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9

검색결과 2,015건 처리시간 0.026초

저온에서 벼의 발아율 및 발아속도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QTL) 분석 (QTL Analysis of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Coefficient of Velocity under Low Temperature in Rice)

  • 김진희;모영준;하수경;정지웅;정종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8-17
    • /
    • 2021
  • 자포니카 벼의 저온 스트레스 내성 증진을 위하여, RIL 계통을 이용하여 저온 스트레스 내성 QTL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1) 5, 9번 염색체에서 저온발아에 관련한 '기호벼' 유래 QTL, qLTG5와 qLTG9를 확인하였으며, 7, 9번 염색체에서 저온 발아속도에 관련한 '밀양23호' 및 '기호벼' 유래 QTL, qOGCV7, qOGCV9를 확인하였다. (2) Duncan 검정결과, 그룹VII [qLTG5+qLTG9 (qOGCV9)], 그룹VIII [qLTG5+qOGCV7+qLTG9 (qOGCV9)]의 계통들이 저온 스트레스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 최근 발표된 RIL 집단 담수내성 계통과 비교한 결과, 저온 스트레스에도 내성이 있으면서 담수발아에도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총 2개의 유망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저온 및 혐기 관련 QTL의 집적은 벼의 저온에서의 발아 및 초기 입모율을 높여 저온스트레스 내성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 되었으며, 선발된 유망 계통은 향후 직파재배 품종 육성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활용되어 직파재배의 안정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PC 코드 분석에 의한 '사물인터넷(IoT)' 특허의 기술 융복합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Convergence of 'Internet of Things' Patents by IPC Code Analysis)

  • 심재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66-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제특허분류(IPC) 코드를 활용하여 사물인터넷 특허 163건의 기술 융복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PC 코드의 대표적인 주분류-부분류 조합은 G06Q 50/24-G06Q 50/22(6건), H04L 29/02-H04L 12/28(4건), G06F 15/16-G06F 3/048(3건), G06F 15/16-G06F 9/44(3건), G06Q 50/22-G06Q 50/24(3건)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특허 중 '건강관리(G06Q 50/22)'와 '환자기록 관리(G06Q 50/24)'의 기술 융복합에 의해 '헬스 케어' 사업 분야의 특허 출원이 9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물인터넷 특허의 상호 연결망 분석에 의해 사물인터넷 특허의 핵심 IPC 코드는 G06F 15/16, G06Q 50/22, G06Q 50/24, H04L 12/28임을 확인하였다.

특정한 유한체 Fq상에서의 제곱근 알고리즘 (Square Root Algorithm in Fq for Special Class of Finite Fields)

  • 구남훈;조국화;권순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9호
    • /
    • pp.759-764
    • /
    • 2013
  • $q{\equiv}5$ (mod 8)의 경우에 유한체 $F_q$상에서 Atkin의 제곱근 알고리즘과 $q{\equiv}9$ (mod 16)의 경우에 Kong의 알고리즘으로부터 일반적인 제곱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의 알고리즘은 s가 $2^s|q-1$을 만족하는 가장 큰 양의 정수라 할 때, $2^s$차 원시근 ${\xi}$를 미리 계산하였고 s의 값이 작을 때 적용가능하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제곱근을 계산하기 위해 한 번의 지수계산이 필요하고, Akin, M$\ddot{u}$ller, Kong의 알고리즘과 비교해보아도 유리하다.

Genetic Insights into Domestication Loci Associated with Awn Development in Rice

  • Ngoc Ha Luong;Sangshetty G. Balkunde;Kyu-Chan Shim;Cheryl Adeva;Hyun-Sook Lee;Hyun-Jung Kim;Sang-Nag Ah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33
    • /
    • 2022
  • Rice (Oryza sativa L.) is a widely studied domesticated model plant. Seed awning is an unfavorable trait during rice harvesting and processing. Hence, awn was one of the target characters selected during domestication. However, the genetic mechanisms underlying awn development in rice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enes for awn development using a mapping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he Korean indica cultivar 'Milyang23' and NIL4/9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waseong' and O. minuta). Two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qAwn4 and qAwn9 were mapped on chromosome 4 and 9, respectively, increased awn length in an additive manner. Through comparative sequencing analyses parental lines, LABA1 was determined as the causal gene underlying qAwn4. qAwn9 was mapped to a 199-kb physical region between markers RM24663 and RM24679. Within this interval, 27 annotated genes were identified, and five genes, including a basic leucine zipper transcription factor 76 (OsbZIP76), were considered candidate genes for qAwn9 based on their functional annotations and sequence variations. Haplotype analysis using the candidate genes revealed tropical japonica specific sequence variants in the qAwn9 region, which partly explains the non-detection of qAwn9 in previous studies that used progenies from interspecific crosses. This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OsbZIP76 is possibly a causal gene for qAwn9. The O. minuta qAwn9 allele was identified as a major QTL associated with awn development in rice, providing an important molecular target for basic genetic research and domestication studies. Our results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cloning of the awn gene underlying qAwn9.

