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C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35초

광화학측정망에서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도관리 방법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method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measured in the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

  • 신혜정;김종춘;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44
    • /
    • 2011
  • The hourly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concentrations between 2005 and 2008 at Bulgwang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QA/QC) procedure. Systematic error, erratic error, and random error, which was manifested by outlier and highly fluctuated data, were checked and removed. About 17.3% of the raw data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proposed QA/QC procedure. After QA/QC,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or representing 15 specie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94.7-548.0% to 63.4-125.8%, implying the QA/QC procedure is proper. For further evaluation about the adequacy of QA/QC procedur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PCA) was carried out. When the data after QA/QC procedure was used for PCA, the extracted principal components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 from the raw data and could logically explain the major emission sources(gasoline vapor, vehicle exhaust, and solvent usage). The QA/QC procedure based on the concept of errors is inferred to proper to be applied on VOCs. However, an additional QA/QC step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in the atmosphere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광산지역 토양정밀조사 정도관리(QA/QC)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for the Soil Environmental Assessment in Abandoned Mine)

  • 지원현;김종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3호
    • /
    • pp.134-141
    • /
    • 2014
  • A testing inspe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in the industry, owing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directivity of testing inspection results. Therefore, the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QA/QC) work which performed by personnel not directly in the inventory compilation development, in testing inspection must be thoroughly considered. Some agencies for environmental test inspection, they sometimes misunderstood that the QA/QC was ended with proficiency testing performance and on-site assessment by a director. Thus, results were often calculated without QA/QC work by self manual when conducting tes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reliability of testing and inspection agency through the QA/QC case study which basically performed to raising reliability of testing and inspection agency. In this study, it increased reliability of result by verifying calibration curve (IC, ICV, CCV), blank, accuracy (LCS, MS) and precision as QA/QC performance, while performing investigation of soil contamination in mining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reliability establishing method of test result and management method of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QA/QC instance of testing agency.

석면분석 정도관리용 표준시료 개발연구 I - 석면분석 정도관리용 표준시료 제조장치 개발 및 시료제조 방법 확립 - (Development of Asbestos Quality Control Sample for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1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ample Preparing Procedure for Asbestos Quality Control Sample -)

  • 이광용;이종한;정시정;박두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87
    • /
    • 2009
  • Final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quality control(QC) sample for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of asbestos.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ample preparing procedure for asbestos quality control(QC) sample: second, validation of the QC samples made by our developed method as asbestos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sample. The main results of the first part research are as followed We developed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asbestos QC sample, consisted of filter hold, filter holder manifolder, vacuum system, and vacuum pump. The most proper filter of making the QC samples was a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with 25 mm diameter, pore size 0.8 um. And we presented the optimal procedure for preparing the asbestos QC sample by using the developed apparatus. We will verify the manufactured asbestos QC samples by this method, and present the validation result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s a asbestos QC sample in next paper.

GPS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ement of GPS Data Quality Control Program)

  • 윤홍식;이동하;이영균;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8
    • /
    • 2006
  • 본 연구는 GPS 데이터 해석 시 정밀도를 높이고 현장에서 관측시간 내 GPS 측량의 적절성 및 재측 여부 등을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GPS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GPS_QC 프로그램은 관측시간 내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DOP)와 다중경로 오차량, 전리층 지연량 및 사이클 슬립 등의 품질관리 인자(quality control parameters)를 RINEX 형식의 GPS 관측데이터로부터 직접 계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러한 품질관리 인자는 시계열 형태와 그래프로 제공된다. GPS_QC 프로그램은 일반 사용자들이 다루기 어려웠던 기존의 복잡한 GPS 데이터 품질 확인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잘못된 GPS 관측에 따른 재측여부 등을 직접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키고, GPS 위치해석 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R-QC DEA모형을 이용한 신제품 시장 모의테스트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백철우;이정동;김태유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86
    • /
    • 2001
  • 신제품 개발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으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론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시행하는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개발시 시장에서 생존가능한 제품속성과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계량경제학적 헤도닉 방법론을 대체할 DEA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품속성과 가격이 이루는 곡면이 유연하게 형성되도록 QC-DEA를 사용하고 거기에 제품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체계를 반영하기 위하여 AR을 도입하여 AR-QC DEA라는 모델을 만들었다. AR-QC DEA는 모수적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제품마다 다른 잠재가격을 제시하기 때문에 신제품 개발시 제품속성과 가격의 조합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고 또한 그렇게 만들어진 신제품이 과연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가를 손쉽게 모의테스트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트북 컴퓨터 제품에 대한 AR-QC DEA의 실증연구를 통해 AR-QC DEA가 충분한 현실설명력을 가짐을 볼 수 있다.

