볶은 들깨박에 존재하는 항암효소계 유도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용매분획과 preparative TLC를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암예방지표효소인 quinone reductase와 AHH 유도활성을 조사하였다. 볶은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QR을 측정한 결과 chloroform층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들깨박 메탄올 추출물을 TLC로 분리한 분획가운데 QR과 AHH유도활성은 F1$(R_{f}=0.8)$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능은 F1$(R_{f}=0.8)$과 F2$(R_{f}=0.7)$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나 QR유도성분과 항산화성분이 동일성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 된다.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를 분리 정제하여 클로로겐산(CA), 퀘르세틴(QT) 및 퀘르시트린(QR)을 얻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91.9%, 89.9%, 77.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QT 및 QR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9.5%, 91.4%를 나타내었으며, CA는 1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이 농도에서 29.5%, 34.7%, 23.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해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CA, QT, QR 모두 1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에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QT에서는 TRP-1, TRP-2 및 tyrosinase에서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A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QT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QR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의 결과에 따라 CA, QT, QR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일차원 바코드의 용량과 기능을 확장한 이차원 바코드인 QR(Quick Response) 코드가 보급되었다. 카메라를 내장한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증가로 QR 코드가 모바일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QR 코드는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웹페이지 URL 주소를 저장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간접 코드 방식은 서버 연결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데이터 통신을 유발하여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인프라가 낙후된 지역 및 국가에 서비스가 불가하여 글로벌 비지니스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웹페이지 정보를 경량화 된 웹 서비스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웹페이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웹페이지에서 HTML 태그와 리소스 정보들을 분리하여 소량의 필수 컨텐츠만 QR 코드에 압축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에 구현하였으며 구현 결과 별도의 서버 운영없이 웹서비스가 가능하며 데이터 통신의 유발 없이 효율적인 저장 방법을 제공함을 확인한다.
민간에서 만성간염, 수종, 옹종, 습진, 류마치스성 관절통, 소변분리, 말라리아,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해열 진통제로 약용하고 있는 배풍등을 metanol (SL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SLMH), ethylether (SLMEE), ethylacetate(SLMEh), butanol (SLMB) 및 수층 (SL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배풍등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풍등의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 mirabilis, S. aureus, S. marcescens 및 B. substilis의 4가지 사용균주에 배풍등의 각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SLMEA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SLMEE에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풍등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HeLa, MCF-7, HT-29 및 HepG2 모두 배풍등의 ethylether 분획층인 SLMEE총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SLMEE층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극성과 비극성을 둘 다 가지는 SLMEA층에서의 항균활성 물질과 비극성 용매층인 SLMEE 층에서의 암 예방 물질의 단계적인 분리 동정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이 있는 성분을 추출 분리하여 그 유효 성분을 탐색함으로써 질병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부터 혈액 순환을 돕고, 지혈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탁에 상용되는 야채인 부추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인 HepG2, HeLa, MCF7 및 SK-N-MC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및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 결과, 4종의 암세포주 모두 ethylether층인 ATMEE에서 아주 높은 농도 의존적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다. 즉 본 실험에 사용된 인체 암세포주 4종에서 시료의 농도가 $150\;{\mu}g/mL$일 때 각 세포주 모두 약 9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신경아종세포주인 SK-N-MC 에서는 ethylether층의 시료 농도를 다른 층을 첨가시의 농도보다 적은 $100\;{\mu}g/mL$ 첨가에서도 이미 99.8%의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신경아종세포인 SK-N-MC에서는 ethylacetate층인 ATMEA의 경우에서도 최종 첨가 시료농도를 $200\;{\mu}g/mL$ 첨가했을 때 이미 91%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암예방 quinone reductase(QR) 유도활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butanol 분획물 ATMB를 $50\;{\mu}g/mL$ 첨가했을 때 시료무처리구인 대조군을 1.0으로 한 경우 암예방 QR유도 효과가 아주 높은 3.92배의 활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인체암세포 4종류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는 부추의 ethylether 분배층(ATMEE)에서 제일 뚜렷하였고,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는 butanol 분배층(ATMB)에서 가장 유도효과가 좋았다. 나아가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studies the observability of calibration system with a measurement operator. The calibration system needs a simple digital indicator to measure the mobile table movements with respect to the MC coordinate. However, it yields the concern about the poor parameter observability due to measuring only a part of the movements. We uses the QR-decomposition to find the optimal calibration configurations maximizing the linear independence of rows of an observation matrix. The number of identifiable parameter is examined by the rank of the observation matrix, which represents the parameter observability. The method is applied to a 6-axis MC with parallel tilting table and the calibration results are presented. These results verify that all necessary kinematic parameters are observable and the calibration system has robustness to the noise using optimal calibration configurations.
