous and experimentally infected shrimps. Moribund shrimps contained turbid hemolymph, hypertrophied Iymphoid organ and a necrotic mid-gut gland.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e presence of viral particles in the gills, stomach, lymphoid organ, and epidermal tissue of the infected shrimp. The visions were slightly ovoid with an envelope and averaged 350 $\times$ 150 nm; nucleocapsids measured 375 $\times$ 157 nm. With discontinuous sucrose gradient of 35, 50 and 60% (w/v), the virus was separated from hemolymph of the infected shrimp. The estimated molecular weight of genomic DNA was 237 Kb with EcoR I, 247 Kb with Hind III and 241kb with Pst I. A total of 9 hybridoma colo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Abs) were produced from mouse myeloma and spleen cells immunized with WSSV. The immunofluorescence assay of gill tissue showed that the MAbs reacted with diseased but not with healthy shrimp. The MAbs belonged to IgGl, IgG2b subclass and IgM class, all with kappa light Immune-electron-microscopy with colloidal gold marker showed the presence of 5 MAbs epitopes on the envelope and one on the capsid of the virus. Baculoviral mid-gut gland necrosis showed the specificity of the MAbs produced. For diagnosis 5 different methods were selected. Using Kimura primers for PCR, or MAbs for immunoblot, ELISA or FAT method, in situ hybridization was carried out to show the gene. All these methods detected WSSV in the organ samples of the diseased shrimp but not in healthy one.

속리산과 오대산의 해발고에 따른 산림군락 구조분석 (An Analysis of Forest Community and Dynamics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 유재은;이정호;권기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8-246
    • /
    • 2003
  • 본 연구는 속리산 및 오대산 삼림식생을 기후환경요인 특히 고도 측면에서 밝혀 보고자 하였다. 속리산과 오대산 식생을 고도별로 볼 때 두 지역 간에 고도의 차이가 심하여 같은 고도에서 비교하기는 의미가 없겠으나, 속리산 조사구의 경우 500m 이하의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는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벚나무 등이 중요치가 높게 출현함을 볼 수 있고, 800m이상의 높은 고도에는 신갈나무, 쇠물푸레, 당단풍 등이 중요치가 높게 출현된다. 오대산 조사구에서는 700 m 이하 조사구에서는 소나무, 개옻나무, 생강나무 등이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고, 1000 m 이상 조사구에는 신갈나무, 당단풍, 피나무, 전나무, 까치박달, 거제수나무, 음나무, 참나무 등의 내한성이 강한 나무들이 중요치가 높게 출현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신갈나무, 당단풍 피나무는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등의 양료가 풍부한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굴참나무는 해발고가 낮고 유기물 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mparative floristic diversity of Southwest Primorye and neighboring areas of the Russian Far East

  • Kozhevnikov, Andrey Evhenijevicz;Kozhevnikova, Zoya Vitalijevna;Lee, Byoung Yoon;Kwak, Myoungha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59-67
    • /
    • 2017
  • Southwest Primorye is located in the southern most part of the Russian Far East. The flora of this area is one of the most thoroughly studied and contains 1,530 species of vascular plants, belonging to 622 genera and 154 families, representing 55.6% of the flora of the Primorsky Territory. The flora native to Southwest Primorye encompasses 1,356 species from 547 genera and 148 families. Adventitious plants are represented by 174 species from 127 genera and 37 families. Among other areas of the Russian Far East, only Southwest Primorye has flora in common with the Korean Peninsula, which contains plant species in the subtropical and tropical latitudes: Mitrasacme indica Wight, Halosciastrum melanotilingia [Boissieu] M. Pimen. et V. Tichomirov, Streptolirion volubile Edgew., Lipocarpha microcephala [R. Br.] Kunth, Pueraria lobata [Willd.] Ohwi, Belamcanda chinensis [L.] DC., Zoysia japonica Steud., Deinostema violacea [Maxim.] Yamazaki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et Zucc.] Planch. Most of the flora is represented by the species restricted to Southwest Primorye (seven endemic species) or the Korean Peninsula (seven hemiendemic species). A total of 50.2% of the 10 largest families are nemoral (preboreal) floras, located in the transitional zone of the boreal and nemoral floras.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ranked taxonomic spectrum of the largest families, the flora of Southwest Primorye is more similar to that of Northeast China with influence of the Korean flora.

Effects of Acarbose Addition on Ruminal Bacterial Microbiota, Lipopolysaccharide Level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Yin, Yu-Yang;Liu, Yu-Jie;Zhu, Wei-Yun;Mao, Sheng-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2호
    • /
    • pp.1726-173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arbose addition on changes i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sition of the ruminal bacterial community in vitro using batch cultures.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the rumens of three cannulated Holstein cattle fed forage ad libitum that was supplemented with 6 kg of concentrate. The batch cultures consisted of 8 mL of strained rumen fluid in 40 mL of an anaerobic buffer containing 0.49 g of corn grain, 0.21 g of soybean meal, 0.15 g of alfalfa and 0.15g of Leymus chinensis. Acarbose was added to incubation bottles to achieve final concentrations of 0.1, 0.2, and 0.4 mg/mL. After incubation for 24 h, the addition of acarbose linearly decreased (p<0.05) the total gas produc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total volatile fatty acids, lactate and lipopolysaccharide (LPS). It also linearly increased (p<0.05) the ratio of acetate to propionate, the concentrations of isovalerate, valerate and ammonia-nitrogen and the pH value compared with the control.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the addition of acarbose decreased (p<0.05) the proportion of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and increased (p<0.05) the percentage of Bacteroidetes, Fibrobacteres, and Synergiste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lot based on unweighted UniFrac values and molecular varia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ructure of the ruminal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control was different to that of the ruminal microbiota in the acarbose group. In conclusion, acarbose addition can affect the composition of the ruminal microbial community and may be potentially useful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ruminal acidosis and the accumulation of LPS in the rumen.

