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26D outpu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6초

양손 전극의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측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asuring Cardiac Output by Both Hands Electrode Impedance Method)

  • 정상오;심명헌;정운모;김민용;윤찬솔;윤형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9호
    • /
    • pp.1770-1776
    • /
    • 2011
  • In this study, a new method that can estimate ICG data from a subject's both hands to measure Cardiac Output under convenient sensor environment. With this aim, a grip-type electrode was implemented to measure ICG. To improv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the regression equation was extracted using multiple bio-parameters and our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thoracic ICG equipment(Physio Flow$^{(R)}$, PF104D, Manatec Biomedical, France), which is being used in clinics. The subjects consist of 26 men and 4 women(age in $22.0{\pm}3.32$). They are no cardiac disease. Parameters available for regression model were used gender, BMI, MBP, LVET, dZ/dt(max), distance between the measured electrodes, body impedance, and PT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CG measurement value on thorax and both hands, the correlation with stroke volume, heart rate, and cardiac output was $R^2$=0.853, $R^2$=0.958 and $R^2$=0.899, respectively.

한국 R&D투자의 기술수준별 제조업 구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표 활용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R&D Expenditure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Technological Levels: Using the Input-Output Table)

  • 박창대;안승구;박중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1호
    • /
    • pp.85-105
    • /
    • 2018
  • 본 논문은 한국의 연구개발투자가 제조업구분에 따른 파급효과들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2010~2014년 국내 산업연관표 상에서 연구개발투자 부문을 외생화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술수준 분류표에 입각하여 기술수준별로 제조업을 분류하여 연구개발투자가 미치는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의 기술수준별 제조업 구분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중고기술과 중저기술에 속한 제조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가가치유발효과 역시 중고기술 제조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개발투자가 가장 많은 고기술제조업에서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상기 2부문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제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기술수준의 제고를 달성하고 이를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이어간다는 품질사다리론과 연계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한국의 연구개발투자가 고기술제조업의 생산유발과 부가가치효과의 증대를 위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본 논문은 산업연관표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연구개발투자의 시차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안고 있다.

40 W급 고출력 MMIC 개발과 고출력 증폭기 모듈 결합을 통한 Ku 밴드 반도체형 송신기(SSPA)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Ku band Solid-State Power Amplifier(SSPA) through the 40 W-grade High Power MMIC Development and the Combination of High Power Modules)

  • 나경일;박재웅;이영완;김혁;강현철;김소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7-233
    • /
    • 2023
  • In this paper, to substitute the existing TWTA(Travailing Wave Tube Amplifier) component in small radar system, we developed the Ku band SSPA(Solid-State Power Amplifier) based on the fabrication of power MMIC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chips. For the development of the 500 W SSPA, the 40 W-grade power MMIC was designed by ADS(Advanced Design System) at Keysight company with UMS GH015 library, and was processed by UMS foundry service. And 70 W main power modules were achieved the 2-way T-junction combiner method by using the 40 W-grade power MMICs. Finally, the 500 W SSPA was fabricated by the wave guide type power divider between the drive power amplifier and power modules, and power combiner with same type between power modules and output por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is SSPA had 504 W output power, -58.11 dBc spurious, 1.74 °/us phase variation, and -143 dBm/Hz noise level.

중국의 농업기술진보와 농업환경보조금이 농업발전에 미치는 동태적 파급효과 - 동북 3성을 중심으로 - (The Dynamic Effects of China's Agricultural Technology Progress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Grant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 Focusing on 3 Dongbei Province in China -)

  • 김림;문홍성
    • 농촌계획
    • /
    • 제26권3호
    • /
    • pp.57-65
    • /
    • 2020
  •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has contributed not only to agriculture but also to the overall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The recent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aised the need for agricultural R&D as a preparation. Agriculture R&D is directl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sectors that utilize big data, robot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oud. Meanwhile, subsidies or grants are considered the most widely used means of policy. Therefore, in light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Chinese agriculture values R&D investmen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establishing a model of agricultural environment subsidy representing the role of government, agricultural technology progress representing existing agricultural R&D investment, agricultural income representing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total agricultural outpu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ach variable's reaction to the rise in China's agricultural R&D inve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gricultural development, in line with the theory that the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gricultural sector has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response of each variable to China's rising agricultural environment subsidy is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theory that the government's market-friendly intervention is beneficial to economic development.

SVM를 적용한 매트릭스 컨버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trix Converter Based on Space Vector Modulation)

  • 양천석;윤인식;김경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2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matrix converter based on space vector modulation technique. The matrix converter provides sinusoidal input and output wave forms, bidirectional power flow, controllable input power factor and a compact design, compared to the VSI with diode rectification stage at the input. The implemented prototype of matrix converter is built using the exclusive IGBT module and has an input filte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commutation means for overcoming practical issues. The good results tested using an induction motor are also presented.

