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valuat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4초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Valuation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Using TMDL)

  • 이창희;박경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0-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과거에 비해 수질이 개선되고, 어류 등 수생생물의 종과 수가 늘었더라도, 그 요인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와 수질개선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된다. 그 중 생태계 조절서비스 가치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수질오염총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산정된 물리적 수질조절량에 처리단가를 곱함으로써 경제적 가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BOD, T-P 항목에 대해서 생태계 수질가치를 평가하였다.

공공시설물관리 역량 진단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Diagnosing Management Capabilities of Public Facility)

  • 성유경;유위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5-566
    • /
    • 2020
  • 최근 국내 공공시설물의 노후화가 가속화되며 기존의 사후 유지관리 방식은 총체적이고 선제적인 시설자산관리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향후 공공시설물관리는 안전성 제고와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시설에 대한 가치 평가, 생애주기 관리 계획, 재원 마련 등의 확장된 역량 확보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 기준을 기반으로 공공시설물관리를 위한 역량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관리 주체별 환경을 고려해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의 성숙도 개선 자료를 제공한다. 개발된 역량 진단 모델은 공공시설물의 10개 관리 역량, 113개의 역량 진단 요인, 관리 역량의 계량화 지수, 관리 활동을 정의하는 성숙도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공공시설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본 고에서 제시한 시설자산관리지수는 공공시설물을 운영하는 관리기관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역량 향상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NMP MIB 파일의 유사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ilarity Analysis of SNMP MIB File)

  • 전병태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7-42
    • /
    • 2019
  • 컴퓨터 프로그램 분쟁 조정 해결 방법중 하나인 유사도 분석 방법은 많은 연구되어왔다. 본 논문은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파일의 정량적 유사도 분석에 관한 내용이다. 정량적 유사도란 두 컴퓨터의 소스코드 등을 분석하여 일정한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분석대상 프로그램은 WiMAX CPE 장치에 대해서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성관리, 장애관리, 성능 관리 등 네트워크 장치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WiMAX는 IEEE 802.16 무선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을 말하며 고정형 WiMAX와 모바일 WiMAX로 구분될 수 있다. WiMAX CPE는 고객 집 또는 사무실 등 실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무선인터넷 단말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A사와 B사의 MIB 파일에 대한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고, 피해회사에서 유출된 MIB 파일이 단순한 제품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리스트가 아니고 그 재산적 가치가 인정될 수 있는 자료인지 여부에 대하여 분석해 보기로 한다.

토양의 총 경제적 가치 (The Total Economic Value of Soil in Korea)

  • 박소연;유승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6호
    • /
    • pp.156-168
    • /
    • 2016
  •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invest a lot of funds for conservation of the soil. Accordingly, it needs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soil.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total value of soil quantitatively: the total economic value of soil can be divided into use value and non-use value. To this end, we apply a replacement cost method (RCM)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Especially, CVM is most widely used to measure the non-use value such as environment goods. We employed the one-and-one-half-bounded dichotomous choice (OOHBDC) for willingness to pay (WTP) elicitation and a spike model. The monthly mean WTP was estimated to be KRW 3,949 per household for the next 10 years,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Expanding the value to the relevant population gives us KRW 897.9 billion per year and as of the end of 2015, the non-use value of soil was assessed to be KRW 838.6 billion. Meanwhile, use value is subdivided into direct use value and indirect use value. This value was calculated KRW 3,277 trillion and KRW 51.8 trillion, respectively. As a result, total economic value of soil is estimated to be KRW 3,330 trillion in Korea.

수도권 도시림 보존의 경제적 편익 추정 -광교산을 중심으로- (Estimating the Economic Benefits of Conserving Urban Forests in the Capital Region: The Case of Mt. Kwanggyo)

  • 곽승준;유승훈;한상용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7
    • /
    • 2003
  • Urban forests have various environmental benefit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urban life. However, these values have been underestimated or never been reflected in the urban development planning in Korea. As a result, a number of forests in urban areas were either partly or wholly destroyed without their public's values being assessed ex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conomic benefits attached to Mt. Kwanggyo in the Capital Region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iming to provide policy-makers with useful information to make an informed public decision in urban development planning. The survey was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to meet a number of recommendation rule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we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ould be willing to pay a significant amount for the proposed program of conserving the mountain. Total economic benefits for the population amounted to approximately 3.8 billion Korean won per year.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d in cost-benefit analysis of urban development plans.

