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fication training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3초

ADR제도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he Effici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Activation of the ADR System)

  • 이강빈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8권1호
    • /
    • pp.3-30
    • /
    • 2008
  •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ADR in Korea, the qualifications of mediator (or conciliator) and arbitrator, the ADR education program of major foreign arbitration-related institutions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device of ADR education program for the activation of the ADR system. In 2007, arbitration applications received at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numbered 320 and the amount involved those cases was US$ 216 millions. Mediation applications received at the KCAB numbered 552 and the amount involved those cases US$ 29millions. As of December 2007, the total numbers of arbitrators on the KCAB Panel of Arbitrators was 978. There are no provisions for the qualification of arbitrator in the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and Arbitration Act of Korea. The KCAB has the consolidation regulation of the Panel of Arbitrator of which purpose is to regulate the criteria and procedure regarding the drawing up and maintenance of the panel of arbitrators. The UK Chartered Institute of Arbitrators has the criteria and qualifications for membership of which three grades are associate, member and fellow. The American Arbitration Association has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admittance to the AAA National Roster of Arbitrators and Mediators. The Japan Association of Arbitrators has the official authorization regulation for membership of which three grades are special associate, ordinary associate and fellow. The UK Chartered Institute of Arbitrators has the ADR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mposed of the mediation courses and arbitration courses. The American arbitrators Association has the ADR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mposed of in-person training and online training. The Japan Association of Arbitrators has the ADR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mposed of the cultivation courses of conciliator and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of arbitrator. The efficient management devices of ADR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the execution of official authorization system of arbitrat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division for training and official authorization, the establishment of ADR regular training courses, the publication of ADR training texts and obtaining of instructors, and the consolida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the official authorization of arbitrator and ADR training. In conclusion, for the activation of ADR system, the KCAB and Korean Association of Arbitrators should make further effort to provide the ADR regula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potential and practicing conciliators and arbitrators.

  • PDF

서비스 제공자의 성격이 서비스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Providers'Personality on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 김민주;박종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direction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and employment of service oriented employees by examining the element of personality which affects the results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an employee's personality on the results of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ambition and prudence influenced their training performance. Second,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number of service training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ervice training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ambition, sociabili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were moderated effect. Third, a study on whether the academic qualification of employees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ervice training results showed that it had no relation with academic backgrounds.

노인 방문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치위생 전문교육과정 요구도 (Demand for dental hygiene specialization training courses for visiting oral health care for older individuals)

  • 조경숙;윤해수;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25-435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pinions of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RDH) and dental hygiene students (DHS),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visiting oral health care (VOHC), and the demand for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of RDH for VOHC. Methods: Using a Google online survey, 125 RDH and 106 DHS personnel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of VOHC and the operation of special training courses. Results: RDH (97.6%) and DHS (96.1%) agreed that they needed VOHC for older people. Moreover, the qualification course for specialized training for VOHC was considered necessary. Regarding the appropriate curriculum, RDH preferred training programs comprising 2-hours classes over 6 months and 15 weeks and so on, and DHS preferred 3 hours classes over 6 months and 15 weeks and so on. Regarding the desired working type, the RDH preferred the half-day system, whereas the DHS preferred the alternate-day system.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was intended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y agreed that continuing education was necessary when working as a visiting RDH, and many respond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f a specialized training course was opened. Conclusions: RDH and DHS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VOHC, and consider a specialized training qualification course necessary for efficient VOHC.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기준에 관한 방안 연구 (A Study on Criteria for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 신명훈;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5-21
    • /
    • 2004
  • 이 연구는 $\ulcorner$학점인정등에관한법$\lrcorner$ 제7조 제4항의 시행규칙과 관련하여 공인 민간자격 취득자에 대한 학점 인정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자격에 대한 학점 인정의 근거와 인정 원리 등에 관한 선행연구, 관련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공인 민간 자격관리자에게 공인 민간자격종목에 대한 학점부여 의견 조사를 하였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자격종목별 검정내용과 수준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였고, 공인 민간자격에 대한 학점 인정 방향에 대한 면담조사를 하였으며, 공인민간자격에 대한 시험문제의 수준과 난이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학점인정 수준 결정은 다음과 같다. 국가기술자격과 기타 국가자격의 학점 인정 원리에 따라 학점 인정할 수 없는 공인 민간자격 종목은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학점인정의 수준을 결정하였다. 첫째, 직무의 수준과 범위를 검토하고, 둘째, 대학의 교육과정과 자격검정 내용을 비교하였다. 직무범위 및 직무수행 난이도는 전문 자격과 일반 자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전문자격은 특정 직종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국가기술자격의 서비스분야 일반사무 자격종목의 제외한 자격종목, 기타 국가자격은 전문자격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일반 자격은 여러 직종에 걸쳐 직무 수행의 효율성을 높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습득 정도를 증명해주는 것으로서 언어 능력, 수리 통계 능력, 문제해결 능력, 협상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증명하는 자격이 해당한다. 공인 민간자격이 전문 자격에 해당하면, 국가자격의 직무수준과 비교하여 자격의 수준을 결정하였고, 일반 자격에 해당하면, 대학의 교육과정과 비교 검토하여 인정학점을 결정하였다.

