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riteria for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기준에 관한 방안 연구

  • Shin Myong-Ho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신명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실) ;
  • 박종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실)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opose plans to give credit approval to those who obtain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regulations under the Clause 7, Article 4 of $\ulcorner$the law on credit approval and others$\lrcorner$. Preceding studies on the grounds and principles of credit approval, analyses on the related references and materials, and surveys asking the managers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their opinion over giving credit approval to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were conducted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Besides, a conference inviting experts from the relevant fields was held to specifically overview the contents and levels to be examined by qualification items, to conduct a face-to-face survey on directions to take in the credit approval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and to analyze the level and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of questions in the examinations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The contents and the level of credit approval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 items unable to formulate criteria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credit approval taken in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two factors were put under consideration for setting the level of the credit approval. First, the level and scope of work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ntent of qualification was compared with the course work of colleg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scope and performance of work was reviewed by specialized qualification and general qualification, respectively. Specialized qualification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required knowledge and technique are acquired for performing duty in specific work fields. It falls into service fields and qualification items except qualification items on general clerical work of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To the contrary, general qualification is to prove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echnique for improving the basic competencies throughout diverse types of occupations. It includes competencies to verify language proficienc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capacity, problem settlement,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hen the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 came under the specialized qualification, the level of qualification was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work of national qualifications. In the case of the general qualification, the credit to be approved was settl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urse work of college.

이 연구는 $\ulcorner$학점인정등에관한법$\lrcorner$ 제7조 제4항의 시행규칙과 관련하여 공인 민간자격 취득자에 대한 학점 인정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자격에 대한 학점 인정의 근거와 인정 원리 등에 관한 선행연구, 관련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공인 민간 자격관리자에게 공인 민간자격종목에 대한 학점부여 의견 조사를 하였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자격종목별 검정내용과 수준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였고, 공인 민간자격에 대한 학점 인정 방향에 대한 면담조사를 하였으며, 공인민간자격에 대한 시험문제의 수준과 난이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학점인정 수준 결정은 다음과 같다. 국가기술자격과 기타 국가자격의 학점 인정 원리에 따라 학점 인정할 수 없는 공인 민간자격 종목은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학점인정의 수준을 결정하였다. 첫째, 직무의 수준과 범위를 검토하고, 둘째, 대학의 교육과정과 자격검정 내용을 비교하였다. 직무범위 및 직무수행 난이도는 전문 자격과 일반 자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전문자격은 특정 직종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국가기술자격의 서비스분야 일반사무 자격종목의 제외한 자격종목, 기타 국가자격은 전문자격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일반 자격은 여러 직종에 걸쳐 직무 수행의 효율성을 높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습득 정도를 증명해주는 것으로서 언어 능력, 수리 통계 능력, 문제해결 능력, 협상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증명하는 자격이 해당한다. 공인 민간자격이 전문 자격에 해당하면, 국가자격의 직무수준과 비교하여 자격의 수준을 결정하였고, 일반 자격에 해당하면, 대학의 교육과정과 비교 검토하여 인정학점을 결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일 외(1996). 학점은행제 도입 및 실시방안.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2. 김영채(1995). 사고와 문제해결 심리학. 교육과학사
  3. 김재웅. 엄태동. 김민희(1998). 학점은행제 하에서 방송대학의 역할 및 대처 방안연구. 한국방송대학교
  4. 백정현. 한옥주(1998). 실기교육 방법론. 상조사
  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0). 교육학 대백과사전. 하우동설
  6. 신명훈. 박종성(2002).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이무근. 이용환. 나승일. 정철영. 이종성. 정태화. 배진환. 최애경(1997).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부 제출용보고서. p. 136
  8. 조정윤. 박종성. 김현수. 박윤희(1998a) 국가기술자격취득에 따른 학점인정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조정윤. 박종성. 김현수(1998b). 국가기술자격 이외의 기타 국가자격 취득에 대한 학점인정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좌승희(2001). 민간부분의 언적자원개발 활성화. 제 9차 정책포럼자료집, 1-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한국교육개발원(2002). 국가자격 학점인정 기준: 한국교육개발원 고시 제2002-2호
  12. 한국교육개발원(2002). 국가자격 학점인정 기준: 한국교육개발원 고시 제2002-4호
  13. 허경철. 김홍원. 조영태. 임선하. 양미경. 한순미(1990).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4. 홍순정 외 (1997).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대학과 사화교육기관의 연계운영 방안. 한국방송대학교
  15. http://www.hrdkorea.or.kr 한국산업인력공단
  16. http://www.kedi.re.kr 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