  • PDF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n Large Telescope Project)

  • 유승훈;이주석;박수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59
    • /
    • 2011
  • 우리나라 정부는 천문학 분야의 연구수준 향상을 위하여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대형광학망원경사업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대형광망원경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CVM을 활용하여 엄밀한 경제이론에 근거하여 대형광학망원경사업의 편익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형광학망원경사업을 위한 연간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액의 하한값이 1,416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국의 전체 가구로 환산한 대형광학망원경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연간 240.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대형광학망원경사업과 같은 대규모 과학기술 관련 투자사업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경제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광양만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Effects of the Management Model far Environment Pollution in Gwangyang Bay)

  • 남광현;권석재;오위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57-67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economic impact of marine environment conservation research development project. Benefit-Cost(B/C) analysis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s(CVM) are used to valuate the benefits from the research development projects. A period of three years for research development fund is considered as a part of the costs and adjusted to the net present value (NPV) of the 2002 ending period. The environmental charges for marine environment improvement are considered for the benefit measurement. The benefits are estimated by using monthly average willingness to pay, which is 2,289 Korean won. The contribution of the developing a management model for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Gwangyang Bay is evaluated utilizing survey data and information. Based on the assessment by expert groups, the contribution of the model was 37.5%.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B/C ratio is 20.61, NPV is 89,200 million Korean won, and social rate of return is 185.7%. When the level of contribution is over 1.83% at the assessment of potential influence, it is recognized to be economically feasible. This research presents a quantitative framework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for marin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it can be applied to decision making for the investment size of R&D projects.

  • PDF

IoT 환경에서 QoS 기반 서비스 조합을 위한 신뢰 평가모델 (A Trust Evaluation Model on QoS based Services Composition for IoT Environments)

  • 김유경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5-93
    • /
    • 2019
  • M2M(machine-to-machine)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의 이기종 환경에서 서비스 선택은 민감한 문제로서, IoT 장치들이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신뢰 관계의 개념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사회적 신뢰 관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합서비스의 QoS 예측과 신뢰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정량적인 평가를 통한 서비스 선택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신뢰 할 수 있는 서비스 조합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 유산 재생지역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Valuation Method for Redeveloped Area of Industrial Heritage)

  • 쑨리;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6
    • /
    • 2020
  • 산업유산 재생 지역의 자원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디자인 개선과 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 재생 지역의 자원 가치를 전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결합한 가치평가 방법(모형)을 제시하였다. (1)재생 지역의 자원에 따른 평가체계 수립(AHP 계층); (2)자원 유형에 따른 평가 코스선택(cvm 또는 사용가치); (3)해당 지역의 각 자원의 가치와 총 가치의 계산. 본 연구에서는 운하 5호 사례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해당 지역의 다양한 자원의 가치 순위 및 총 가치;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소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재생지역의 가치는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를 함께 구성해야 하며, 동일 요소가 서로 다른 자원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또한 요소별로 동일한 자원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다르다.

도서관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의 탐색적 메타분석 (An Exploratory Meta Analysis of Library Economic Valuation Studies)

  • 정혜경;고영만;심원식;표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17-137
    • /
    • 2009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경제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측정한 국내 외 42개의 선행연구들을 수집 정리하고, 상이하게 나타난 투자수익률이나 비용편익비율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메타분석을 통해서 통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메타분석법은 도서관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들이 제시한 수치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종합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6개의 변인(조사시점, 도서관 유형, 연구방법, 혜택범위, 서비스범위, 1인당 GDP)을 도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메타 회귀분석 결과, 혜택의 범위(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국민 1인당 GDP의 수준에 따라 투자수익률의 일관성 있는 예측이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분야에서 수행된 국내 최초의 메타분석으로서, 이 분야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책결정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