This paper studies the observability of calibration system with a constraint movement by a constraint operator. The calibration system with the constraint movement need only simple sensing device to check whether the constraint movements are completed within an established range. However, it yields the concern about the poor parameter observability due to the constraint movements. This paper uses the QR-decomposition to find the optimal calibration configurations maximizing the linear independence of rows of a observation matrix. The number of identifiable parameters are examined by the rank of the observation matrix, which represents the parameter observability. The method is applied to a parallel typed machining center and the calibration results are presented. These results verify that the calibration system with low-cost indicators and simple planar table is accurate as well as reliable.
일차원 심벌의 데이터 용량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십 여년 전에 2차원 바코드가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레이 영상에서부터 2차원 바코드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는데, 특히 손에 들고 사용하는 2D 바코드 인식 시스템에 탑재를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영상 내 2차원 바코드의 대략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블록 명암대비를 바탕으로 한 후보블록 기준을 정의하고, 관심영역으로부터 바코드 영역을 정확히 분리하기 위해 그레이 스케일 프로젝션과 부 화소 처리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바코드 영역은 이어지는 디코딩 단계를 위해 역 투시변환을 통해 정규화 된다. 본 논문에서는 QR-코드에 대한 디코딩을 위한 후처리 과정도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조명상태나 인쇄상태 및 투시변환에 의해 영상에 강한 왜곡이 있는 경우에도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실시간으로 다양한 종류의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코드영역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출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로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감초에서 분리한 dehydroglyasperin C (DGC)는 이전의 연구에서 세포 모델계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능력과 2상 해독효소계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동물 모델계에서 DGC의 항산화능과 2상 해독효소계를 평가하였을 때, 유의적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DGC 처리시간에 따라 마우스의 장기 및 혈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0, 2, 4, 6, 8, 12, 24 시간 동안 DGC를 처리한 후, 장기별 QR 유도활성과 간과 신장에서의 단백질 발현 패턴, 혈장의 항산화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GC 처리에 의한 QR 유도활성은 위, 대장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고, 간, 신장, 소장, 폐에서는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상 해독효소의 단백질 발현 패턴은 간에서는 역시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위에서는 QR 유도활성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혈장의 DGC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활성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GC는 처리 시간에 따라 각 장기 및 혈장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DGC의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phase II 효소 중 QR은 quinone류 자체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고 다른 암예방 효소계와 공통으로 유도되며, 항암 작용이 있는 많은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어지기 때문에 암예방 물질 탐색의 지표가 되는 대표적인 효소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귤류 중 지각을 이용하여 메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대표적인 암예방계 효소로 알려진 quinone reductase 및 glutathion S-transfer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QR 및 GST 유도활성 측정에 앞서 각 시료의 Hepa 1c1c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여 시료자체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QR, GST 유도 활성을 측정할 시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각각 시료의 최대 처리 농도를 결정하였다. 총 6개의 지각 분획물 중 mouse 유래 Hepa 1c1c7 세포주에서는 hexane 충과 chloroform 충에서 QR, GST의 활성이 $200{\mu}g/mL$에서 각각 1.8배, 1.5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높은 QR 및 GST의 유도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지각의 hexane 층이나 chloroform층에 존재하는 높은 QR및 GST의 유도활성이 나타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