  • PDF

멀티-기가비트 WPAN 시스템을 위한 고속 QC-LDPC 복호기 구조 (High-Throughput QC-LDPC Decoder Architecture for Multi-Gigabit WPAN Systems)

  • 이한호;사부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104-113
    • /
    • 2013
  • 60GHz 멀티-기가비트 WPAN 시스템을 위한 고속 QC-LDPC 복호기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QC-LDPC 복호기 설계를 위하여 4 블록-병렬 계층 복호 기술과 fixed wire network 기술이 적용 되었다. 2단 파이프라이닝과 4 블록-병렬 계층 복호기술은 동작 주파수와 데이터 처리량을 개선시키는데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제안한 복호기 구조에서 스위치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위하여 fixed wire network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면 하드웨어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안한 672-비트, rate-1/2인 QC-LDPC 복호기 구조는 90-nm CMOS 표준 셀을 이용해 설계 및 합성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제안한 QC-LDPC 복호기 구조는 794K 게이트를 가지며 클락 속도 290MHz 에서 작동한다. 12-iteration일 때 데이터 처리율은 3.9 Gbps 이며 60GHz WPAN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 될 수 있다.

Benes 네트워크 제어 신호 최적화를 이용한 WiMAX QC-LDPC 복호기용 저면적/고속 Multi-Size Circular Shifter (Low-Complexity and High-Speed Multi-Size Circular Shifter With Benes Network Control Signal Optimization for WiMAX QC-LDPC Decoder)

  • 강형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367-2372
    • /
    • 2015
  • 탁월한 에러 정정 능력으로 인해 최근 통신 표준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 low-density parity-check(LDPC) 코드중, quasi-cyclic LDPC(QC-LDPC) 코드는 복호기 복잡도가 비교적 낮아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QC-LDPC 코드의 복호기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블록 중 하나가 여러 가지 크기의 rot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multi-size circular shifter(MSCS)이다. MSCS의 여러 구현 방법 중 많이 사용되는 Benes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MSCS 동작에는 효율적이나 rotation 크기 등의 특징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Benes 네트워크의 제어 신호 생성을 수정하여서 rotation 크기 특징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제어 신호 생성법을 IEEE 802.16e WiMAX 표준의 QC-LDPC 코드 복호기에 적용하여, MUX의 개수를 줄이고 지연 시간을 단축하였다.

IoT센서로 수집된 균질 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품질관리 및 데이터 보정 (Machine Learning-based Quality Control and Error Correction Using Homogeneous Temporal Data Collected by IoT Sensors)

  • 김혜진;이현수;최병진;김용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23
    • /
    • 2019
  • 본 논문은 온도 등 7 가지의 IoT 센서에서 수집된 기상데이터의 각 기상요소에 대하여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를 하였다. 또한, 우리는 측정된 값에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계학습으로 의미있게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집된 기상데이터를 기본 QC 결과를 바탕으로 오류 데이터를 선형 보간하여 기계학습 QC를 진행하였으며, 기계학습 기법으로는 대표적인 서포트벡터회귀, 의사결정테이블, 다층퍼셉트론을 사용했다. 기본 QC의 적용 유무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우리는 기본 QC를 거쳐 보간한 기계학습 모델들의 평균절대오차(MAE)가 21%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계학습 기법에 따라 비교하여 서포트벡터회귀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가, 모든 기상 요소에 대하여 MAE가 평균적으로 다층신경망은 24%, 의사결정테이블은 58%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정계 자료 특성을 고려한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Control Method for Visibility Dat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Data)

  • 오유주;서명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707-72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운용중인 시정계 자료의 시공간대표성 및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단계 결정나무 품질검사(decision tree QC) 방법을 개발하고 3년간(2016.03-2019.02) 시정계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QC 방법의 정성적 및 정량적 검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정계 자료 및 목측 자료 그리고 노르웨이 기상청의 QC 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물리적 범위 초과 및 결측 검사를 수행하여 결측 및 비정상 자료의 합이 총 자료의 10%를 초과하면 해당 지점은 다음 QC에서 제거하였다. 2단계에서는 시정이 시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시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고, 임계값을 동적으로 설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시정이 공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공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4단계에서는 시정계의 정확도가 시정에 반비례한 점을 고려한 가중평균법으로 10분 주기 시정자료를 산출하였다. 시정계가 처음으로 도입 운용되는 점으로 인해 전체 시정계 자료 중 약 10% 정도가 1단계에서 제거되었다. 또한 안개발생 주변 지역에서는 시정의 공간적 변동성이 연속성 검사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3단계는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을 정성적, 정량적 검증한 결과, 초기 자료에 포함된 이상치들이 상당부분 제거되고 시정의 순간적 변동성이 완화됨을 보였다. 또한 목측자료 및 노르웨이 기상청 QC 방법을 이용한 간접적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이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기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Establishment of QC Target based on Quality Cost

  • Lee, Dong-choon;Kim, Jeong-mann;Hong, Sung-ill;Park, Yeong-ho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6
    • /
    • 1988
  • On-line QC by Taguchi has two approaches of: the cost-oriented (cost-emphasis) QC and the process-oriented (quality-emphasis) QC.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estabilish and recommend a desirable one as a QC target. Simulation is employed to solve the question, and the failure cost (A), appraisal cost (B), and prevention cost (C) are adopted as decision variables. In conclusion, the process-oriented QC is the recommendable approach as far as there is no remarkable co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aches and possible to apply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