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W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DFB 레이저의 통합된 설계 변수로서의 광자 분포 중심 II : ${\lambda}$/4 위상 천이 구조 (Center of Photon Mass as a Unified Design Parameter II : Quarter Wavelength Shifted DFB Lasers)

  • 김성한;김상배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2호
    • /
    • pp.63-69
    • /
    • 1999
  • QWS-DFB 레이저에서 단일 주파수 동작 안정성을 결정하는 문턱 이득 차이와 축 방향 광자 분포, 균일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통합된 설계 변수로서 광자 분포 중심을 정의하고, 이 광자 분포 중심이 문턱 이득 차이와 광자 분포의 균일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유효 굴절률 전달 매트릭스 방법으로 보였다. 또, 이로부터 단일 주파수 동작 안정성을 최대화하는 설계 원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설계 원칙을 적용한 예로서 100% 단일 주파수 동작 수율을 보이는 결합계수의 범위를 넓힌 ,sampled grating QWS-DFB 레이저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레이저 구조는 단일 주파수 동작을 하는 결합계수의 범위가 좁다는 QWS-DFB 레이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길을 제시하였다.

  • PDF

Optical properties of a-plane InGaN/GaN multi-quantum wells with green emission

  • Song, Hoo-Young;Kim, Eun-Kyu;Lee, Sung-Ho;Hwang, Sung-M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2-172
    • /
    • 2010
  • In the area of optoelectronic devices based on GaN and related ternary compounds, the two-dimensional system like as quantum wells (QWs) has been investigated as an effective structure for improving the light-emitting efficiency. Generally, the quantum well active regions in III-nitride light-emitting diodes grown on conventional c-plane sapphire substrates have critical problems given by the quantum confined Stark effect (QCSE) due to the effects of strong piezoelectric and spontaneous polarizations. However, the QWs grown on nonpolar templates are free from the QCSE since the polar-axis lies within the growth plane of the template. Als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linear polarized light emission from nonpolar QW structures is attracting attentions because it is proper to the application of back-light units of liquid crystal display.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optical properties of the a-plane InGaN/GaN QW structures by temperature-dependent photoluminescence (TDPL) measurements. From 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measured at 300 K, green emission centered at 520 nm was observed for the QW region. Since indium incorporation on nonpolar QWs is lower than that on c-plane, this high indium-doping on a-plane InGaN QWs is not common. Therefore, the effect of high indium composition on optical properties in a-plane InGaN QWs will be extensively studied.

  • PDF

Comparative study of InGaN/GaN multi-quantum wells in polar (0001) and semipolar (11-22) GaN-based light emitting diodes

  • Song, Ki-Ryong;Oh, Dong-Sub;Shin, Min-Jae;Lee, Sung-Nam
    •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 /
    • 제13권spc2호
    • /
    • pp.295-299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crystal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GaN-based blue light emitting diodes (LEDs) which were simultaneously grown on c-plane (0001) and semipolar (11-22) GaN templates by using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he X-ray rocking curves (XRCs) full width at half maximums (FWHMs) of c-plane (0001) and semipolar (11-22) GaN templates were 275 and 889 arcsec, respectively. In addition, high-resolution X-ray ω-2θ scan showed that satellite peaks of semipolar (11-22) InGaN quantum-wells (QWs) was weaker and broader than that of c-plane (0001) InGaN QWs, indicating that the interface quality of c-plane (0001) QWs was superior to that of semipolar (11-22) QWs. Photoluminescence (PL) and electroluminescence (EL) results showed that the emission intensity and the FWHMs of polar c-plane (0001) LED were much higher and narrower than those of semipolar (11-22) LED,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believed that relative poor crystal quality of semipolar (11-22) GaN template might give rise to the poor interfacial quality of QWs, resulting in lower output power than conventional c-plane (0001) GaN-based LEDs.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가 DFB 레이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andom Fluctuation in Grating Period on the Characteristics of DFB Lasers)

  • 한재웅;김상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8호
    • /
    • pp.76-85
    • /
    • 2000
  •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가 DFB 레이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효 굴절률 전달 매트릭스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레이저의 양 거울면은 완전 무반사 처리되었다고 가정하였으며, 회절격자 주기의 변이는 Gaussian 랜덤 변수로 표현하였다.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는 균일 회절격자 DFB 레이저와 QWS-DFB 레이저 스펙트럼의 대칭성을 깨뜨리고 유효 결합계수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균일 회절격자 DFB 레이저에서는 ${\pm}$1모드 거울면 손실의 평균값이 증가하고 금지 대역폭이 감소하며, QWS-DFB 레이저에서는 단일모드 안정성과 파장 정확도가 저하된다. QWS-DFB 레이저의 거울면 손실 차이는 결합계수에 관계없이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가 카짐에 따라 감소하고, spatial hole-burning 효과는 정규화된 결합계수가 1.5보다 클 때에는 주는 데 반하여 작을 때에는 커진다.

  • PDF

QWS-DFB 레이저에서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에 따른 주모드 파장 분포의 해석적 근사식 (Approximate Analytical Expression of the Laser Wavelength Distribution Incurred by the Grating Period Fluctuation in QWS-DFB Lasers)

  • 하선용;김상배;나상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9호
    • /
    • pp.616-623
    • /
    • 2001
  • 회절격자의 인접한 반주기 길이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주기 길이의 랜덤 변이가 QWS-DFB 레이저의 주모드 파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유효 굴절률 전달 매트릭스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주모드 파장 분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주모드 파장 분포를 회절격자 반주기의 정규화된 표준편차 σΛ와 인접 반주기 랜덤 변이 사이의 상관계수 γ 의 해석적인 근사식으로 나타내었다. 이 확률 밀도 함수는 가우스 분포 함수이며, 그 표준편차는 σΛ가 커질수록 커지고 γ가 -1로 갈수록 작아진다.

