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assessment

검색결과 1,858건 처리시간 0.036초

Histological Validation of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T1 Mapping for Assessing the Evolution of Myocardial Injury in Myocardial Infarction: An Experimental Study

  • Lu Zhang;Zhi-gang Yang;Huayan Xu;Meng-xi Yang;Rong Xu;Lin Chen;Ran Sun;Tianyu Miao;Jichun Zhao;Xiaoyue Zhou;Chuan Fu;Yingkun Gu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94-1304
    • /
    • 2020
  •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T1 mapping could monitor the dynamic changes of injury in myocardial infarction (MI) and be histologically validated. Materials and Methods: In 22 pigs, MI was induced by ligating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nd they underwent serial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examinations with modified Look-Locker inversion T1 mapping and extracellular volume (ECV) computation in acute (within 24 hours, n = 22), subacute (7 days, n = 13), and chronic (3 months, n = 7) phases of MI. Masson's trichrome staining was performed for histological ECV calculation. Myocardial native T1 and ECV were obtained by region of interest measurement in infarcted, peri-infarct, and remote myocardium. Results: Native T1 and ECV in peri-infarct myocardium differed from remote myocardium in acute (1181 ± 62 ms vs. 1113 ± 64 ms, p = 0.002; 24 ± 4% vs. 19 ± 4%, p = 0.031) and subacute phases (1264 ± 41 ms vs. 1171 ± 56 ms, p < 0.001; 27 ± 4% vs. 22 ± 2%, p = 0.009) but not in chronic phase (1157 ± 57 ms vs. 1120 ± 54 ms, p = 0.934; 23 ± 2% vs. 20 ± 1%, p = 0.109). From acute to chronic MI, infarcted native T1 peaked in subacute phase (1275 ± 63 ms vs. 1637 ± 123 ms vs. 1471 ± 98 ms, p < 0.001), while ECV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time (35 ± 7% vs. 46 ± 6% vs. 52 ± 4%, p < 0.001). Native T1 correlated well with histological findings (R2 = 0.65 to 0.89, all p < 0.001) so did ECV (R2 = 0.73 to 0.94, all p < 0.001). Conclusion: T1 mapping allows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injury in MI and the noninvasive monitoring of tissue injury evolution, which correlates well with histological findings.

한의대생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Korean Medical Stud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 한예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53-258
    • /
    • 2024
  • 본 연구는 한의대생의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고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총 372명의 설문조사 응답을 바탕으로 영역별 교육 만족도, 집단에 따른 교육 만족도 차이,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교수자, 교육평가, 교육환경, 교육전체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평균적으로 '보통'과 '만족'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성별과 유급경험에 따라 교육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며,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교육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의대생의 교육 만족도를 다양한 영역과 도구를 통해 조사하고, 교육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대상을 한 대학교의 재학생으로 한정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기 때문에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연구대상의 범위를 넓혀 추후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 인터뷰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양적 자료를 보완하는 등 다각도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의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상대여유고가 낮은 테트라포드 피복 경사제의 월파량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및 기존 경험식의 예측성능 분석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Existing Empirical Formulas for Overtopping Discharge on Tetrapod Armored Rubble Mound Structures with Low Relative Freeboard)

  • 유상우;김재영;김도삼;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105-115
    • /
    • 2024
  • 호안을 포함한 해안구조물의 설계 시 월파량 평가는 주로 수리모형실험에 의존하며, 이를 기반으로 월파량 예측을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월파방지를 위한 호안구조물의 경우 설계조위에 설계파의 최대 수면진폭을 고려하여 마루높이가 결정되므로 입사파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여유마루고를 갖는다. 그러나, 월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비경제적인 구조물의 마루높이가 요구되기 때문에 호안구조물의 설계 시 월파량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허용월파량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실해역에서는 입사파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유마루고를 갖는 호안구조물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유마루고를 갖는 사석경사제의 월파량에 관해 검토하였다. 또한, 월파량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월파량 산정을 위한 경험식의 예측성능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Ischemic Burden Assessment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in Single Vessel Chronic Total Occlusion of Coronary Artery

