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E(Quality of Experienc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3초

차세대 유무선통신망의 QoE 측정 및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제안 (A Framework of QoE Measurement and Management for Next Generation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장걸;김화종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4-28
    • /
    • 2010
  • The Quality of Experience (QoE) of next Generation wired/wireless network services based upon IP networking is becoming a popular issue in recent years. The user experience of Internet services such as IPTV, online game, web surfing and etc, are becoming the most desirable factors to service providers to improve service performance and customer's satisfaction. However, collecting user experience from customers and obtaining the QoE parameters from the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such as bandwidth, delay, jitter or admission control algorithm, are difficult subjects because of the various service types and user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which contains service classification, QoE analysis and service enhancement steps for a suitable QoE measurement and management protocol. We define the user satisfaction indicators of the Internet services, classify the categories of each type of services, and analyse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in each type of services to perform the QoS parameters and improving the service qualities.

  • PDF

구간별 QoE 프레임을 이용한 QoE 네트워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ection-Specific QoE Frame for Efficient QoE Measurement)

  • 조승철;한리;손사민;김현숙;유정;한선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41권4호
    • /
    • pp.151-166
    • /
    • 2014
  • 기존의 QoE(Quality of Experience) 측정 방식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부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 까지 전체 구간을 묶어 측정 하였다. 이는 단순히 QoE 품질의 좋고 나쁨만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QoE 품질이 나빠질 경우 해결 방안을 제시 할 수 없었다. 또한 QoE 지표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국제적 규정이 없다. 본 논문은 QoE 지표를 네트워크와 사용자 관점에서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부터 라우터 까지, 라우터에서 서비스 받는 단말기 까지, 서비스 라우터에서 사용자 라우터 까지 3부분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맞는 QoE 지표 프레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KOREN-CERNET 환경에서 QoE 네트워크를 설계 및 구현하고 QoE 네트워크의 안정성, 사용자 불만해결 시간 단축,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컨텐츠 적응 효과를 입증하였다.

체감품질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의 관리 (Service Quality Management Based on Quality of Experience)

  • 신민수;김도훈
    • 경영과학
    • /
    • 제33권3호
    • /
    • pp.19-30
    • /
    • 2016
  •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to assess network design under the regime of QoE (Quality of Experience). Our approach is expected to reveal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QoE measures and applying this notion to network design, particularly in the mobile environment. Furthermore, our model shows the ample potential that both users and network providers are able to attain a win-win case by shifting the focus on network design and service operations from QoS (Quality of Service) to QoE. Since the former considers only relevant technological specifications, it may fail in capturing critical factors surrounding users, such as a context where the corresponding user is working on.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study [13], the bit-rate, a widely employed QoS measure, shows inferior performance in provisioning network resources to the MOS (Mean Opinion Score), a representative QoE measure. Our framework develops the idea and construct a prototype to systematically assess network design and operations in terms of QoE. The proposed prototype aims at achieving a higher level of efficiency without severely deteriorating users' satisfaction level. We also provide some simulation results which support our idea. That is, reducing the chance of over-provisioning on the basis of the QoE paradigm results in a great flexibility. It may give price cut for users or postponement of network investment for providers or both. Our simulation results also seem robust irrespective of the forms of the QoS-QoE relationship.

IPTV 체감 품질의 측정 (Measuring Quality of Experience of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 변대호;전홍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3-83
    • /
    • 2010
  •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혁신기술로 IPTV를 들 수 있다. IPTV는 텔레비전과 인터넷이 융합된 뉴미디어로 TV기능을 가지면서도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 검색, 게임, 영화, 홈쇼핑, 홈뱅킹 등 포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차세대 TV이다. 이러한 혁신기술들의 채택과 사용에 서비스 품질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IPTV는 일반 TV와 달리 기술적 제약 때문에 서비스 품질보다 체감 품질이 더욱 중요시 된다. 체감 품질은 사용자가 본원적으로 경험하고 인지하는 품질로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험하고 측정하는 품질이다. 본 연구는 IPTV의 체감 품질 측정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탐색적 방법을 사용하여 체감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고 사용자 테스트라는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체감 품질을 측정한다. 우리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9개의 체감 품질 요인(그래픽, 화질, 정확성, 접근도구, 콘텐츠의 질, 사용성, 보안성, 성능)을 발견하였다. IPTV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체감 품질 점 수는 화질, 그래픽, 콘텐츠의 질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높지 않아 개선이 요구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세그먼트 특성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A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the Segment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QoE for HTTP Adaptive Streaming (HAS) Services)

