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Order

검색결과 958건 처리시간 0.024초

직무만족 조사에서의 질문 순서 및 질문 의도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estion-Order and Question-Intention Effects in Surveys of Job Satisfaction)

  • 안명식;한인수;오홍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23-430
    • /
    • 2016
  •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는 상황적 요인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응답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는 직무만족 변인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 시 질문 순서 및 질문 의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전반적 질문과 세부적 질문의 배치 순서에 따른 질문 순서 차이 그리고 직무만족 또는 직무불만족 측정에 따른 질문 의도 차이에 따라 총 4종류를 사용하였다. 94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기존 연구와 달리 전반적 질문이 먼저 제시된 경우에서 전반적 질문과 세부적 질문에 대한 응답 간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직무만족 질문이 직무불만족의 질문에 비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기반 Q&A서비스에서의 질의 할당을 위한 이용자의 관심 토픽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pping Users' Topic Interest for Question Routing for Community-based Q&A Service)

  • 박종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7-4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기반 질의응답 서비스에서의 질의할당을 위하여, 해당 커뮤니티에 축적된 질의응답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해당 카테고리내의 토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토픽에 관심을 가지는 이용자의 관심 토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정 카테고리 내의 토픽을 분석하기 위해서 LDA기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관심 토픽을 모델링하였다. 나아가, 커뮤니티에 새롭게 유입되는 질의에 대한 토픽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해당 토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를 추천하기 위한 일련의 방법들을 실험하였다.

"This Unfavorable Poll Result for My Candidate Doesn't Affect Me but Others": Third-Person Perception in Election Poll Coverage

  • Shin-Il Moon;Yunjin Choi;Sungeun Chu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74-303
    • /
    • 2023
  • The third-person perception phenomenon can consistently be found in opinion poll news, but it remains unknown what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PP) about specific election poll news. We investigated how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s status in the poll affects the perceived impact of polling news on both themselves (PMI1) and on others (PMI3) as well as TPP (PMI3 - PMI1).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and the perceived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of others on TPP.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gubernatorial election in South Korea, in which the leading candidate in the poll and the question order (self-question first vs. other-question first) were manip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MI1 and PMI3 were greater when the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 was leading in the poll. TPP did not differ depending on subjective knowledge, but it was greater when the others were non-experts (vs. experts). Lastly, question order was found to be a method factor that affected both PMI1 and PMI3.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는 왜 오류인가?: 논증의 목적과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평가 (Why Is Begging the Question a Fallacy?: the Purpose of Arguments and Evaluations of Begging the Question)

  • 선우환
    • 논리연구
    • /
    • 제19권2호
    • /
    • pp.185-232
    • /
    • 2016
  •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왜 오류라고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우선 우리는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무엇인지를 섬세한 방식으로 이해하고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렇게 이해된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왜 오류인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는 논증 자체의 본성과 목적에 대해 성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논증의 주된 목적이 무엇인가에 대해 일반적 제안을 한 후에,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를 이해하고 규정하기 위해서 이전 논문에서 제시했었던 다층적 이론을 논증 자체의 주된 목적에 대한 이 논문의 제안의 맥락속에 자리 잡게 해서, 그로부터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왜 잘못이고 오류인지에 대한 설명들을 이끌어내기 위한 논의를 전개한다. 그리고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그것이 왜 오류인가의 문제에 대한 기존의 주요 이론들-잭슨(F. Jackson), 월튼(D. Walton), 샌포드(D. Sanford), 바이로(J. Biro)의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 기존 이론들이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는지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한다.

