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Syntaxonomy of the Forest Vegetation and Surrounding Taegu, Korea)

  • 정흥락;이호준;이재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407-421
    • /
    • 2000
  • 1994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서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층층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오이풀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털진달래-그늘사초군락, 아까시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곰솔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의 7군락, 8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뱀고사리, 철쭉꽃,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노루오줌, 병꽃나무, 꽃며느리밥풀,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에서는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고추나무, 소나무군락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노간주나무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졸참나무는 소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높은 상재도를 보였다. DCA에 의한 요인분석에서는 표조작에 의한 군락분류와 유사한 군락의 분포패턴을 보였으며,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의 철쭉꽃하위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전형하위군락은 유사한 입지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여 석성산성의 식생 구조 및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 이선;이동혁;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33
    • /
    • 2009
  • Vegetation structure of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were 127.06, 70.29, 69.63, 12.39 and 8.57.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논산 경제림 육성단지의 식물상 및 식생 연구 (Study on the Vegetation and Flora of Nonsan Economical Forest Growing Site)

  • 오현경;최윤호;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45
    • /
    • 2008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Nonsan economical forest growing site appeared to be 341 taxa; 81 families, 218 genera, 290 species, 1 subspecies, 42 varieties and 9 forms.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5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Asperula lasiantha, Populus tomentiglandulosa (Planted species),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3 taxa; Cirsium setidens in class III, Potentilla dickinsii in class II, Cephalotaxus koreana, Pinus koraiensis (Planted species), Hosta capitata, Juglans mandshurica,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Dictamnus dasycarpus, Gwen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Trigonotis icumae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9 families, 19 genera, 20 species, 1 varieties, 21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6.1% of all 341 taxa vascular plants.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of natural forests and Pinus rigida community,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of artificial forests.

칠갑산의 식생 (Vegetation of Mt. Chil-gab)

  • Koh, Jae Kee;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il-gab was studied from 1983 to 1984. By Z-M method,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and 1 plantation; Quercus variabilis, Q. variabilis-Styrax obassia, Q variabilis-Q. dentata, Q. varisbilid-Q. mongolica, Q. acutissima-Q. variabilis, Zelkova serrata-Styrax japonica, Ca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Larix leptolepts plantation (on the mountain foot) community. The plant communities of Q. variabilis and S. japonica as edaphic climax, in terms of the isopleth line of warmth index. Based on the data of vegetation survey and environmental analysis,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were perpared with scale of 1/25, 000.

  • PDF

절개사면 녹화지역과 인접 자연지역의 식생 비교 (Comparison of Vegetation between Cutting Slope Revegetation Area and Adjacent Nature Area in Korea)

  • 강희경;송홍선;조용현;박봉주;김원태;신경준;어양준;윤택승;장광은;곽무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89
    • /
    • 2012
  •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differences in the habita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in Korea. Plant number in plot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10.3 and 15.0 taxa, respectively, and coverage was 90.6 and 88.1%, respectively.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very heterogeneous, due to low similarity index (0.38) and less common plants. Festuca arundinacea frequency (56.7%) was highest in revegetation area,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frequency (66.7%) was highest in nature area. Plant appearing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111 and 136 taxa, respectively. Herb appearing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s was 93 (83.3%) and 72 (52.9%) taxa, respectively, tree was 18 (16.2%) and 64 (47.1%) taxa, respectively. Plant communities of revegetation area was classified into Lespedeza bicolor, Indigofera amblyantha, Alnus sibirica,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Miscanthus sinensis, Humulus japonicus, Setaria faberii, Rudbeckia bicolor, Pueraria lobata community. Plant communities of nature area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Castanea crenata,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Habita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showed a large difference.

거제 서이말등대 주변의 식생 (The Vegetation of Seoimal-Lighthouse area in koje Island)