  • PDF

고선형성, 고효율의 Wibro용 PAM 설계 (Design of the PAM with High Linearity and Efficiency for Wibro)

  • 오인열;김태수;이근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19-528
    • /
    • 2006
  • 본 논문은 Wibro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PAM 사양을 설정하고, 사양을 바탕으로 Wibro 동작에 적합한 PAM 구조를 제시하고,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Wibro용에 적합한 PAM 설계가 되도록 2005년 802.16e 규격 승인에 따른 최종 개정 안인 TTA의 TTAS_Ko_06_O082R1과 국제규격 IEEE Std. 802. 16d/e를 기반으로 사양을 정하였으며, 높은 효율 동작을 위해 최종단 증폭기는 Doherty 구조를 갖도록 하였고, 보다 높은 선형성 동작을 위해 pre-distorter를 적용 설계하였다. 제작된 PAM은 전체의 사용 대역과 전체의 사용 출력 범위에서 $26.5dB{\pm}1.0dB$의 이득 특성과 -14 dB 이하의 입출력 반사 손실 특성을 가지며, 최대 사용 출력인 26 dBm의 출력점에서 pre-distorter에 의한 4 Tone IMD 특성의 8 dB 개선 효과를 얻어 37 dBc의 결과를 얻었고, Wibro 신호에서는 4.77 MHz Offset 지점에서 5 dB의 개선 효과를 얻으면서 31 dBc의 스프리어스 동작 특성을 얻음과 동시에 Doherty 방식 적용으로 27% 정도의 효율 동작 특성을 얻었다. 제작된 결과는 기존 일반 PAM 구조와 Balanced 구조 그리고 전치 왜곡기가 적용되지 않은 Doherty 구조와의 동작을 비교 분석하여 비교 우위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레이더 응용을 위한 X-대역 40W AlGaN/GaN 전력 증폭기 MMIC (A X-band 40W AlGaN/GaN Power Amplifier MMIC for Radar Applications)

  • 임병옥;고주석;류근관;김성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22-72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0.25 ㎛의 게이트를 갖는 AlGaN/GaN HEMT를 기반으로 개발된 X-대역 전력 증폭기 MMIC의 특성을 기술한다. 개발된 X-대역 전력 증폭기 MMIC는 9 GHz~10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21.6 dB 이상의 소신호 이득과 46.11dBm(40.83 W) 이상의 출력 전력을 가진다. 전력 부가 효율 특성은 43.09%~44.47%이며 칩의 크기는 3.6 mm×4.3 mm이다. 출력 전력 밀도는 2.69 W/mm2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AlGaN/GaN 전력 증폭기 MMIC는 다양한 X-대역 레이더 응용에 적용 가능하다.

레이더용 X대역 GaN 반도체 송수신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X-Band GaN TRM for a Radar)

  • 임재환;진형석;유성현;박종선;김태훈;임덕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2-1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에 사용되는 X대역 반도체 송수신기의 설계와 측정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기존의 50 W 이하의 X대역 송수신 모듈 대비, 단위 증폭 소자로 GaN 소자를 사용하여 증폭회로를 설계하여 고출력, 고효율의 성능을 구현하였다. 제작된 반도체 송수신기의 송신 출력은 200 W(53 dBm) 이상이며, 최장 펄스 폭은 20 us에서 펄스 평탄도는 0.4 dB를 만족한다. 최대 듀티 비는 20 %이다. 수신 이득은 26 dB, 잡음 지수는 4.5 dB의 수신 특성을 갖는다. 송신 출력에 의한 수신 경로 및 단위 증폭 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PRS 및 49-QPRS 채널의 Trellis-Coded 변조 기술 (Trellis-Coded Modulation Techniques for PRS and 49-QPRS Channels)

  • 방성일;진연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743-1751
    • /
    • 1989
  • In this paper, we consider trellis-coding techniques with the convolutional encoder R=k/(k+1)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igital transimission over bandlimited noisy PRS and 49-QPRS channels. Employing the R=k/(k+1) convolutional code for the PRS channel results in over 3 dB of coding gain comparing with the baseline system. The trellis-coded 49-QPRS system can be realized by combining the 9-QPRS system with the R=1/2 convolutiona code, which can be improved by over 2dB coding gain comparing with the 9-QPRS system. In additin, we study a method of avoiding the occurance of unlimited runs of identical output to prevent operation of timing error.

  • PDF

Photonic Bandgap과 Coplanar Waveguide를 이용한 증폭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mplifier Using Photonic Bandgap and Coplanar Waveguide)

  • 윤진호;서철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B호
    • /
    • pp.1754-175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IMT-2000, 무선LAN, PCS 대역인 R-band에서 Coplanar waveguide (CPW)와 Photonic Bandgap (PBG)을 이용한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기존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한 증폭기에만 적용되던 PBG 기술을 처음으로 CPW를 이용한 증폭기에 적용하여 출력효율 및 IMD를 측정하였다. PBG구조는 매칭 네트웍구성을 위해 최적화되었으며 이로인해 입출력 반사손실이 최소화 되도록 PBG 구조가 정합되었다. 측정결과 CPW구조에 새롭게 적용퇸 PBG구조를 이용하여 동일 IMD에 대해 15%의 출력효율과 동일 출력에 대해 IMD 4.5dB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