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D 프로그램 평가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사례 비교연구

  • Lee, Jeong-Dong;Hwang, Jeong-Ha;Park, Chan-S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158-175
    • /
    • 2005
  •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정부투자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동시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부 R&B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에 대한 체계를 비교분석함으로서 올바른 성과평가의 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각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기에 앞서 성과평가와 관련한 일반적인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R&D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가 갖추어야 할 이론적인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위해서는 R&D 활동 자체가 혁신시스템 안에서 수행되고, 집행과정에서 그 효과가 증폭되어 혁신시스템을 변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책평가 이론 외에도 혁신시스템 이론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혁신시스템적 사고방식하에서 올바른 성과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평가기준으로 서 제시되는 적합성, 효율성, 효과성의 각각에 대해 혁신시스템적 기여도에 대한 고려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혁신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는지, 환경적인요인을 고려했는지, 혁신 요소들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에 대해 충분한 고찰을 하고 있는지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실증연구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모두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맞춰 각 국가 별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해외와 국내의 주요 R&D 프로그램으로 비교적 성과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를 통해 각 프로그램의 성과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밝히고 이들을 비교하여 적절한시사점 이 도출하였다. 이들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혁신시스템을 고려한 성과평가의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추후에 진행될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에서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일반 모형을 응용함으로써 조금 더 체계화된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결과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검증결과 관점간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연구회별 관점의 가중치와 소속 연구기관별 관점의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연구회의 가중치와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일부 연구기관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지표에 대한 각 지표별 가중치와 지표 문항 개선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능을 충진시켜서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또한 콜로니 자극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면역담당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암의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저하된 백혈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근의

  • PDF

A Comparative Study on Government R&D Evaluation System in Selected Countries (주요국의 정부 연구개발(R&D) 평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 Kim, Jong-Woon;Ha, Kyu-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77-90
    • /
    • 2013
  • This study is to seek measures for streamlining the evalu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levant government policy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in the manner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ssues and cases regarding the govern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funded R&D programs in selected countries. In Korea, a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by law in 2006. In United States, Obama government has enhanced 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 by signed into law the GPRA Modernezation Act of 2010. The Japanese Government issued a newly revised Guideline on National R&D Evaluation in late 2012. European Union has also been constantly updating its evaluation system for Framework Programmes(FPs) begun since 1984. This study gets some insights from the recent development of R&D evaluation in the other countries.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R&D evaluation system to be in line with national S&T policy and agency's mission. In micro views, specific evaluation approaches and methods by types of various R&D programs should be more illustratively developed.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to monitor recent trends and techniques on R&D evaluation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to communicate and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international evaluation research network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valuation Systems of the Public R&D Programs in the Developed Countries (선진국공공연구개발프로그램 평가시스템의 비교분석)

  • 홍형득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4 no.3
    • /
    • pp.275-290
    • /
    • 2001
  • The frameworks for evaluation of national R&D programs reflect their variou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ultures(Gibbons & Georghiou, 1987), and the structure of national R&D system. In this research the core research questions are : what is god evaluation\ulcorner What is being evaluated, by whom, by which criteria, for whom and what purpose\ulcorner In order to examine these general aims and answer these questions, in detail several objectives can be proposed o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n this research, the national R&D programs will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interface between evaluation and the wider policy-making process. The programs for case study are the Alvey program(UK), the Advanced Technology Program (US) and the Framework program(EU) .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grams is the well established evaluation systems they have.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an withdraw some useful implication for Korean evaluation practice for national R&D programs. Evaluation system is social process and the way in which it is organized is critical to its outcome.

  • PDF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Meta-evaluation Model for National R&D Programs (국가연구개발사업 메타평가모형 설계와 응용)

  • Ryu, Youngsoo;Choi, Byungdae;Choi, Sang 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703-732
    • /
    • 2014
  • Meta-evaluation for national R&D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whole R&D system link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needs and objectives. The R&D program evaluation system can be understood as a circulation of input, implementation, output, and utilization. In the result of the Delphi survey, which consisted of twenty-four experts (performed in three rounds), twenty-four indices were developed. The meta-evaluation model included sub-items which were important points of view of it as follow (eight items): propriety of planning, sufficiency of information, and propriety of evaluators in evaluation input; appropriateness of method and appropriateness of procedure in evaluation implementation; credibility of output in evaluation output; and usefulness of repor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utilization. As the application of the meta-evaluation model, the total mean was lower than 3.0 of the median value of 2.73 (5 point Likert scale).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more enforced to R&D program improvement particularly (evaluation utilization 2.50).