  • PDF

이용자 참여형 참고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질문 유형 구분에 대한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f Queston Taxonomy for Developing User-participatory Reference Service)

  • 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1-417
    • /
    • 2015
  • 질문 분류는 질의응답과정에서 질문자의 정보요구를 이해하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적합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및 도서관에서 활용 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의 질문 분류체계를 조사해보고, 각 질의응답서비스의 유형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및 온라인 상의 소셜 레프런스,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을 대상으로 질문을 어떻게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는지를 문헌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종합하여 질문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질의응답시스템에서 정답 특징에 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Correct Answer Characteristics in Question Answering Systems)

  • 한경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27-933
    • /
    • 2018
  • 자연어 질문에 대해 답변을 찾아 제공하는 질의응답시스템의 오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가 질문으로 정답을 포함하고 있을 만한 문서나 단락을 검색하는 단계이다. 검색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정답 포함 문서 및 단락의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질문, 정답 포함 문서, 정답 미포함 문서로 구성된 말뭉치를 사용하여 정답 문서에는 질문 단어가 얼마나 많이 출현하는지, 출현 위치는 어떻게 분포하는지, 질문과 정답 문서의 주제는 얼마나 유사한지 등을 실험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의응답시스템을 위한 기존의 검색 연구 결과들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고 효과적인 검색 단계의 필요 요소에 관해 논의한다.

민감한 이항특성에 대한 신뢰구간 : 직접질문법과 간접질문법 (Confidence Interval for Sensitive Binomial Attribute : Direct Question Method and Indirect Question Method)

  • 류제복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1호
    • /
    • pp.75-8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민감한 이항특성에 대한 신뢰구간 추정에 직접질문법과 간접질문법을 사용한다. 간접질문법으로 응답자들의 응답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확률장치를 사용하는 Warner (1965)의 확률화응답기법(RRT)을 고려한다. 두 방법에 의한 신뢰구간을 비교하기 위해서 평가기준으로 평균포함확률(MCP), 평균제곱오차의 제곱근(RMSE), 그리고 평균기대폭(MEW)을 사용한다. 수치적 비교 결과 RRT의 MCP가 명목수준()을 크게 초과하여 보수적이고 MEW도 매우 크다. 따라서 이들을 보완해 주어야 실제적으로 간접질문법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and Teach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최취임;조민정;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57-70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eferred type of question and analyzed type of questions ask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identify how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is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deep-interview and audiotaped four classes from grade 3 and six classes from grade 6. The data form deep-interview were analyzed interpretively and Blosser' framework of question was used to analyze questions which teachers used in classes. By interpretation of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teachers agreed that questioning affects scienc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questioning among three teachers. They preferred various types of question rather than a specific type.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questio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used frequently cognitive-memory question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which belonged to closed questions in their science classes. This didn't accord with their preferred types of question. The causes came from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questioning, preference and confidence for science class. From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take training courses in questioning in order to use effective questioning in science class.

PARAMETRIC APPROXIMATION OF MONOTONE DECREASING SEQUENCE

  • Rhee, Hyang J.
    • 충청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7-83
    • /
    • 2004
  • The aim of this work is to generalize parametric approximation in order to apply them to an one-sided $L_1$-approximation. A natural question now arises : when is the parameter map $$P:f{\rightarrow}P_{K(f)}(f)$$ continuous on $C_1(X)$ ? We find some results with a monotone decreasing sequence about above question.

  • PDF

검색 기반의 질문생성에서 중복 방지를 위한 유사 응답 검출 (Detection of Similar Answers to Avoid Duplicate Question in Retrieval-based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 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호
    • /
    • pp.27-36
    • /
    • 2019
  • 본 연구는 검색 기반의 질문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미 답변한 내용을 재질문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응답과 유사도가 높은 응답을 질문-데이터베이스에서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유사도가 높게 검출된 응답의 질문은 이미 사용자가 아는 내용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질문 후보군에서 제거한다. 유사 응답 검출에는 두 응답간의 동일 단어, 바꿔쓰기 표현, 문장 내용을 모두 사용하였다. 바꿔쓰기 표현은 통계기반의 기계번역에서 사용하는 구절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문장 내용은 두 문장을 주의-기반 컨볼루션 신경망으로 압축하여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평가를 위해 구축한 100개의 평가 응답에 질문-응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장 유사한 응답을 추출해서 얻은 결과는 MRR값 71%의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