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B LED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5초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식품기능적 특성 (Food Function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 of LED Lights)

  • 김도희;최혜진;조우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5-651
    • /
    • 2012
  •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식품기능적 특성과 무기질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청적, 청녹, 적녹 혼합광을 제외한 모든 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31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에서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8종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청색광을 포함한 모든 구(Blue, $B^*R$ $B^*G$, $B^*R^*G^*U$) 및 녹색광에서 재배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ornithine, lysine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beta}$-alanine, ${\beta}$-aminoisobutyric acid, 1-methylhistidine, citrulline 등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송이버섯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 Mg, Ca, Fe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a은 청색광을 제외한 모든 LED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e은 녹색광과 청적 혼합광, K은 적색광과 UV-A, Mg은 적색광, UV-A, 적녹 혼합광에서 함량 증진이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 청적 및 청녹 혼합광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적녹 혼합광을 제외한 모든 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저감과 업무 효율성을 위한 LED 조명환경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LED Lighting Environments for Energy Saving and Work Effectiveness)

  • 김형선;임재현;이기선;김길희;정희창;김진호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45-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ED 광원에 대하여 재실자의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LED 광원의 특성인 펄 스 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와 조도(lux)를 제어하여 총 9가지의 다양한 조명환경을 구성하였다. LED 조명의 펄스변조 비율은 각각 R:G:B=1:1:1, R:G:B=4:1:5, R:G:B=8:7:7으로 하였으며, 조도는 각각 400 lx, 700 lx, 1000 lx 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내환경은 온도 $20{\sim}24^{\circ}C$, 습도 50~60%, 착의량 1 clo 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주어진 9개의 조명환경에서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소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업무 효율성 분석을 위해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에너지 소비 분석을 위해 각 조명환경에서 누적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다. 제안한 조명환경을 통해 실험한 결과, 업무 효율성은 400 lx 보다 700 lx 이상에서 정확도 및 소요시간의 효율이 좋았으며, 소요시간의 경우 제안한 펄스변조 R:G:B=8:7:7 에서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조도에 대한 소비전력은 펄스변조 R:G:B=8:7:7 > RGB=1:1:1 > R:G:B=4:1:5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펄스 폭 변조 효과가 업무효율성 및 에너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G/B 및 백색 LED광원의 색도좌표와 주파장의 비교 고찰 (Comparison of Chromaticity coordinate and Dominant wavelength for General R/G/B/W LEDs Light Source)

  • 황명근;조미령;신상욱;이세현;이주성;정봉만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6-169
    • /
    • 2007
  • 최근에 정부의 "15/30 LED조명 보급정책"에 힘입어 개발된 8W급 조명용 LED광원의 CIE 색도좌표 (chromaticity coordinate)와 주파장(dominant wavelength)등을 측정 고찰 하였다. 적색(R), 녹색(G), 청색(B), 백색(W)순으로 주파장은 각각 620[nm], 531[nm], 465[nm], 579[nm]이고, 자극순도(excitation purity)는 0.98, 0.82, 0.97, 0.15이며, 휘도순도(colorimetric putity)는 45[%], 16[%], 279[%], 6[%]로 나타났다. Power LED의 최적배치 설계로서, 특히 백색 LED광원의 경우 백열전구(15 lm/W)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효율(47.71m/W)을 보였고, 배광측정에서는 78.7%의 효율로 나타났다. 현재 LED광원은 MR16이나 베이스 타입 등의 형태로 제작하여 스탠드, 복도등, 비상유도등, 침실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일부는 LED의 원형이나 면(flat)타입으로 가로등이나 투광등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각각의 특성들을 제시해 둘 필요성인 인지되어 국내 최초로 개발된 R/G/B/W 8W급 LED광원에 대한 기본적인 광특성 결과를 얻었으며, 이중에서 HB 백색 LED램프의 색도좌표 값을 얻어 CIE표준광과의 색도좌표(x, y) 위치를 비교 검토할 수 가 있었다.