다면 AHP 방법론을 활용한 역량 모델링과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Competency Modeling Using AHP Methodology and Improvement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 이재열;황승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1-20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gineer competency model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improv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Korea has managed technical human resources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the operation o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that certifies engineers with national certificates or technical grades by laws. However,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that the government system is separated from global standards and does not reflect an engineer's comprehensive capabilities. For these reasons, the new architecture of the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becomes a major policy issue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gineer competency model, domestic and global models were separately structured using 554 valid questionnaires with a consistency ratio (CR) of 0.1 or l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ngineer competency factors in a domestic model was career (0.383), qualification (0.253), academic degree (0.195), and job training (0.169) whereas the order in the global model was career (0.308), global ability (0.237), job training (0.175), domestic qualification (0.147), and academic degree (0.134).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factors and methods recognized by engineers were different from a current government model focusing on domestic qualifications. There was also perceptua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ngineer evaluation factor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s and markets.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and markets when evaluating engineer competency. Based on AHP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develop a new engineer competency index (ECI) and presented two effective index models verified by simulation test using 59,721 engineers' information. Lastly, the paper discussed major findings of our empirical research and proposed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a national engineer qualification system.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management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since it provides quantitative competency models that are objectively developed by reflecting market recognition and can be effectiv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r firms.

X-Plane 기반 비행훈련장치의 FAA Level 5 FTD(Flight Training Device) 인증을 위한 QTG(Qualification Test Guide) 생성방법 연구 (A Study on QTG(Qualification Test Guide) Generation for a Flight Training Device to be Qualifiable at FAA Level 5)

  • 김일우;박태준;윤석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035-1042
    • /
    • 2016
  • 상용 비행시뮬레이션 게임 엔진 X-Plane을 이용하여 구성한 비행시뮬레이터에 대해 FTD level 5를 만족시킬 수 있는 QTG작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모델은 Cirrus사(社)의 SR-20을 대상으로 하였다. QTG의 테스트항목 중에는 조종반력을 측정하는 항목도 있다. 따라서 Brunner사(社)의 CLS(Control Loading System)을 조종 장치에 설치하여 조종반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X-Plane은 자체적으로 트림루틴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Autopilot을 구성하여 항공기가 트림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수동으로 조종하여 테스트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고 같은 테스트를 같은 조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FTD Level 5의 경우 실제 비행데이터가 아닌 alternative data source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모든 테스트 결과가 주어진 범위를 만족하였다.

직무분석을 통한 컴퓨터 운용사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선 연구 (Job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criteria for preparation of Qualification test of Computer Operation Engineer)

  • 서준호;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2-36
    • /
    • 2006
  • 이 연구는 컴퓨터운용사의 구체적인 직무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운용사 자격의 출제기준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학계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직무분석 위원회에서 데이컴(DACUM: Development A curriculum)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범위, 등급, 응시자격, 검정 기준, 출제 기준, 검정 방법 등의 구성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운용사의 출제기준을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자료 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선정),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1차 전문가 협의회 및 1차 현장 검토)하였고,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2차 전문가 협의회 및 2차 현장 검토), 4단계는 코스 및 교과목 선정(3차 전문가 협의회), 5단계는 출제기준 설정(3차 현장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운용사의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 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56-2563
    • /
    • 2015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의 취업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학생이 개인차원에서 준비하는 자격증, 직업훈련 등과 함께 대학 차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의 전문대졸자 3,249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특성에서는 졸업학점이 높을수록, 출신대학이 비수도권일수록 취업 확률이 더 높았다. 전공계열은 준거집단 대비 의약, 교육, 공학, 사회, 자연 계열 순으로 취업 확률이 높았다. 취업준비활동에서는 국가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면접기술 & 이력서작성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졸업 전 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업훈련,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 직장체험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취업캠프, 대학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등은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부조종사 자격증명(MPL : Multi-Crew Pilot License) 제도 시범운영 로드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ilot operation roadmap for Multi-Crew Pilot License (MPL) System)

  • 김현덕;고강민;이동렬;김규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62-166
    • /
    • 2023
  • 본 연구는 부조종사 자격증명 (MPL) 제도 도입을 위한 시범운영 로드맵에 관한 연구로서, MPL 제도의 국내 도입은 기존의 조종사 자격제도와는 다른 역량 (Competency) 기반의 신개념 조종인력 양성 및 자격제도로서 새로운 조종사 교육 및 자격제도이다. 따라서 MPL 제도의 국내 도입은 초기 규정 확보, 훈련사업자 또는 교육생 확보 등의 제반 사항 준비 및 훈련 인프라 구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MPL 제도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시범운영에 필요한 로드맵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 항공시장에서 MPL 제도가 검증된 훈련프로그램 및 자격체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항공업계 구성원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MPL 훈련프로그램 과정의 점검, 평가 및 개선사항의 도출해내는 국내 비행 환경에 적합한 MPL 제도의 시범운영 로드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