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UERCUS spp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초

진해 제덕만 목재 유물의 수종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Relics Excavated in Jedeok Bay, Jinhae)

  • 정성호;박병수;구자운;정의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20-28
    • /
    • 2004
  • 경상남도 진해시 제덕동 제덕만 일대 해안에서 발굴된 목재유물 중 일부인 26점의 유물에 대한 수종을 식별한 결과, 소나무류(Pinus spp.) 7점, 상수리나무류(Quercus spp.) 15점, 가시나무류(Quercus spp.) 1 점, 합다리나무(Meliosma oldhami Miq.) 1점,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1점, 서어나무류(Carpinus spp.) 1점으로 판명되었다. 유물의 용도별로 구분하면, 연목(목책)의 경우 소나무류, 상수리나무류, 합다리나무, 서어나무류 등으로 다양한 수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선박부재는 모두 상수리나무류이었고, 선체편은 소나무류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용도미상의 나머지 유물은 소나무류, 상수리나무류, 가시나무류 및 굴피나무이었다.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Quercus spp.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윤재원;유미영;박부길;이명구;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3-468
    • /
    • 2004
  •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 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0157:H7이나 S. typhimurium보다 그람양성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효모와 곰팡이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종별 항균 활성은 갈참, 떡갈 신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졸참, 상수리, 굴참나무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강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와 목질부는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6종의 부위별 참나무수종 중에서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 ATCC 9634와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서는 500 $\mu\textrm{g}$/mL에서, E. coli O157:H7는 1 mg/mL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 이종수;이우균;윤정호;송철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63-671
    • /
    • 2006
  • 본 연구는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수치 임상도와 현존식생도를 활용하여 $100m{\times}100m$ 격자 단위로 전국 단위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100m{\times}100m$ 래스터 격자 단위의 지형, 기후, 토양 관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이상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도와 주제도간의 GIS 기반 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공간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출현빈도모델을 제시하였다. 소나무림의 경우 참나무류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고가 낮고 경사도가 완만하며 기온이 높은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나무림은 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화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참나무류림은 사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변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지리형태학적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회귀식으로 도출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요소를 고려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임분의 합리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충북 중.북부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류 삼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spp.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of Middle and Northern Parts,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김헌규;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207-214
    • /
    • 2005
  •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 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시루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졸참나무-상수리나무하위단위(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group), A-2. 신갈나무하위단위(Quercus mongolica group), B. 신갈나무-철쭉군락(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 떡갈나무-홀아비꽃대군락(Quercus dentata-Chloranthus japonicus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각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Mycorrhization of Quercus spp. with Tuber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Collected in Korea

  • Gwon, Ju-Hui;Park, Hyeok;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50권2호
    • /
    • pp.104-109
    • /
    • 2022
  • Fungi of the genus Tuber are ectomycorrhizal fungi that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mainly with oak and hazel trees. Tuber spp. exhibit a highly selective host plant preference; thus, for cultivation purposes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host plant for successful mycorrhization. In addition, as mycorrhizal characteristics differ according to Tuber spp.,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ycorrhizae according to the fungal species. Tuber huidongense and Tuber himalayense wer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therefore, we used spore suspensions from these two species to inoculate two species of oak trees,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to compare colonization rates and morphologies of the mycorrhizae. The colonization rate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t Tuber spp. favored different host plant species. In addition, uniqu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for T.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depending on the host species. These findings can lead to new economically important agricultural activities related to truffle cultivation in Korea.

자생수목의 종자를 이용한 절개지의 복원 -THE EAST VALLEY C.C 사례를 중심으로- (Restoration of the Cut-slopes by Native Plant Seeding -Application on the Rock Exposed Cut-slopes at East Valley Country Club-)

  • 김재준;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70-7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nvironmental restoration method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ock exposed steep cut-slopes using native woody plants seeds by the hydro-seeding with artificial soil medi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Quercus spp. seeded after seed treatment germinated over 80% and most of them grew well until one year. So, Quercus spp. can grow at the extremely dry rock exposed slopes revegetated by hydro-seeding with soil-fertilizer-seed mixed media. 2. The germinated seedlings grew well at the slopes oriented southeast. But in case of the survival ratio of the germinated seedlings, northwestward slopes was the best. 3. In case of the using pot seedlings of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it shows more beautiful scenery than the area using cool-season grasses. 4.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lbizzia julibrissin, Quercus spp. and Lespedeza crytobotrya can be useful at the restoration and revegatation of the cut-slopes. 5. At the results of the seed mixture experiment, cool-season grasses covered the ground quickly, but slowly germinated Quercus spp. and Lespedeza crytobotrya formed under story vegetation. Also, Albizzia julibrissin formed upper story vegetation will be replaced by Quercus spp. slowly.