밭작물 가뭄피해 경감을 위한 소류천 유출수 저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Long-slope Water Harvesting System in Natural Channel for Drought Mitigation in Upland)

  • 김영진;최용훈;이상봉;김민영;전종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6호
    • /
    • pp.111-118
    • /
    • 2020
  • This study developed a rainwater harvesting system for the irrigation of upland on sloping area. The assess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was evaluated in farm field experience. This system consists of a water catchment device and a collapsible storage tank. The water catchment device was designed to collect runoff water in natural channel of 500 mm width into a pipe of 50 mm inner diameter. The device has funnel-shaped plan and cross-section of squa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llapsible water tank was caculated to meet the water demand for irrigation in 30 a cultivated land for 10-year frequancy drought. The tank has a cuboid shape with a capacity of 30 ㎥, 5 m in width and length, 1.2 m in height. This system can supply 92% of the water required for drop irrigation of red pepper and 88% of the water required for drop irrigation of onions in 30 a cultivation land during the month of May and June. In the case of 16-dry days of 10-years frequency, this system is capable to irrigate 100% of required water for red pepper and onion, 76.7% of required water for Omija (Schisandra chinensis), and 51.5% of required water for autumn kimchi cabbage.

Bivalve Mollusks in Yeongil Bay, Korea. 2. Faunal Analysis

  • Lutaenko Konstantin A.;Je, Jong-Geel;Shin, Sang-H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86
    • /
    • 2006
  • A list of species of bivalve mollusks, their local distributions and relative abundance in Yeongil Bay were analysed. Species richness ranging from 1 to 37 species was low (less than 10) in some stations at the entrance an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Fifteen species (Acila insignis, Nucula tenuis, Yoldia notabilis, Mytilus galloprovincialis, Arca boucardi, Axinopsida subquadrata, Felaniella usta, Mactra chinensis, Raeta pulchella, Nitidotellina hokkaidoensis, Theora fragilis, Alvenius ojianus, Callithaca adamsi, Ruditapes philippinarum and Laternula anatina) wer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and seven of them were most abundant numerically (per sample): Th. fragilis in the inner bay, A. insignis, N. tenuis, and A. ojianus in the outer bay, and C. adamsi, A. subquadrata, R. puichella in both parts. Local distributions of common species were described and presented in plotted data, and three distribution patterns were recognized. Biogeographical analysis shows that a majority of species (55%) belongs to the subtropical group, tropical-subtropical species (16%) play a relatively significant role, and the percentage of boreal (temperate) and boreal-arctic species is 18% which characterizes the whole fauna as subtropical. Zonal-biogeographical composition and number of species in families in Yeongil Bay are compared with those of some Japanese (Wakasa and Mutsu) and Russian (Peter the Great, Possjet and Amursky) bays of the East Sea. The absence of a number of typical warm-water embaymental mollusks in Yeongil Bay found in the north further East Sea and Japan, and the similar zonal-biogeographical structure of the inner and outer bay faunas are explained by active water exchange due to the openness of the bay, relatively low summer temperatures, and presence of upwelled cold waters.

  • PDF

수목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 - 과별(科別)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ad Extractives (X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verse familie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8-17
    • /
    • 2004
  • 수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농약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65와 263종의 수목을 목부, 잎 및 수피로 나누어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진균활성은 균사생장억제율을, 항세균활성은 생육저지환직경을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프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고 과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 우수수종으로는 소나무와 수종 5종(잣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 방크스소나무), 측백나무와 수종 3종(노간주나무, 향나무, 편백) 그리고 콩과 수종 3종(자귀나무, 다릅나무, 회화나무)이 각각 선발되었다. 항세균활성은 자작나무와 6종(개서어나무, 소사나무, 산오리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사방오리나무), 참나무과 5종(구실잣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대극과 4종(유동, 오구나무, 예덕나무, 사람주나무) 그리고 보리수나무와 3종(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릅나무와의 느티나무, 소나무과의 소나무, 콩과의 다릅나무, 측백나무와의 편백 및 향나무는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이 공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물농약 및 천연보존제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96% 이상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8종(비파나무, 섬벚나무, 왕벚나무, 귀룽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국수나무, 찔레꽃)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진달래과로 총 5종(진달래, 철쭉꽃, 산철쭉, 모새나무, 정금나무)이었다. 한편, 공시시료로 사용된 장미과 시료 총 48종 중에 6종만 라디칼 소거능이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과 관련된 성분이 장미과 식물 공통으로 존재할 기능성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