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R&D Expenditure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Technological Levels: Using the Input-Output Table

한국 R&D투자의 기술수준별 제조업 구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표 활용

  • 박창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 안승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7.11.20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R&D expenditure on the industrial structure by technological levels using 2010~2014 Input-Output table data. The industrial structure is reclassified into 4 manufacturing industries by OECD's Technology Intensity Definition. Then, we analyzes the production-inducing and value added-inducing of those industri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by the R&D expenditure has been higher in the middle-high and middle-low technology manufacturing and that the value added-inducing effect has been higher in the middle-high technology manufacturing.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and value added-inducing effects has been lower in the high-tech manufacturing which is highest in the R&D expenditure.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industrial structure has not been linked with the quality ladder that expresses the enhancement of tech level through R&D expendi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recommendation implies that R&D expenditure should be concentrated to improve the production- and value-added effects of the high technology manufacturing in order to advance the industrial structure.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the analyses on the dynamic-inducing effects are not carried out due to the lack of fixed capital formation data.

본 논문은 한국의 연구개발투자가 제조업구분에 따른 파급효과들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2010~2014년 국내 산업연관표 상에서 연구개발투자 부문을 외생화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술수준 분류표에 입각하여 기술수준별로 제조업을 분류하여 연구개발투자가 미치는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의 기술수준별 제조업 구분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중고기술과 중저기술에 속한 제조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가가치유발효과 역시 중고기술 제조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개발투자가 가장 많은 고기술제조업에서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상기 2부문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제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기술수준의 제고를 달성하고 이를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이어간다는 품질사다리론과 연계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한국의 연구개발투자가 고기술제조업의 생산유발과 부가가치효과의 증대를 위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본 논문은 산업연관표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연구개발투자의 시차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안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하 (2000), 산업연관분석론, 서울: 연암사.
  2. 강내영 (2016),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 경쟁력", Trade Focus, 2016년 1호, 서울: 한국무역협회.
  3. 강두용 외 (2016), 2015년 한국 제조업의 업종별 기술수준 및 개발 동향, 정책자료 2016-264, 산업연구원.
  4. 곽승준 외 (2002), "원자력 발전의 산업파급효과분석: 투여산출분석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제50권 제3호, pp. 83-109.
  5. 관계부처합동 (2016),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6.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2017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7. 김상윤.이은창 (2015), 한국 제조업 First Mover 전략: 제1부: 한국 제조업 위기의 마지막 Signal, POSRI 보고서, 포스코경영연구원.
  8. 김요한 (2010), "경제추격과 R&D투자가 성장과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제28권 제2호, pp. 1-28.
  9. 박재민.전주용 (2002), "산업연관모형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기술적 산업연계구조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0권 제2호, pp. 1-18.
  10. 박추환.한성수 (2010), "공공기관의 연구개발(R&D)투자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TRI의 경우", 산업경제연구, 제23권 제4호, pp. 2021-2046.
  11. 안병민.천세봉 (2009), 국가 R&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Issue paper 2009-0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2. 이건우 (2015), "ICT산업의 산업연관관계 변화와 시사점", e-KIET 산업경제정보, 제614호, 세종: 산업연구원.
  13. 이성욱 외 (2016), 지식재산의 경제적 효과 분석, 혁신.경제 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정기호 (2005), "원자력부문 연구개발투자지출의 경제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4권 제4호, pp. 839-866.
  15. 정군호 외 (2013), "국가 R&D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1호, pp. 59-83.
  16. 정군오 외 (2014),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 698-705. https://doi.org/10.5762/KAIS.2014.15.2.698
  17. 주경원 (2002), "기술집약도에 따른 한국제조업의 장기적 수출경쟁력 변화", 국제무역연구, 제8권 제1호, pp. 1-31.
  18. 최대승.이규환 (2014), R&D 투자의 효과분석 모형 수립을 위한 탐색연구, 연구보고 2015-01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 하정욱.이동욱 (2009),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관계 분석, KISTEP R&D Focus, 2009-13호(통권 제24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 한국개발연구원 (2015), 2015-2019 국가재정운용계획: R&D 분야 보고서.
  2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우리나라 민간기업 연구개발활동 현황, KISTEP 통계브리프 2015-22.
  22. 한국무역협회 (2014),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R&D 현황과 과제, Trade Brief, No. 40.
  23.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각 년도.
  24. 한국은행 (2015), 산업연관분석해설.
  25. 현대경제연구원(2016), 국내 산업 공동화, 어디까지 왔나?, 경제주평, 통권 699호.
  26. 홍준석 외 (2012),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 공학, 제21권 제1호, pp. 109-117.
  27. 홍지승.홍석일(2008),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유형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 제 540호, 세종: 산업연구원.
  28. NTIS현황.통계,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http://sts.ntis.go.kr/ (2016.06.30.).
  29. NTIS현황.통계, "총 연구개발비", http://sts.ntis.go.kr/ (2016.06.30.).
  30. Birdsall N., and C. Rhee (1993), "Do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1221,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31. Estrada, A., and J.M. Montero(2009), "R&D Investment and Endogenous Growth: A SVAR Approach, Banco De Espana", Working Paper, No. 0925.
  32. Grossman G.M., and Helpman E. (1991), "Quality Ladders in the Theory of Growth",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58, No. 1, pp. 43-61. https://doi.org/10.2307/2298044
  33. Klette T.J., and Griliches Z. (2000), "Empirical Patterns of Firm Growth and R&D Investment: A Quality Ladder Model Interpretation", The Economic Journal, Vol. 110, No. 463, pp. 363-387. https://doi.org/10.1111/1468-0297.00529
  34. Miller R.E., and Blair P.D. (2009),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Nooteboom B. (1999), "Innovation, Learning and Industrial Organization", Cambridge Journal of Economy, Vol. 23, pp. 127-150. https://doi.org/10.1093/cje/23.2.127
  36. OECD (2011), "ISIC Rev. 3 Technology Intensity Definition (OECD, online document)", http://www.oecd.org/dataoecd/43/41/48350231.pdf (12 July 2016).
  37. OECD (2015),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2015.
  38. OECD (2016), "What's New since Old Version of STAN (of November 2005)? (OECD, online document)", http://www.oecd.org/industry/ind/41740881.pdf (29 August 2016).
  39. Tsang E.W.K., et al. (2008), "The Impact of R&D on Value Added for Domestic and Foreign Firms in a Newly Industrialized Economy",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Vol. 30, No. 7, pp. 1079-1090.
  40. Wang D.H., et al. (2013), "Heterogeneous Effect of High-tech Industrial R&D Spending on Economic Growth",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66, No. 10, pp. 1990-1993. https://doi.org/10.1016/j.jbusres.2013.02.023
  41. Zastrow M. (2016), "South Korea's Nobel dream", Nature, Vol. 534, No. 7605, pp. 20-23. https://doi.org/10.1038/534020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