  • Yong-Hoon Yoon;Sangwon Han;Osung Kwon;Kyusup Lee;Ju Hyeon Kim;Junghoon Lee;Tae oh Kim;Jae-Hyung Roh;Pil Hyung Lee;Soo-Jin Kang;Jae-Hwan Lee;Young-Hak Kim;Cheol Whan Lee;Dae Hyuk Moon;Seung-Whan Lee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2호
    • /
    • pp.150-161
    • /
    • 2022
  •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ies evaluating the nature of ischemic burden of chronic total occlusion (CTO) vessels are still lacking. Methods: A total of 165 patients with single vessel CTO >2.5 mm in an epicardial coronary artery who underwen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were enrolled in the study. Ischemic burden was calculated with the use of semi-quantitative SPECT analysis, and was defined as the summed difference score (SDS) divided by the maximal limit of the score (=SDS/6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9.5 years and the CTO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LAD), left circumplex coronary artery (LCX), and right coronary artery (RCA) accounted for 93 (56.4%), 18 (10.9%), and 54 (32.7%)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ischemic burden of the total population was 8.8%, and it was highest in the LAD CTO (10.3%) compared with the LCX (5.9%) and RCA CTO (5.9%, p<0.001). High-ischemic burden (ischemic burden >10%) was observed in 66 patients (40.0%), and in 47 patients (50.5%) of the LAD CTO. Ischemic burde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TO location only in LAD C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high-ischemic burden were hypertension, baseline ejection fraction >45%, LAD CTO, proximal CTO location, and de novo CTO. Japanese-CTO score and Rentrop scale collateral grade were not associated with high-ischemic burden. Conclusions: Only 40% of patients with single vessel CTO had ischemic burden >10%. For CTO vessels, measurement of ischemic burden using SPECT prior to revascularization may be helpful in identifying beneficial subjects.

항공 살포에 의한 농약 비산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시험 농경지 구축 및 운영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Test Bench for Assessment of Pesticide Drift by Aerial Application)

  • 박진선;이세연;최락영;;홍세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3-4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무인 항공 방제기에 의한 농약 비산을 모의하기 위한 시험 농경지 구축과 정량 평가를 위한 실험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약 비산 평가에 대한 ISO 22866과 ASABE S561.1과 같은 국제 표준을 분석 및 고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시험 농경지를 구축하고, 그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이로써 현장 실험이 복잡하고, 동일 조건을 구현하기 어려웠던 실험 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항공 살포에 의한 농약 비산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공기 중 농약 비산을 정량 평가하고, 저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CBs 독성 예측을 위한 주요 분자표현자 선택 기법 및 계산독성학 기반 QSAR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QSAR Model Based on the Key Molecular Descriptors Selection and Computational Toxicology for Prediction of Toxicity of PCBs)

  • 김동우;이승철;김민정;이은지;유창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621-629
    • /
    • 2016
  • EU의 REACH 제도 도입에 따라 각종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및 활성 정보 확보를 위해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을 예측하는 정량적구조활성관계(QSAR)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QSAR 모델에 사용되는 분자표현자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물성 및 활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주요한 분자표현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QSAR 모델 개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주요 분자표현자의 통계적 선택 방법과 부분최소자승법(Partial least square: PLS) 기반의 새로운 QSAR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QSAR 모델은 130종의 폴리염화바이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 PCB)에 대한 분배계수(log P)와 14종의 PCBs에 대한 반수 치사 농도(Lethal concentration 50%: $LC_{50}$) 예측에 사용되고, 제안된 QSAR 모델 예측 정확도는 기존의 OECD QSAR Toolbox에서 제공하는 QSAR 모델과 비교하였다. 관심 화학물질의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주요 분자표현자를 선별하기 위해서, 상관계수(r)와 variable importance on projections (VIP)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선별된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를 이용해 부분최소자승법(PLS)를 사용하였다. 회귀계수($R^2$)와 prediction residual error sum of square (PRESS)을 이용한 성능평가결과, 제안된 QSAR 모델은 OECD QSAR Toolbox의 QSAR 모델보다 PCBs의 log P와 $LC_{50}$에 대하여 각각 26%, 91% 향상된 예측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계산독성학 기반의 QSAR 모델은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에 대한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유독 화학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Optimization of the Flip Angle and Scan Timing in Hepatobiliary Phase Imaging Using T1-Weighted, CAIPIRINHA GRE Imaging

  • Kim, Jeongjae;Kim, Bong Soo;Lee, Jeong Sub;Woo, Seung Tae;Choi, Guk Myung;Kim, Seung Hyoung;Lee, Ho Kyu;Lee, Mu Sook;Lee, Kyung Ryeol;Park, Joon Hyu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optimize the flip angle (FA) and scan timing of the hepatobiliary phase (HBP) using the 3D T1-weighted, gradient-echo (GRE) imaging with controlled aliasing in parallel imaging results in higher acceleration (CAIPIRINHA) technique on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patients who underwent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ur 3D T1-weighted GRE imaging studies using the CAIPIRINHA technique and FAs of $9^{\circ}$ and $13^{\circ}$ were acquired during HBP at 15 and 20 min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gadoxetic acid. Two abdominal radiologists, who were blinded to the FA and the timing of image acquisition, assessed the sharpness of liver edge, hepatic vessel clarity, lesion conspicuity, artifact sever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using a five-point scal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ther radiologist to estimate the relative liver enhancement (RLE) and the signal-to-noise ratio (SN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scores of the HBP with an FA of $13^{\circ}$ during the same delayed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BP with an FA of $9^{\circ}$ in all the assessment items (P < 0.01). In terms of the delay time, images at the same FA obtained with a 20-min-HBP showed better quality than those obtained with a 15-min-HB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ative scores between the 20-min-HBP and the 15-min-HBP images in the non-liver cirrhosis (LC) group except for the hepatic vessel clarity score with $9^{\circ}$ FA.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RLE in the four HBP images (P = 0.012). However, in the subgroup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LE was found in the four HBP images in either the LC or the non-LC groups. The SN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four HBP images. In the subgroup analysis, 20-min-HBP imaging with a $13^{\circ}$ FA showed the highest SNR value in the LC-group, whereas 15-min-HBP imaging with a $13^{\circ}$ FA showed the best value of SNR in the non-LC group. Conclusion: The use of a moderately high FA improves the image quality and lesion conspicuity on 3D, T1-weighted GRE imaging using the CAIPIRINHA technique on gadoxetic acid, 3T liver MR imaging. In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the 15-min-HBP with a $13^{\circ}$ FA represents a feasible option without a significant decrease in image quality.

