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Policies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3초

AHP를 이용한 에너지-IT 융합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Deduction of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ies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오남걸;김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7B호
    • /
    • pp.1091-1097
    • /
    • 2010
  • 세계적으로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로 인한 에너지 및 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에너지-IT(Energy-IT, EIT)융합기술이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외 EIT 융합기술에 대한 정책적 연구개발 및 투자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IT 융합 기술의 효용성을 조사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EIT 융합기술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부의 국가 에너지 문제 해결과 경쟁력을 향상을 위한 정책 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결과 에너지 저감 분야 중에서는 에너지절약형건물(green building) 분야가 가장 효용성 있는 융합분야로 분석되었고, 에너지절약형건물 분야 내의 융합기술 중에서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한 건물 내 에너지소비기기가 기술성, 경제성 부문에서 높은 중요도를 받으면서 가장 높은 기술로 평가 되었다.

ICT 융합기술에서의 기술경쟁력이 기업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ICT Convergence Technology on Corporate Diversification)

  • 이현민;김선재;김홍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85-419
    • /
    • 2018
  • 본 연구는 산업조직이론과 자원기반관점을 통합하여 사업 다각화에 대한 산업환경요인과 기술역량의 결정요인들로 구성한 통합모형을 설계하고, 제안한 모형을 스마트공장 ICT융합기술(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분야) 특허 출원기업 272개사의 6개년(2010년~2015년) 특허 및 재무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정효과 패널모형을 분석한 결과, 기업의 사업다각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기술경쟁력은 사업 다각화 수준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2단계 최소자승 고정모형을 분석한 결과, 출원특허수 보다 융합특허비중이 기술경쟁력을 증대시키는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기업의 ICT융합기술자원 및 역량을 바탕으로 한 사업 다각화 전략기획방향과 정부 R&D 정책과 관련하여 융합기술자원의 사업화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n the Features and Effect of University Research Organization Support Programs

  • Park, Kibeom;Um, Mi-Jung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4호
    • /
    • pp.41-61
    • /
    • 2010
  •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leading research hubs at universities began with the initiation of the Scienc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in 1990. Such efforts to provide support to research organizations have continued for some twenty years in various forms, which implies that building research hubs was critical in acquiring global leadership in research. However, the effect of such research hub nurturing policies has never been properly evaluated, apart from an assessment of their validit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how major programs to form research groups by providing assistance to joint research by researchers at universities are oper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programs. There are two major focal points in the analysis: the first is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between Research Organization Support Programs (ROP) and other R&D Programs from an efficiency perspective, and the second is an examination of the extent of systematization of research organizations that exist at universities and impact of Research Organization Support Programs on the activities of participating professors from an effectiveness perspective. The result showed that the ROP were no longer only relevant for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search groups. Other R&D Programs are growing increasingly larger in scale and conducted over longer periods of time. Thus, the ROP can no longer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programs in research period and size of funding.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OP demonstrated that all activities by participating professors in organizations that were the beneficiaries of group research assistance were more activ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organizations that received other research support,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elements of systematization. This implies that the joint research conducted at universities is not systematized and that it is still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themes but conducted jointly. In addition, it also means that the ROP is failing to effectively lead the systematization of research. In other words, today, university research organizations are not operated as independent, long-term bodies, but are more relevant as a combination of research units of individual professors.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Notes o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for Resilient Response to Disaster)

  • 신상민;박희경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20
    • /
    • 2015
  • 우리나라는 현재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구축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재난관리의 미비점들로 인해 여전히 국내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우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재난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함께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 개념을 고려하여 현재의 국가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성 및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원칙들, 즉 다양성과 가외성, 상호연결성, 완속 변수/요소 제어, 시스템적 접근, 학습 및 피드백, 적극적 참여 등을 바탕으로 국내 통합 재난안전관리의 개선방향을 검토 및 논의하였다. 이는 국가 통합재난안전관리 역량 및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 및 정책, R&D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융합 동향 및 정책 개선방안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 Convergence Trend and Policy Improvement Plan)

  • 양희태
    • 정보화정책
    • /
    • 제27권2호
    • /
    • pp.3-19
    • /
    • 2020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핵심기술로 각광을 받으며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지능은 데이터 확보 및 검증, 결과값에 대한 근거 설명 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고 블록체인 역시 과다한 에너지 소모, 데이터 관리의 유연성 부족 등이 확산을 저해하는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지닌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의 기술 및 산업 동향과 한계점,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융합 방안을 분석하고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혁신정책 관점을 적용해 연구개발(R&D) 강화 측면에서 1) 국가 차원의 중장기 인공지능/블록체인 융합 연구 추진, 2)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데이터 플랫폼 구축, 혁신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3) 산업별 인공지능/블록체인 융합 응용 발굴 지원, 4) 인공지능/블록체인 융합 비즈니스 모델 개발 스타트업 지원, 법제도 개선 측면에서 5) 규제 샌드박스 확대 적용, 6)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 정비를 제안하였다.

