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Forest Community and Dynamics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유재은 (명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이정호 (국립수목원)
권기원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v.5, no.4, 2003 , pp. 238-2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The dominanc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was apparent at elevations below 500 m. Quercus mongolica, Fraxinus sieboldian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were conspicuous above 800 m. Significant P. densiflora, Rhus trichocarpa, Lindera obtusiloba and P. serrulata var. spontanea populations appeared below 700 m elevation in Mt. Odae. Q. mongolica, F. sieboldiana, A. pseudo-sieboldianum, Tilia amuresis, Abies holophylla, Carpinus cordata, Betula costata, Kalopanax pintus and Pinus koraiensis were conspicuous at elevations 1000 m and above. P. densiflora, Q. monoglica, Q. serata, R. trichocarpa and L. obtusiloba populations were significant at elevations below 700 m. Q. mongolica, F. sieboldiana, A. pseudo-sieboldianum, T. amurensis, A. holophylla, C. cordata appeared at elevations above 1000 m.
Keywords
altitude; elevation; Mt. Sokri; Mt. Odae; forest community; forest dynam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상준, 이창석, 1991:속리산 삼림식생의 구조, 동태 및 생태학적 복원,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9, 123-148.
2 박봉규, 오지영, 1971:호대산의 식생. 오대산 및 소금강 좋합학숙 예비조사 보고서. 문화공고부 문화재 관리국. 113-138
3 Nakai, T., 1939: Natulae ad Plantas Asiae Orientalis (X), Jour. Jap. Bot. 15, 627−692.
4 Yim, Y. J. and T. Kira, 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 aridity. Jop. J. Ecol. 26, 157−164.
5 이창복, 1971b: 소금강 및 오대산의 식생. 오대산 및 소금강 종합학술 예비조사 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17-131.
6 이우철, 김윤식, 이은복, 박완근, 1998: 오대산 국립공원 서북사면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연구보고서 38호. 13-45.
7 Nakai, T., 1939: Natulae ad Plantas Asiae Orientalis (X), Jour. Jap. Bot. 15, 627−692.
8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지 8(부록), 1-33
9 김준선, 김갑태, 추갑철, 1990: 속시산 국립공원 소리산지역의 현존 식생. 응용 생태연구 (4) 1-15.
10 이경재,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 1990: 속리산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I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식생 분석. 응용생태연구 4(1) : 33-43.
11 Nakai, T., 1923: Genera nove Rhamnacearum et Leguminosarum ex Asia Orientalis Bot. Mag. Tokyo 37, 29−34.
12 정태현, 이우철, 1961: 충북식물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논문집 6, 229-289.
13 이선, 2000a: 오대산의 산림식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I). 동대산지역의 식물군락분류. 한국임학회지 89, 173-184.
14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15 기상청, 2001: 기상청 인터넷 기후자료. http://www.kma.go.kr/中井猛之進, 1935: 忠北俗離の一瞥 .朝鮮山林會報. 122, 11-33.
16 송호경, 신창남, 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3, 19-58.
17 이선, 2000b: 오대산의 산림식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III). 동대산 식물군락의 입지특성. 한국임학회지 89, 552-563
18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pp.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