한국 동해 명태 어업의 적정어획노력량 추정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과 동해구트롤어업의 경제성분석을 근거로- (Estimation on Optimum Fishing Effort of Walleye Pollock Fishery in the East Coast of Korea : Based on the Economic Analysis between Danish Seine Fishery and Trawl Fishery for Walleye Pollock)

  • 이장욱
    • 수산경영론집
    • /
    • 제22권2호
    • /
    • pp.75-99
    • /
    • 1991
  •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onitor the commercial yield level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available data on catch and fishing effort, catch per unit of effort including fish prices from 1911 to 1988, using a traditional yield model.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ssessment were based to estimate maximum economic yield (MEY) and optimal fishing effort (E-opt) at MEY.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aspects between danish seine fishery and trawl fishery mainly targeting walleye pollock i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studied to predict optimal situation in fishing effort level from economic point of view which gives the most benefits to the two fisheries. Total production of walleye pollock in 1911 when its catch record was begun for the first time was about 12, 000 metric tons(M/T), and then the catch trend maintained nearly at the level of 50, 000 M/T per annum, showing a decreasing trend until 1930. The highest production from historical data base on walleye pollock fishery statistics was from the years in 1939 and 1940, about 270, 000 M/T and 26, 000 M/T, respectively. No production of the fish species was recorded during the years from 1943 to 1947, and from 1949 to 1951. From 1952 onwards annual production was only available from the southern part of 38$^{\circ}$N in the east coast. During two decades from 1952 to 1970, the production had sustained about less than 30, 000 M/T every year. Annual production showed an increasing trend from 1971, reaching a maximum level of approximately 162, 000 M/T in 1981. Afterwards, it has deceased sharply year after year and amounted to 180, 000 M/T in 1988. The catch composition of walleye pollock for different fishery segments during 1970~1988 showed that more than 70% of the total catch was from danish seine fishery until 1977 but from 1978 onwards, the catch proportion did not differ from one another, accounting for the nearly same proportion. Catch per unit of effort (CPUE) for both danish seine fishery and trawl fishery maintained a decline tendency after 1977 when the values of CPUE were at level of 800 kg/haul for the former fishery and 1, 300 kg/haul for the latter fishery, respectively. CPUEs of gillnet fishery during 1980~1983 increased to about 3.5 times as high value as in the years, 1970~1979 and during 1987~1988 it decreased again to the level of the years, 1970~1978. The bottom longline fishery's CPUE wa at a very low level (20 kg/basket) through the whole study years, with exception of the value (60 kg/basket) in 1980. Fishing grounds of walleye pollock in the east coast of Korea showed a very limited distribution range. Danish seine fishery concentrated fishing around the coastal areas of Sokcho and Jumunjin during January~February and October~December. Distributions of fishing grounds of trawl fishery were the areas along the coastal regions in the central part of the east coast. Gillnet and bottom longline fisheries fished walleye pollock mainly in the areas of around Sokcho and Jumunjin during January~February and December. Relationship between CPUEs' values from danish seine fishery and trawl fishery was used to standardize fishing effort to apply to surplus production model for estimating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and optimum fish effort (F-opt) at MSY. The results suggested a MSY of 114, 000 M/T with an estimated F-opt of 173, 000 hauls per year. Based on the estimates of MSY and F-opt, MEY was estimated to be about 94, 000 M/T with a range of 81, 000 to 103, 000 M/T and E-opt 100, 000 hauls per year with a range of 80, 000 to 120, 000 hauls. The estimated values of MEY and E-opt corresponded to 82% of MSY and 58% of F-opt, respectively. An optimal situation in the fishing effort level, which can envisage either simultaneously maximum yield or maximum benefit for both danish seine fishery and trawl fishery, was determined from relationship between revenue and cost of running the fleet : the optimal fishing effort of danish seine fishery was about 52, 000 hauls per year, corresponding to 50 danish seiners and 27, 000 hauls per year which is equal nearly to 36 trawlers, respectively. It was anticipated that the net income from sustainable yield estimated from the respective optimal fishing effort of the two fisheries will be about 3, 800 million won for danish seine fishery and 1, 000 million won for trawl fishery.