  • PDF

건축파사드 LED칼라의 감성평가모형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Evaluation Model of LED Colors in Architectural Pacade)

  • 유용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0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motional evaluation model related to LED lighting colors and suggest basic informations that enable planned directions of architectural pacade lighting to simulate beforehand in a laboratory. As experimental methods, extracted PAD emotional evaluation model and then directed a experimental model of 10 LED lighting colors, studied and analyzed survey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Pleasure-Unpleasure), Red, Yellow, Green, Cyan, Magenta, White and Combination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satisfying, vibrant and positiv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Second, in the case of A(Arousal-Unarousal), Red, Yellow, Green, Cyan, Blue, White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G$, $G{\leftrightarrow}B$, $R{\leftrightarrow}B$ Colors, it makes a little difference, they have shown useful distribution chart to induce sight in a aroused state. Third, in the case of D(Dominance-Submissiveness), Red, Cyan, Green and Combinations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free, controlling and extent of effect was excellent.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Yellow and Magenta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they are gentle and arouse the protective instinct or feminin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Fourth, it showed difference of preference that difference of select ratios of both men and women in Orange, Blue, Greenish-Yellow (preference of man) and Magenta,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Colors(preference of woman).

  • PDF

광 강도 제어에 따른 LED의 광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ght Quality of LED for Control of Light Intensity)

  • 박상희;안준철;허정욱;최한고;최성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75-182
    • /
    • 2012
  • Light characteristics of the monochromatic red(R), blue(B), green(G) and white(W) and the mixed LED (B-R LED) were investigated by light control a Spectrometer-MMS1 and an illuminometer.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LED was 1W and R LED has five wavelength bands(600nm, 640nm, 660nm, 680nm, 750nm). The light intensity of each LED was changed in a range 10~100%. As a results, the wavelength and the spectrum distribution of R LED increase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but the wavelength of B, G, W LED decreases. It was found that illumination of each mononochromatic and B-R LED increases linearly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R-B light has greater values than those obtained by monochromatic light at the same conditions.

Eucalyptus pellita의 기내(器內) 줄기생장에 미치는 LEDs (Light-emitting diodes) 및 환기처리(換氣處理)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and Ventilation on the in vitro Shoot Growth of Eucalyptus pellita)

  • 김지아;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16-722
    • /
    • 2006
  • Eucalyptus pellita 기내줄기를 재료로 광질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줄기의 생장은 광질보다는 환기처리가 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기처리 한 청색광(blue LED) 하에서 묘고, 잎수, 절간수 및 액아수가 양호하였고, 잎에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았다. 식물체의 충실정도를 나타내는 건물율 역시 환기처리 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청색광 하에서 가장 높은 건물율을 나타냈다. 광질별 총엽록소 함량은 형광등과 혼합광 R5B5(50% red LED + 50% blue LED)에서 $24.5{\mu}g/g$$20.1{\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합성에 관여하는 카로티노이드 함량 역시 적색광(red LED)을 제외한 모든 광질에서 환기 처리 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 pellita의 기내 줄기생장은 환기처리가 중요하고,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기준으로 볼 때 혼합광 R5B5에서 건전한 줄기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휘도 LED R/G/B/A/W의 광특성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High-Brightness LEDs for R/G/B/A/W Properties)

  • 황명근;송정용;허창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방전 플라즈마연구회
    • /
    • pp.100-103
    • /
    • 2003
  • 고휘도 LED(light emitting diode) 빨강(R), 녹색(G), 파랑(B), 호박색(A), 백색(W) 등의 중요한 광학특성인 광속(luminous flux), 효율(luminous efficacy), 피크 파장(peak wavelength), 가중치 평균 파장(weighted average wavelength), 반치폭 (full width at ha1f maximum), 색도좌표(chromaticity coordinate), 주 파장(dominant wavelength), 자극순도 (excitation purity) 와 휘도순도(colorimetric purity)에 대해서 비교검토하였다. 시험결과로 제시된 LED의 기본적인 특성 데이터는 추후, 새로운 조명용 LED 램프나 등기구(luminaire)를 개발 및 특성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혼합 발광다이오드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 및 광 이용 효율 비교 (Comparison of Combined Light-emitting Diodes and Fluorescent Lamps for Growth and Light Use Efficiency of Red Leaf Lettuce)