  • 김인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49-653
    • /
    • 2002
  • 본 조사지역은 행정상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남단 서이말등대가 위치한 해발 228.4 m고지 일대로서 2001년 8월 1일부터 2002년 7월 30일 까지 1년동안 6회에 걸쳐 식생과 식물상을 조사하여 현존식 생도와 군락조성표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에는 미국자리공, 주홍서나물, 별꽃아재비등 27종류의 귀화식물과 동백나무, 우묵사스레피, 메밀잣밤나무 등 30종류의 상록활엽수가 자생하였다. 식물군락은 동백나무군락, 모밀잣밤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때죽나무관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생달나무군락 등 총 11개 군락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천이의 거의 최종단계에 이르는 매우 양호한 상록활엽수림이 보존된 지역으로서 백서향, 갯취, 개족도리, 보춘화, 죽절초 등의 자생은 학술적, 자원적 가치가 높게 인정된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 김해란;정헌모;김혜주;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85-391
    • /
    • 2008
  •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한반도 저지대 인가 근처에서 자생한다. 그러나 상수리나무는 토양조건이 양호한 곳에서 분포하나 굴참나무는 이 종에 비해 건조하고 경사가 급한 곳에 서식한다. 이러한 두 종의 분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에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sim$10월가지 양묘하여 두 종의 생태적 지위와 생태적 중복역을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수분과 영양소가 광에 비하여 약간 넓었다. 측정한 14가지 형질 중 길이와 관련된 형질 6가지는 모든 환경요인에 대하여 넓었고, 무게와 관련된 형질 8가지는 수분, 영양소에서 넓었고, 광에서 좁았다. 굴참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수분과 영양소가 광에 비하여 넓었다. 측정한 14가지 형질 중 길이와 관련된 형질 6가지는 모든 환경요인에 대하여 넓었고,무게와 관련된 형질 7가지는 수분과 영양소에서 넓었고, 광에서 좁았다. 14가지 항목 중 줄기직경은 광과 수분에서 넓었고, 영양소에서 좁았다. 상수리나무의 지위폭은 굴참나무의 것보다 모든 환경요인에서 넓었다. 이는 상수리나무가 굴참나무 보다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종의 생태적 중복역은 측정한 14가지 형질 중 길이와 관련된 형질 7가지는 넓었고, 무게와 관련된 형질 7가지는 좁았다. 환경요인에 대해서는 수분에서 넓었고, 광에서 좁았다. 이는 수분에 대해서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두 종은 생태적으로 뚜렷하게 분화된 유형을 보였다. 이 유형을 결정짓는 형질은 요인 1에 잎몸 길이, 잎폭, 잎자루 길이, 줄기 길이, 뿌리 길이, 잎몸 무게, 지상부 무게, 뿌리 무게, 식물체 무게와 관련이 있었다. 이상으로 볼때 굴참나무가 상수리나무보다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 주로 분포하는 것은 생태적 지위폭이 상수리나무보다 좁아 좋은 조건에서는 경쟁에서 약하기 때문에 불량한 조건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정산(金井山) 일대(-帶)의 삼림식생분석(森林植生分析)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 윤충원;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31-44
    • /
    • 1995
  •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35^{\circ}$03' ~$35^{\circ}$17', 동경 $129^{\circ}$01'~$129^{\circ}$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times}$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 PDF

한반도 맥문동속 집단의 자생지 생육환경과 군락구조 (Community Structure and Habitat Environment of Genus Liriope Group in Korea)

  • 송홍선;이정훈;김성민;신동일;김창호;구한모;박충범;박용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30
    • /
    • 2011
  • This text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vegetation and floristic composition by cluste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phytosociological method, to evaluate the species composition, habitat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e of Liriope platyphylla and Liriope spicata group in Korea. The southeast slope gradient of the habitat of L. platyphylla and L. spicata was 6.7 to 8.4%, and the habitat altitude of L. platyphylla (41.0 m), L. spicata (114.9 m) was different. Habitat distribution of L. spicata was broader than L. platyphylla. Appearing plants of L. platyphylla and L. spicata group was 58 taxa, 99 taxa, respectively, and Coverage of tree layer was 87.5%, 92.5% respectively. In genus Liriope group, the highest appearing frequency of plant grow in the moist valley as Quercus serrata. Thus, plants of genus Liriope growth was better in moist shade. The vegetation of L. platyphylla group was classified into Quercus serrata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Liriope spicata group was classified into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alien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runus verecund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In genus Liriope group,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as the closest the similarities.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에서 종 다양성의 변화와 공간시기적 변동 (Changes in Species Diversity and Spatiotemporally Fluctuation across Human-modified Ecosystems)

  • 허만규;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35-1443
    • /
    • 2012
  • 거제도 안골 골짜기와 뱃골 골짜기에서 식물 군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파-다양도와 감마-다양도는 서식지 단절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우세종의 평균 종수도 서식지 단절에 따라 감소하였다. 상수리나무를 비롯한 참나무과 종들은 붉은토끼풀 같은 도입된 귀화식물의 증가에 따라 주요도가 감소하였다. 교란이 일어나지 않은 숲에서 성체 생존율의 몫이 증가함에 따라 탄력 예상치의 절대적 비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교란 집단에서는 비가 낮았다. Moran의 I값은 전반적으로 서식지 단절지역과 서식지전환 시기에서는 감소하였다. 결국 거제도에서 도시화에 따른 식물 군락은 환경이 교란되었을 때 보편종의 감소를 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