연륜해석에 의한 참나무류의 직경생장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Interpretation of Diameter Growth Pattern and Correlation of Climatic Factors with Diameter Growth for Quercus Species Based on Tree-Ring Measurement)

  • 신창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5-151
    • /
    • 2006
  • 우리나라 중북부의 산림에서 참나무류의 연년 직경생장 변화와 온도, 강수량, 일조량 등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년직경생장은 262개의 참나무에서 채취한 생장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참나무류의 연년직경생장은 월악산보다 중왕산에서 더 좋았으며, 종별로는 졸참나무>굴참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악산과 중왕산 두 지역간의 참나무류 생장패턴은 서로 달랐으며, 중왕산에서는 참나무류의 직경생장이 7월의 기온이나 일조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악산에서는 3월의 일조량과 6월의 강수량이 연륜생장과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지역의 산림내에서 참나무류의 직경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이 같아도 해발고, 지형, 토심과 같은 식생환경에 따라 기상인자의 영향정도가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조계산지역(曹溪山地域)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연구(硏究)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Natural Forest Communities at Mt. Jokye Area)

  • 김태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418-424
    • /
    • 1987
  • 조계산지역(曹溪山地域) 해발(海拔) 2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연속(連續)된 삼림군집내(森林群集內)에서 천이단계(遷移段階)를 고려하여 소나무림(林), 소나무-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 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을 대상(對象)으로 천이단계(遷移段階)에 따른 삼림군집(森林群集)의 구조(構造)와 속성(屬性)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이단계(遷移段階)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喬木層)의 밀도(密度)가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천이단계(遷移段階)가 높아짐에 따라 천이양도(遷移樣度)는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 우점도(優占度)는 감소(減少)하였다. 출현종수(出現種數)는 교목상층(喬木上層)의 혼효도(混淆度)가 높을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다. 3. 식생분포형(植生分布型)은 S형(型)에 가까운 분포형(分布型)을 보였다. 4. 본(本) 조사지(調査地)의 경우 교목류(喬木類)의 천이(遷移)는 소나무림(林), 소나무-참나무류(類)-서어나무림(林), 서어나무-참나무류림(類林)으로 진행(進行)되고 있었으며 서어나무가 극상림(極相林)을 이룰 것으로 추정(推定)했다. 5. 참나무류(類)가 양수(陽樹)의 활엽수림(闊葉樹林)으로서 순림(純林)을 일지 못하는 것은 천이(遷移)의 진행속도(進行速度)가 빠른 계곡부(溪谷部) 삼림군집(森林群集)의 특징이라고 사료된다.

  • PDF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 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49-60
    • /
    • 2018
  •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

$SO_2$에 대한 참나무속 식물의 반응 (Responses of Quercus spp. to $SO_2$)

  • 이창석;배정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9-226
    • /
    • 1991
  • Results from study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SO_2$ of Quercus spp. selected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damaged by air pollution in the field study were as follows. Tolerance of Quercus aliena, Q. acutissima and Q. mongolica used in this study to $SO_2$ was higher in that order and tolerance of these plants to $SO_2$ was high comparatively among trees composing of major forest vegetation of Korea including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s. Stomatal resistance of these plants was increased after exposure to $SO_2$ and range of increase was different among species. From discrepancy between order of tolerance to $SO_2$ and range of increase in stomatal resistance, we were estimated that resistance mechanisms of Quercus spp. were different among species as mechanism originated in avoidance and resistance, respectively. Water potential of plant leaves reduced after exposure to $SO_2$, degree of reduction accorded with order of tolerance to $SO_2$. Reduction of water potential of plants after exposure to $SO_2$ was initiated before appearance of visible damage in plant leaves and water potential of plants exposed to $SO_2$ of low concentration, in which plants were not showed viaible damage was also redu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