  • PDF

뉴스룸 통합이 저널리즘 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wsroom Integration upon Process of Engaging in Journalism)

  • 임봉수;이완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3권
    • /
    • pp.29-52
    • /
    • 2011
  • 이 연구는 뉴스룸 통합이 뉴스생산 조직운영, 뉴스 생산과정에 있어 효율성, 그리고 저널리즘 질적 수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미디어 종사자에 대한 인식조사와 심층 인터뷰 등을 함께 활용했다. 인식조사는 발행부수 기준으로 상위 170개 미국 신문사들의 고위 간부들을 대상으로 통합 전후 조직운영 변화를 1) 취재 및 보도 시스템의 변화 2) 통합이후 저널리즘의 질적 변화 3) 구성원들의 서로 다른 출신 배경이 통합 뉴스룸 운영에 미치는 영향 등 3가지로 나누어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양적지표가 실제로 통합 뉴스룸을 운영하는 미디어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미국의 뉴욕타임스와 미디어 제너럴, 영국의 TMG, 덴마크의 노르위스케, 한국의 CBS를 대상으로 관계자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뉴스룸 통합은 많은 선행연구와는 달리 미디어 기업의 조직운영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 후 취재보도 체제와 편집국 안팎의 의사소통, 기자들의 생산성 등 조직 전반에 걸쳐 과거의 비효율성이 줄어들고 시너지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 효과는 제대로 통합이 이뤄진 곳에서 뚜렷했고, 형식적인 통합을 이룬 뉴스룸의 경우 오히려 과거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견해도 있었다. 셋째, 뉴스룸 통합은 저널리즘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출신배경이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하나의 뉴스룸에 통합되는 것에 대해 미디어 현업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뉴스룸 통합이 문화적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갈등을 초래하는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뉴스룸 통합 효과를 100% 말해준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의 현업 종사자들이 평가하는 뉴스룸 통합의 효과를 통시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논의함으로써 뉴스룸 통합을 추진하는 미디어 업계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 PDF

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 Part 1. 객관적 부정교합 경중도와 주관적인 치료난이도의 상관관계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alocclusion : Part 1.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 주보훈;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0-68
    • /
    • 2005
  • 부정교합의 평가는 질적, 양적인 면에서 모두 평가되어야 한다. 이는 부정교합의 경중도의 평가뿐만 아니라 이의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반영할 수 있는 치료의 난이도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치료의 난이도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치과 교정학에서 치료의 효과 및 효율의 평가에서 치료난이도를 반영하는 부정교합 경중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교정치료의 양적 그리고 질적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을 위한 연구로써 객관적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주관적 치료 난이도를 측정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0쌍의 교정용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경험 있는 8명의 치과교정의가 주관적인 치료의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의 어려움과 예상치료기간을 추정하였으며. 객관적인 부정교합의 경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자는 동료평가등급 지수 (PAR index) 를 사용하여 각 부정교합의 구성요소 별 경중도를 계측하였다. 이들간의 상관관계의 조사에서 객관적으로 계측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평가단의 치료 예상난이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상악 전치부 배열, 구치부교합, 수평피개도, 수직피개도 그리고 정중선 일치도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계측된 부정교합의 경중도가 치과 교정의사가 느끼는 주관적 치료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의 주관적 난이도를 내포하는 새로운 국내형 교합지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회된 법랑질 깊이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접착레진으로 부착된 군 (Group 4)은 법랑질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의 도포가 유용함을 시사하였다..5\;{\mu} g/mL)\;piroxicam(3.5\pm0.3\l{\mu}g/mL)$,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흡수 속도상수는 piroxicam-$\beta$-cyclodextrin$(3.00\pm0.49\;h^{-1}), \;piroxicam(1.80\pm0.21\;h^{-1})$이었다(p<0.1). 이상의 결과에서, piroxicam-$\beta$-cyclodextrin정은 piroxicam 확산정과 비교하여 흡수되는 정도는 서로 비슷하지만 흡수 초기의 혈장농도 및 흡수속도상수에서 보다 빠른 약동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삼차원 입체조형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적 관찰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국소관해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치료방법과 전신적 전이율의 감소를 위한 항암요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다. MD-BED $Gy_3$는 직장합병증 발생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방광합병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과의 연관성은 MD-BED $Gy_3$보다 개별 환자의 직장전벽 총 선량 BED값인 R-BED $Gy_3$가 훨씬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