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of teaching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31초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영향 :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on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엄세진;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91-3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력의 인식에서는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교직선택동기 순으로 높게 나왔다. 둘째, 교직선택동기가 높아질수록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적응력이 높아지고, 자기주도학습이 높아질수록 진로적응력이 높아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은 교직선택동기와 진로적응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 높은 유아교사교육을 실천하는데 다양한 관점을 모색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ing Reality and Learning Rea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 박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75-181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진행된 전면 비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영향을 분석하여, 실재감의 유형에 따라 비대면 수업의 질을 개선 및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H대학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습만족도와 교수실재감(학습설계, 직접촉진), 학습실재감(인지적실재감, 사회적실재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내용이해(𝛽=.589, p<.001), 교수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직접촉진(𝛽=.420, p<.001), 학습설계(𝛽=.397, p<.01)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는 갑자기 변화된 수업방식에 긍정적인 감정의 교환이나 상호작용 등이 동반된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와의 친밀감을 향상시키려는 자세를 가져야 하겠으며, 교수자는 질 높은 학습설계를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통해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는 노력을 하되 학습자의 신체적 피로감을 고려한 학습매체와 학습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69-593
    • /
    • 2008
  •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는 교사가 있다는 인식에 따라 교수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용 교수 지식(PCK)은 Shulman(1986)에 의해 교수 활동의 기반 지식으로 제기된 이래 교사의 전문성 논의에서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2007년부터 내용 교수 지식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한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을 차별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수학 교과의 경우, 국내 외 PCK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PC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 본 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일차적으로 PCK 분석틀을 설정하는 과정과 절차까지를 다루었다.

  • PDF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489-514
    • /
    • 2008
  •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PCK)에 관한 연구를 교과별 여건과 진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 왔으나, 2007년부터는 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은 차별화하면서도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연구틀을 정립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함수 관련 내용에 대한 수업 관찰 및 면담, 수업 노트 작성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PCK를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PCK 연구 과정과 결과는 수학 교사 개개인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제적 도움을 주고, 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게 될 차기 년도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유아교사 창의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 이유희;전홍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5-1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 본 후,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교수창의성을 투입하여 교사 영유아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경기 수원지역의 어린이집 유아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test 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매개역할을 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데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과학교수활동을 할 때 교수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동시에 제공된다면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용 교재․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Authent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Young Children)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93-8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용 교재 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와 원장 3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먼저 전체 59.4%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이 필요하며, 32.9%는 교육현장 인식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39.4%가 교육현장 요구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45.1%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제도의 도입 시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 측면, 기능적 측면, 영역적 측면 순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는 사회적 발달 중점,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안전성 중점, 영역적 측면에 있어서는 언어발달 중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용 교재 교구의 다양성으로 인해 교육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사회적 발달촉진과 안전성 측면에서 평가인증된 교재 교구를 사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쌓기놀이, 읽기자료, 조작자료, 만들기 도구 등 실험관찰 도구의 사용이 높아지면서 품질보증이 가능한 교재 교구에 대한 높은 평가인증이 요구됨을 실증해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대학 교수·학습 개선방안 도출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of University in Online Class Environment since COVID-19)

  • 박동찬;이길재;강소윤;김수진;안은비;장서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21
    • /
    • 2022
  •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대학은 개강 연기, 전면적 비대면 온라인 수업 체제를 도입 및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학습경험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의 질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SEL) 결과 중 C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수업, 녹화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녹화 수업보다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의 인식 및 태도가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녹화 수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Enhancing the Quality of Students' Argu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gumentation in Different Contexts)

  • 곽경화;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0-41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논의과정 교수 학습 전략에 따라 과학적 상황에서의 논의과정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논의과정의 질에 있어서 향상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논의상황에 따라 논의과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2개 반 학생을 3-4명이 한 조를 이루도록 8개조로 나누고 논의전략과 상황을 달리하여 논의과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논의과정의 질에 있어서 향상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논의과정의 구조와 설명적,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 비율에 있어서는 논의상황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 빈도와 일부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에 있어서는 논의상황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전체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 빈도는 사회과학적 상황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증과 근거반박의 경우는 사회과학적 상황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요청과 요청응답의 경우는 과학적 상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의 논의과정이 과학적 상황과 사회과학적 상황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만 계획된 논의과정 수업에 의해 질적으로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기기 기반의 이러닝 콘텐츠 품질관리 평가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 김자미;김용;김성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75-482
    • /
    • 2014
  • A wide variety of contents are now provid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ppli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boost the quality of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For this study, 12 evaluation domains and 26 evaluation items were selected using the Delphi method.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quality are summarized 4 factor. In other words,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e quality of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there exist four areas to be considered, 'foundation', 'contents', 'teaching design' and 'techn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NCS 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생들의 학교충성도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s Loyalty to College and Self-confidence in Getting Job)

  • 정은경;오만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84-597
    • /
    • 2019
  •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은 무엇이며, 학생충성도와 취업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NCS 기반 교육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은 교수학습 강의, 대학명성, 교육프로그램, 학사행정서비스, 교육시설의 5가지였으며,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차원 중 교수학습 강의와 학사행정서비스가 직무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서비스품질과 직업기초능력은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충성도와 취업에 대한 자신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중요한 성과변수임이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