  • 김명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4호
    • /
    • pp.423-432
    • /
    • 2017
  • 최근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표준인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를 기반으로 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Quality of Experience) 향상을 위해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법들은 비디오의 VBR(Variable Bitrate)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불필요한 품질 변화로 인해 QoE가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세그먼트 특성을 기반으로 품질을 조절하는 SC-DASH(Segment Characteristics-based DASH)를 제안한다. SC-DASH는 다음에 요청할 세그먼트의 크기, 세그먼트 처리량, 그리고 버퍼 점유율을 기반으로 비디오 품질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품질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SC-DASH가 기존 기법보다 불필요한 품질 변화를 감소시킴으로써 QoE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비디오 품질 조절 알고리즘 (A Video Quality Adaptation Algorithm to Improve QoE for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 김명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호
    • /
    • pp.95-106
    • /
    • 2017
  • 최근 높은 품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고 급증하는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이 등장하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Quality of Experience; 사용자 체감 품질)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균적인 비디오 품질을 최대화해야 하며 품질 변경 주기, 품질 감소 폭, 그리고 끊김 현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최근 제안되었던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의 품질 조절 알고리즘들은 QoE 관련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하지 않아 높은 QoE를 제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의 QoE 향상을 위해 SQA (Smooth Quality Adapta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일정 기간 품질을 유지하고 비디오 품질의 급격한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부드러운 사용자 체감 품질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대역폭 감소 구간에서 품질 변경 폭을 감소시키고 품질 변경을 최소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Generic Quantitative Relationship to Assess Interdependency of QoE and QoS

  • Khorsandroo, Sajad;Noor, Rafidah Md.;Khorsandroo, Sayi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2호
    • /
    • pp.327-346
    • /
    • 2013
  • Researchers as well as network provid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nderstanding how a network user's experience changes in relation to different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with many attempts being made to identify th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experience (QoE) and QoS. Several relations in different function forms have been proposed. There are instances when this variety of proposed functions potentially results in one problem having completely dissimilar solutions at the same time. The question then is which function form is the one that can better explain this relationship. In this paper, three major existing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QoE and QoS are investigated.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m, a new definition of QoE-QoS dependency appears. It then results in identifying a new mutual relationship between QoE and QoS. The newly proposed relationship improves the deficiency of previous QoE-QoS relationships along with solving the problem of diversity of simultaneous solutions for one problem.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비디오 품질 유지 기법 (Video Quality Maintenance Scheme for Improve QoE of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 김윤호;김희광;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2호
    • /
    • pp.187-194
    • /
    • 2018
  • 최근 HTTP 적응적 스트리밍(HTTP adaptive streaming)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은 네트워크의 대역폭이나 클라이언트의 버퍼량에 따라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그러나 기존 품질 조절 기법은 빈번한 대역폭 변화나 고정된 버퍼 임계로 인해 불필요한 품질 변경이 발생하여 QoE(Quality of Experience)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해 평균 비디오 품질을 높이면서 불필요한 품질 변경을 최소화하는 비디오 품질 유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버퍼 점유율과 비디오 품질이 높을 경우 품질 유지 기간을 길게 설정하여 높은 품질을 오래 유지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평균 비디오 품질을 향상시키고 품질 변경을 최소화하여 QoE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한 무선 채널 품질이 사용자 체감 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wireless channel quality on the quality of experience (QoE)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91-498
    • /
    • 2014
  • 무선 접속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가 보편화된 최근 사람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느끼는 품질인 사용자 체감 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사용자 체감 품질은 서비스 품질 (QoS; Quality of Service)와 같이 객관적인 수치화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유선과는 달리 무선 접속을 통해서 제공되는 IP 서비스는 매우 많은 요인에 의해서 사용자 체감 품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무선 접속 서비스인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를 통해서 음성 서비스가 제공될 때 측정 가능한 품질지표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실측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서비스 품질과 사용자 체감 품질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분석 결과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전송 지연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고 그에 이어 전송 지연과 MOS (Mean Opinion Score)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DASH 기반 VBR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품질 적응 기법 (Quality Adaptation Scheme for Improving QoE of DASH-based VBR Video Streaming Service)

  • 윤두열;정광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2-87
    • /
    • 2015
  •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기술은 VBR 비디오 전송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B-DASH (Content and Buffer-aware DASH)라는 DASH 기반의 새로운 품질 적응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비디오의 VBR 특성과 클라이언트 버퍼 상태를 고려하여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의 정확한 대역폭 예측 및 QoE 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