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spp.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1초

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Gunpo Experimental Forest of Mt. Suri, Kyonggi-do)

  • 이경재;민성환;한봉호;김호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0-309
    • /
    • 1997
  • 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6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64개 조사구는 DCA ordination분석에 의하여 리기테다소나무군집(군집 I), 소나무군집(군집 II), 소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굴참나무군집(군집 IV), 갈참나무군집(군집 V), 졸참나무군집(군집 VI), 서어나무군집(군집 VII)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분석결과 천이예측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군집 I, 군집 III은 참나무류군집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군집II, 군집IV, 군집V, 군집VI은 현 군집을 유지할 것으로 추정되어 기후극상으로의 변화는 예측할 수 없었으며, 군집 VII은 기후극상으로서 계속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0.7430~1.3025이었고 토양산도는 전지역이 pH 4.16~5.13이었다.

  • PDF

도시내 개발대상지의 생태적 경관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대덕연구 단지 조성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of Ecological Landscape Construction in the Development Site of Cities -In the Case of Daeduk R & D Complex Construction Site-)

  • 이경재;조우;최송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2
    • /
    • 1992
  • In order to make plan for landscape construction by ecological methods in Yukong R & D Complex site, environmental factors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round Yukong R & D Complex site of Daeduk.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result by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and ordination (DCA) techniques for analys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thirty plant community structure, thirty plo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soil moisture and succession trends were seem to be from the development of subsidiary vegetation through Pinus densiflora, Quercus spp., Robinia psudoacasia community to Q. acutissima community. So this result was proposed to validity of vegetation introduction for planning of ecological landscape construction in studied site. 2.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by ordination techeniques, the plant community were divided by soil moisture. Soilcondition will be fertilized by introduction of broad-leaved tree and the development of succession trends from the present state of plant community to Q. acutissima community. 3. The problems of horiticultural places happened to studied site, so horiticultural places for ecological landscape construction was proposed planting techniques that were considered to soil suitability, economical efficiency, native species and wildlife. 4. If we attempt to ecological landscape designs on natural systems and use natural processes to achieve desired end-points, we are more likely to produce self-sustaining solutions.

  • PDF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2-590
    • /
    • 2010
  •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조재창;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4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하여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쇠물푸레군집, 소나무-쇠물푸레-참나무류군집, 소나무-활엽수혼효림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참싸리, 진달래$\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국수나무, 산초$\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군집간 차이가 없었다.

  • PDF

경주 황성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roposal of Hwangsong Park in Kyongju)

  • 이영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6-56
    • /
    • 2000
  • 경주 황성공원의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가치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공원 내에 $10m{\times}10m$의 조사구 20개를 설치하고, 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을 분리하기 위하여 TWINSPAN과 DCA를 이용하였으며, DCA분석결과 소나무군집(A), 소나무군집(B), 참나무류-소나무군집, 아까시나무군집, 그리고 신갈나무군집의 5개로 분리되었다. 종다양도 분석에서 20개 조사구에 걸쳐 목본수종이 총29종 출현하였으나 종조성은 단순하게 나타났다. 각 조사구당 평균출현종수는 $5.32{\pm}2.9$종이었고, 흉고직 경급별 분석에서 소나무는 주로 DBH 27~47cm계급에 분포하였다. 연륜 및 생장분석결과 역사적, 생태적으로 가치가 있는 소나무림이 최근 들어 생장이 둔화되고 있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리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ycnoporus coccineus and P. cinnabarinus)

  • 가강현;이정희;허태철;윤갑희;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4-88
    • /
    • 2003
  •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은 최적 온도범위 $30{\sim}40{\circ}C$, 최적 pH범위 pH $5{\sim}6$이었다. 6종의 배지 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PDA, LBA, YMA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고, 동일 배지상에서 간버섯보다는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약간 양호하였다. 10종의 톱밥배지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지만, 밤나무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침엽수 3종 중에서, 낙엽송이 소나무와 잣나무보다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양호하였다. 버섯발생양은 간버섯이 주걱간버섯보다 약 2배 많았다.

묘포장 및 산지에서 제초제를 이용한 효과적인 잡초방제에 대한 연구(I) -조림.조경용 수묘포장의의 제초관리- (A Study of the Effective Weed Control by Herbicides in a Nursery and Forests(I) -Weed Control in a Nursery for Silv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 서병수;김세천;박종민;이창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8
    • /
    • 1999
  • Three kinds of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and three kinds of foliage applied herbicides were used to study weed control effect, appropriate concentration, phyto-toxicity against trees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weed control on trees, Pinus thunbergii, Picea abies,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accutissima, and Fraxinus rhynchopylla in a nurser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The control effect of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showed that the three herbicides; Alachlor, Pendimenthalin and Simazine were alike in their holding effect of weed development, and the sensibility of weed spp. on the herbicides was different. The mean control effect was 58~89%. 2. The weed control effect of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demonstrated that Paraquat dichloride was the best of 84~95% and followed by Glufosnate ammonium and Glyphosate. Especially when the half of its standard amount was treated, the effect of Paraquat dichloride was higher than the other herbicides. 3. Generally, the weed control effect became better as the concentration of the herbcide getting higher. As the concentration of the herbicide got higher, the restraining effect of weed development was continued for a long time in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while the weed control effect appeared earlier in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4. As the result of the soil surface treatments, 20% of short seedings of Fraxinus rhychopylla treated with twice amount of standard Alachlor died and the rest seeding showed low growth. In the other treatments, there was neither harmful effect of herbicides on the seedings nor growth decrease of them compared to those weeded by men. 5. When treated with foliage applied herbcides, leaves were partially of and discolorated in most treatments. About 0.4~6.2% of Fraxinus thynchopylla, which had short seedings di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owth with the other treatments. 6. The herbicides showed better economical efficiency over 68% than weed control by men. Especially, Alachlaor of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77.6%), while Paraquat dichloride of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was the best(70.3%)..

  • PDF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Ecological Environment of Native Habitats and Host Plant i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이보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9-393
    • /
    • 2009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겨우살이의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겨우살이의 분포지역의 기주수종과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겨우살이의 자생지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대부분이였고 밤나무, 벚나무, 오리나무, 돌배나무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군락지의 같이 자생하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인 느티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은행나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생지의 고도는 해발 $0{\sim}1200\;m$까지 잘 생육되고 방향과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주식물이 잘 생육 할 수 있는 곳이면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종자 전파는 조류에 의함이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우살이의 기생은 흡기 발생부터 기주식물의 표피 또는 조직성분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공재배 연구의 좋은 성과를 위해 겨우살이가 잘 기생하는 기주식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계룡산국립공원 동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Dongwol Valley at the Geyryo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조현서;박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41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서어나무군락(I), 때죽나무군락(II), 소나무A군락(III), 상수리나무군락(IV). 소나무-굴참나무군락(V), 소나무B군락(Ⅵ). 그리고 신갈나무군락(Ⅶ)의 7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동월계곡의 주요 식생의 임령은 약 30~50년 안팎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textrm{cm}^2$) 평균 출현종수는 15.6$\pm$4.7종. 평균 출현개체수는 124.9$\pm$36.4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식생천이는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 -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v{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

  • 이경재;최송현;조현서;이윤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54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longrightarrow$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