  • PDF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가 QWS-DFB 레이저의 정규화된 결합계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random fluctuation in grating period on the Coupling Coefficient of QWS-DFB Lasers)

  • 하선용;김상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9호
    • /
    • pp.624-633
    • /
    • 2001
  • 회절격자 반주기 길이의 랜덤 변이가 QWS-DFB 레이저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xL 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QWS-DFB 레이저의 양 거울면은 무반사면으로 하였고, 회절격자 랜덤 변이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상관되어 있는 두 Gaussian 랜덤 변수로 나타내었다. 회절격자 반주기의 랜덤 변이가 있으면 동일 위상성분의 되먹임이 적어져 유효 xL 값이 감소하고 모드 간격이 줄어든다. 그런데, 회절격자 주기의 랜덤 변이가 있을 때 곁모드 간격에서 구한 결합계수 xL/sub SM/값과 주모드 거울면 손실에서 구한 xL/sub SM/는 일치하지 않으며, 랜덤 변이가 없을 때의 xL값보다 작다. 이 결과는 곁모드 간격 또는 spontaneous emission spectrum을 사용하여 측정한 xL/sub SM/ 값을 실제로 되먹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xL/sub eff/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Electrically Driven Quantum Dot/wire/well Hybrid Light-emitting Diodes via GaN Nano-sized Pyramid Structure

  • 고영호;김제형;김려화;고석민;권봉준;김주성;김택;조용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7-47
    • /
    • 2011
  • There have been numerous effort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by using low dimensional structures such as quantum dots (QDs), wire (QWRs), and wells (QWs). We demonstrate QD/QWR/QW hybrid structured LEDs by using nano-scaled pyramid structures of GaN with ~260 nm height. Photoluminescence (PL) showed three multi-peak spectra centered at around 535 nm, 600 nm, 665 nm for QWs, QWRs, and QDs, respectively. The QD emission survived at room temperature due to carrier localization, whereas the QW emission diminished from 10 K to 300 K. We confirmed that hybrid LEDs had zero-, one-, and two-dimensional behavior from a temperature-dependent time-resolved PL study. The radiative lifetime of the QDs was nearly constant over the temperature, while that of the QW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ue to low dimensional behavior. Cathodoluminescence revealed spatial distributions of InGaN QDs, QWRs, and QWs on the vertices, edges, and sidewalls,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blue-shifted electroluminescence with increasing current due to the band-filling effect. The hybrid LEDs provided broad-band spectra with high in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color-tunability for visible light-emitting sources.

  • PDF

내장형 리눅스 시스템상에서 EBKS용 전자책 리더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Book Reader System for EBKS on Embedded Linux System)

  • 김정원;노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4호
    • /
    • pp.421-42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내장형 리눅스 환경에서 XML기반 EBKS용 전자책 리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내장형 리눅스 타겟보드 상에서 Qt SAX 파서를 이용하여 한국형 전자책 문서 표준에 기반한 XML 문서를 파싱하고, 크로스플랫폼형 윈도우 시스템인 QWS(Qt Windows system)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개발된 전자책 리더는 리눅스 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윈도우 플랫폼(MS 윈도즈 등)에서 신속하게 그리고 쉽게 개발 가능하며, SAX 파서를 사용하므로 DOM 인터페이스에 비해 메모리 소요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내장형 리눅스를 이용한 e-book 단말기 연구 (Study of E-book Terminal on the Embedded Linux)

  • 노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
    • pp.905-90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내장형 리눅스 환경에서 XML기반 EBKS용 전자책 리더 개발에 대한 내용이다. 개발된 단말기는 내장형 리눅스 타겟보드에서 한국형 전자책 문서 표준에 기반한 XML 문서를 Qt SAX 파서를 이용하여 파싱하고, 크로스 플랫폼형 윈도우 시스템인 QWS(Qt windows system)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개발된 전자책 리더는 리눅스 환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윈도우 플랫폼에서 신속하고 쉽게 개발 가능하며 SAX 파서를 사용하므로 DOM 인터페이스에 비해 메모리를 적게 사용한다.

  • PDF

Application of Quadratic Algebraic Curve for 2D Collision-Free Path Planning and Path Space Construction

  • Namgung, Ih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07-117
    • /
    • 2004
  • A new algorithm for planning a collision-free path based on an algebraic curve as well as the concept of path space is developed. Robot path planning has so far been concerned with generating a single collision-free path connecting two specified points in a given robot workspace with appropriate constraints. In this paper, a novel concept of path space (PS) is introduced. A PS is a set of points that represent a connection between two points in Euclidean metric space. A geometry mapping (GM) for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path space is also developed. A GM based on the 2$^{nd}$ order base curve, specifically Bezier curve of order two is investigated for the construction of PS and for collision-free path planning. The Bezier curve of order two consists of three vertices that are the start, S, the goal, G, and the middle vertex. The middle vertex is used to control the shape of the curve, and the origin of the local coordinate (p, $\theta$) is set at the centre of S and G. The extreme locus of the base curve should cover the entire area of actual workspace (AWS). The area defined by the extreme locus of the path is defined as quadratic workspace (QWS). The interference of the path with obstacles creates images in the PS. The clear areas of the PS that are not mapped by obstacle images identify collision-free paths. Hence, the PS approach converts path planning in Euclidean space into a point selection problem in path space. This also makes it possible to impose additional constraints such as determining the shortest path or the safest path in the search of the collision-free path. The QWS GM algorithm is implemented on various computer system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measur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and show the execution time in the range of 0.0008 ~ 0.001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