Building Transparency on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of Radioactive Reposito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yber R&D Platform;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Scenario and Input of TSPA Data through QA Procedures (Cyber R&D Platform개발을 통한 방사성폐기물 처분종합성능평가(TSPA) 투명성 증진에 관한 연구; 시나리오 도출 과정과 TSPA 데이터 입력에서의 품질보증 적용 사례)

  • Seo, Eun-Jin;Hwang, Yong-Soo;Kang, Chul-Hyu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4 no.1
    • /
    • pp.65-75
    • /
    • 2006
  • Transparency on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TSPA) is the key issue to enhance the public acceptance for a radioactive repository. To approve it, all performances on TSPA through Quality Assurance is necessary. The integrated Cyber R&D Platform is developed by KAERI using the T2R3 principles applicable for five major steps : planning, research work, documentation, and internal & external audits in R&D'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in the web-based system so that all participants in TSPA are able to access the system. It is composed of three sub-systems; FEAS (FEp to Assessment through Scenario development) showing systematic approach from the FEPs to Assessment methods flow chart, PAID (Performance Assessment Input Databases) being designed to easily search and review field data for TSPA and QA system containing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QA on five key steps in R&D's in addition to approval and disapproval processes, corrective actions, and permanent record keeping. All information being recorded in QA system through T2R3 principles is integrated into Cyber R&D Platform so that every data in the system can be checked whenever necessary. Throughout the next phase R&D, Cyber R&D Platform will be connected with the assessment tool for TSPA so that it will be expected to search the whole information in one unified system.

  • PDF

The Development of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considering Fatigue and Durability (피로 및 내구성을 고려한 LNG 저장탱크의 수명평가 프로그램 개발)

  • Kim, Jung-Hoon;Kim, Young-Gu;Jo, Young-D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3
    • /
    • pp.39-45
    • /
    • 2017
  • The LNG storage tank as core facility of LNG industry is mainly composed of the inner tank of nikel 9% steel and the outer tank of prestressed concrete. To respond proactively increased risk of structur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fatigue of the inner tank and durability reduction of the outer tank,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is needed. In this study,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was developed to assess fatigue of the inner tank and durability(carbonation and chloride attack) of the outer tank. By defining the main three scenarios in the inner tank, the fatigue life analysis is conducted from structural analysis and Miner's damage rule. Carbonation progress of the outer tank is predicted according to thickness of cover concrete by using carbon dioxide contents and data of penetration depth. To consider a variety of input conditions and a reliability in results of chloride attack, the evaluation of choride attack for the outer tank is constructed through Life-365 program of open sourc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ational Large - Scale R&D Program - With the Biotech2000 Program - (대형국가연구개발프로그램의 평가에 관한 연구 - Biotech2000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홍형득;강근복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 no.1
    • /
    • pp.125-14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형국가연구개발프로그램인 Biotech2000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시도하는데 있다. 대형연구개발프로그램과 그 평가에 관련된 연구가 아직 구조화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공공정책학분야에서 발전되어온 정책평가이론을 바탕으로 대형연구개발프로그램의 평가를 하기 위한 탐색적인 개념틀을 적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14년(1994-2007)의 장기대형프로그램으로 1단계를 마친 Biotech 2000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평가의 구성요소 및 이들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평가는 참여자와의 인터뷰조사와 생명공학관련 산·학·연 연구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그 밖의 2차 자료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평가의 구성요소로는 프로그램의 원칙 및 전략평가, 추진체계 및 집행평가 그리고 목표달성평가(성과 및 영향평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범부처적인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의 형성 및 집행에 있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초기단계이긴 하지만 생명공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처간의 조정이나 연구과제의 비일관성, 산업화에 대한 전략 등의 부재가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odel in Public R&D Programmes - Conceptual Approach (국가 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개발 - 개념적 접근방법)

  • Jo, Yong-Gon;Jo, Ge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52-1058
    • /
    • 2005
  •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려는 노력은 선진국의 경우 이미 상당히 정착된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1999년부터 국가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조사${\cdot}$분석${\cdot}$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부 내에서 연구개발 프로그램이 다원화되고 다양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전체적인 차원의 전략적 중요성은 계속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프로그램 평가 모형을 고찰하고, 특히 국가 연구개발 프로그램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개발 성과(Performance), 프로세스(Process), 사람(People)의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으로서 ${\ulcorner}$연구개발 프로그램 행동-프로세스 모형${\lrcorner}$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