종합군수지원(ILS) 측면의 린 메인터넌스 프레임워크, 정비 전략 제시 및 린 예방정비(PM) 사례 연구 (Lean Maintenance Framework, Maintenance Strategy for ILS and Case Study on Lean PM)

  • 임재훈;서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502-5512
    • /
    • 2014
  • 최근까지의 종합군수지원 개발은 정비계획, 지원장비, 보급지원, 군수지원교육 등 ILS 지원성요소의 개발, 획득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이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무기체계의 운용유지와 총수명주기관리체계(TLCSM)와 같이 지속유지성을 강조하는 제도 등을 고려하여 지원성 분야의 효율성 증대, 비용절감 등 린(LEAN) 관점에서 지원성 전략과 정책이 필요할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ILS 이론, 린 개념, 린 메인터넌스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군수지원 측면의 린 메인터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정비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레이더 체계의 금속형 필터에 대한 린 예방정비(PM) 사례를 정비 시간, 정비 인시, 정비 비용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무기체계의 지원성요소 측면에서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신산업 분야의 규제 도입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tion in the New Industr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 이상규;김수동;김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79-187
    • /
    • 2016
  • 정부의 규제가 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여 왔다. 이에 한동안 규제완화 정책이 시도되었으나 최근에는 규제완화보다는 더 나은 규제(better regulation)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신산업이 등장함에 따라 이 분야의 기업 경영활동에 규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산업 분야의 경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한 규제개선 방향을 수립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산업 분야에서 규제가 기업의 경영활동,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더 나은 규제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규모와 연구개발 집적도에 따라 규제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 규제정책 수립 시 기업규모와 연구개발 집적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제조업의 글로벌 활동과 기술혁신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기업 유형과 지식원천을 중심으로 (What Explains Firm's Innovativeness in Korean Manufacturing?: Global Activity and Knowledge Sources)

  • 최용석;김기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2호
    • /
    • pp.41-70
    • /
    • 2013
  • 본 논문은 수출활동 및 다국적기업화 등 기업의 글로벌 활동과 다양한 혁신성과 간에 존재하는 양의 상관관계가 한국 기업 데이터상에서도 존재하는가, 그리고 만일 그러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면, 글로벌 활동 유형별로 혁신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어 어떠한 요소가 중요한가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외국 다국적기업의 국내지사의 경우 혁신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주로 기존 지식을 활용하는 데 반해 국내 수출기업 및 국내 다국적기업의 모기업의 경우에는 기존 지식의 활용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에 대한 투자(직접적인 R&D 활동)를 통해 혁신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둘째, 공정혁신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주로 기존 지식의 활용이 중요한 요소인 데 반해 제품혁신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투자와 기존 지식의 활용이 모두 동일한 정도로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 있어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기업들이 기존 지식에 대해 보다 높은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정책방향을 견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LDA 기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이슈의 토픽모델링 분석 (Topic Modeling on Fine Dust Issues Using LDA Analysis)

  • 윤순욱;김민철
    • 에너지공학
    • /
    • 제29권2호
    • /
    • pp.23-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미세먼지 관련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LDA 분석을 통해 최적 토픽을 도출하였다. 최적 토픽으로 선별된 80개의 이슈를 미세먼지 정책의 시각에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온과 같은 날씨와 관련된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가 관련되어서 이슈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경유차 운행 제한 제도와 저감 장치 부착과 같은 이슈의 빈도수가 높았다. 국민에 대한 제도 변경 안내를 포함하여 시민과 운수업자와의 갈등도 주요한 토픽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소차 보급과 같은 대안도 주요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세먼지 관련 공기청정기 등 제품 관련 주제, 취약계층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는 정책과 관련된 주제, 연구개발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관련 주제가 주요 화두로 제기되었다. 미세먼지 대책은 사회 이슈로 정부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토픽 상에서는 거시적인 정부정책 자체보다는 시민의 안전, 시혜적인 정책이나 이해관계자간의 갈등이 정부정책 변화와 연동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내부 특성이 기술기반 스핀오프에 미치는 영향 연구 (How Factors Inside University Can Influence Technology-Based Spin-offs?)

  • 김한준;김영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60-58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학 내부 특성이 기술기반 스핀오프 생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대학의 기술기반 스핀오프와 관련된 총 5년간의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간 2년의 시차를 적용함으로써 총270개 대학의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생성되는 스핀오프를 기술기반 스핀오프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대학 스핀오프에 대한 연구를 심층적으로 수행했고, 기존에 서구권 중심으로 진행됐던 대학 스핀오프 실증연구를 아시아권까지 연구의 폭을 확대하였다. 분석결과는 운영 경험이 더 많은 TLO, R&D 인력규모가 크거나 창업지원 규정이 있는 대학, 그리고, 창업보육센터를 보유한 대학이 기술기반 스핀오프 기업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 내부의 TLO, 대학, 창업지원조직 등 세가지 측면에서 기술기반 스핀오프를 효과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산업 창출과 신산업 고용증가를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