  • 손기호;송민정;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세가지 혼합 LED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과 광이용효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18일간 육묘한 적치마상추묘를 적색(R, 655nm), 청색(B, 456nm), 녹색(G, 515nm), 백색(W, 456nm + 558nm)의 혼합 LED(R:B=8:2, R:W:B=8:1:1, R:G:B=8:1:1)와 형광등이 설치된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형광등에서 자란 상추는 모든 LED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엽형지수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에서 LED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모든 LED 처리가 형광등에 비해 약 34% 지상부 생체중의 증가를 유도시켰다. 한편, 정식 후 4주차에 형광등의 총 소비 전력은 145kW인 반면, LED 처리구들에서 형광등의 약 1/3배인 54kW를 나타냈다. LED 처리구들의 건물중에 대비한 광 이용 효율은 약 34mg/W였으며, 이는 형광등 보다 약 3.5배 높은 값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적절한 조합의 LED 조사는 형광등에 비해 상추 생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통해 광이용효율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LED 광질 조건에 따른 배초향 생장 및 항산화 물질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Content and Growth of Agastache rugosa as Affected by LED Light Qualities)

  • 김성진;복권정;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0-268
    • /
    • 2018
  •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방식으로 재배 된 배초향(Agastache rugosa)의 생장과 항산화 물질 축적에 대하여 단색 또는 복합 LEDs의 광질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수행하였다. 본엽 4매인 배초향 묘를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으며, 백색(W10), 적색(R10), 혼합 LEDs (W2B1G1, R3B1, R2B1G1, W2B1G1: 각 LED의 PPFD 비율) 및 형광등(FL: 대조구)을 이용하여 $180{\pm}5{\mu}mol{\cdot}m^{-2}{\cdot}s^{-1}$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FD)의 조건과, 16/8h 광주기, $22{\pm}1/18{\pm}1^{\circ}C$ (주/야간) 온도, $60{\pm}10%$의 상대 습도로 관리된 재배실에서 4주동안 배초향을 재배하였다. W2B1G1 광조건에서 자란 배초향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모든 처리중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R10 조건에서 재배 된 배초향은 초장이 가장 길었지만 SPAD는 모든 처리와 비교해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배초향의 건물중당 rosmarinic acid 농도는 W2B1G1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물당 tilianin 함량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할 때, R3B1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체 식물체에 함유 된 rosmarinic acid와 tilianin 함량은 W2B1G1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식물공장에서 배초향을 재배하기 위해, W2B1G1으로 구성된 혼합 LED 광 조건이 배초향의 생장과 항산화 물질축적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식물 전체에 함유 된 항산화 물질의 총량이 상업적 용도로 중요하다는 것과, 광질의 최적 선택을 통해서 기능성물질의 증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에케베리아 6품종의 엽삽 시 식물공장시스템 내 LED 파장에 따른 번식 효율 (Propagation Efficiencies at Different LED Light Qualities for Leaf Cutting of Six Echeveria Cultivars in a Plant Factory System)

  • 김성민;김지선;오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3-370
    • /
    • 2018
  • 다육식물인 에케베리아(Echeveria)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번식효율이 품종이나 환경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연중 고품질 묘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이 연구는 밀폐형 식물공장 내에서 LED 파장 조합이 에케베리아 엽삽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주년 생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번식이 어려운 'Afterglow(AG)', 'Berkeley Light(BL)', 'Mason(MS)', 'Subsessilis Light(SL)', 'Cream Tea(CT)', 'Ben Badis(BB)' 등 6품종의 모주로 부터 균일한 잎을 채취하여 실내온도 $24{\pm}2^{\circ}C$, 상대습도 $60{\pm}10%$의 식물공장 내에서 혼합상토에 삽목하였다. 청색(B, 450nm), 녹색(G, 530nm), 적색(R, 660nm), 원적색(FR, 730nm) LED를 이용하여 R10, R8+B2, R5+B5, R7+B2+FR1, R7+B2+G1의 비율로 광질을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PPFD는 $200{\mu}mol{\cdot}m^{-2}{\cdot}s^{-1}$, 광주기는 16/8(명/암) 시간이었다. 그 결과, 번식 효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SL'은 상대적으로 발근과 신초 형성이 쉽게 되었으나, 'AG'는 발근과 뿌리 생장이 잘 되지 않았다. LED 파장 또한 번식효율에 영향을 주었는데, B 비율이 높은 R5+B5, R7+B2+FR1, R7+B2+G1 하에서 신초 형성과 생장이 촉진된 반면, 발근과 뿌리 생장은 억제되었다. 반대로, R 비율이 높은 R10나 R8+B2 하에서는 부정근 형성 및 생장이 촉진된 반면, 신초 형성 및 생장이 억제되었다. 한편, FR은 잎의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번식이 어려운 에케베리아 품종의 엽삽 시 번식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파장별 효과를 활용한 적정파장 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