  • PDF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인체 구강암의 유전자 변화에 대한 연구 (GENETIC ALTERATIONS OF HUMAN ORAL CANCERS USING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 이명렬;심광섭;이영수;우순섭;공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3호
    • /
    • pp.245-253
    • /
    • 2000
  •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oral cancer is associated with an accumulation of multiple genetic alterations through the multistep processes.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CGH), newly developed cytogenetic and molecular biologic technique,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useful method to allow the detection of genetic imbalance in solid tumors and the screening for chromosome sites frequently affected by gains or losses in DNA copy number. The authors examined 19 primary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using CGH to identify altered chromosome regions that might contain novel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genetic aberrations detected and major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previously recognized in carcinogenesis of oral cancers was studied. 1. Changes in DNA copy number were detected in 14 of 19 oral cancers (78.9%, mean: 5.58, range: $3{\sim}13$). High level amplification was present in 4 cases at 9p23, $12p21.1{\sim}q13.1$, 3q and $8q24{\sim}24.3$. Fourteen cases(78.9%, mean: 3.00, range: $1{\sim}8$) showed gains of DNA copy number and 12 cases(70.5%, mean: 2.58, range: $1{\sim}9$) revealed losses of DNA copy number. 2. The most common gains were detected on 3q(52.6%), 5p(21.0%), 8q(21.0%), 9p(21.0%), and 11q(21.0%). The losses of DNA copy number were frequently occurred at 9p(36.8%), 17q(36.8%), 13q(26.3%), 4p(21.0%) and 9p(21.0%). 3. The minimal common regions of gains were repeatedly observed at $3q24{\sim}26.7$, $3q27{\sim}29$, $1q22{\sim}31$, $5p12{\sim}13.3$, $8q23{\sim}24$, and 11q13.1-13.3. The minimal common regions of losses were detected at $9q11{\sim}21.3$, 17p31, $13q22{\sim}34$, and 14p16. 4. In comparison of CGH results with tumor stages, the lower stage group showed more frequent gain at 3q, 5q, 9p, and 14q, whereas gains at 1q($1q22{\sim}31$) and 11q($11q13.1{\sim}13.3$) were mainly detected in higher stage group. The loss at $13q22{\sim}34$ was exclusively detected in higher st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frequent genetic alt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oral cancers were gains at $3q24{\sim}26.3$, $1q22{\sim}31$, and $5p12{\sim}13.3$ and losses at $9q11{\sim}21.3$, 17p31, and 13q. It is suggested that genetic alterations manifested as gains at $3q24{\sim}26.3$, $3q27{\sim}29$, $5p12{\sim}13.3$ and 5p are associated with the early progression of oral cancer. Gains at $1q22{\sim}31$ and $11q13.1{\sim}13.3$ and loss at 13q22-34 could be involved in the late progression of oral cancers.

  • PDF

Coenzyme Q10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nt and Cytotoxic Effects of Coenzyme Q10 Derivatives)

  • 최원식;남석우;안은경;어진용;임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87-1794
    • /
    • 2008
  • Coenzyme $Q_{10}$과 그 유도체 coenzyme $Q_n$ 6종을 합성하고, 이들 유도체에 대하여 상피세포(LLC-PK1 cell)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와 NIH/3T3 세포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합성한 coenzyme $Q_n$ 유도체들이 coenzyme $Q_{10}$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coenzyme $Q_3$-C가 모든 농도에서 $107.7{\sim}135.9%$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coenzyme $Q_n$ 유도체들이 Coenzyme $Q_{10}$과 유사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Coenzyme $Q_n$의 n수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및 세포독성 실험에서 isoprene unit의 수가 적은 유도체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담자균 효모(酵母) Leucosporidium scottii와 관련 분류군균주(分類群菌株)의 ubiquinone 물질 (Ubiquinone compounds of the strains in Leucosporidium scottii and its related taxa)

  • 주우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8-265
    • /
    • 1991
  • 담자균효모 Leucosporidium scottii, Leucosporidium fellii, Leucosporidium lari-marini, Rhodosporidium fluviale의 ubiuqinone계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하였다. Leucosporidium scottii 균주는 교배형 또는 self-sporulating 형에 관계없이 Q-9 또는 Q-10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동일 균주에서도 ubiquinone계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이는 분류지표로서 중요시 되는 ubiquinone계의 재평가를 시사하는 새로운 사실로 간주된다. Leucosporidium fellii는 Q-9, Leucosporidium lari-marini는 Q-8, Rhodosporidium fuviale는 Q-10을 함유하고 있었다. L. lari-marini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각적 연구에 기초하여 해명되어야 한다.

  • PDF

아버지로부터 유래된 9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세염색체 1례 (Case of Partial Trisomy 9q Derived from Paternal Chromosome)

  • 정지은;송은정;박혜진;이계향;이경훈;최은진;김진경;정혜리;서억수;김우택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71-75
    • /
    • 2009
  • 9번 염색체 장완의 중복은 거의 드문 형태의 염색체 이상이며, 특징적인 얼굴형태와 손가락 형태, 정신지체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굴 형태는 정상이었으나 선천성 심장기형과 수신증, 음낭 탈장이 동반된 미숙아에게서 46,X,Y,dup(9)(q21.2q22.1)를 확인하였고, 표현형이 정상인 환아의 아버지에게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어진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PC 코드 기반 사물인터넷(IoT) 특허의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Association Rules Between CPC Codes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Patent)

  • 심재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93-498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ICT 기반기술의 핵심인 사물인터넷 특허의 CPC 코드 기반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오픈 소스인 R을 이용하여 CPC 코드간 기술 연관성 규칙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7월까지 특허청에 출원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관련 특허 605건 중 복합 CPC 코드를 가지는 369건을 대상으로 서브클래스(Subclass)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기술 연관성 규칙 분석 결과 지지도가 높은 CPC 코드는 [H04W ${\rightarrow}$ H04L](18.2%), [H04L ${\rightarrow}$ H04W](18.2%), [G06Q ${\rightarrow}$ H04L](17.3%), [H04L ${\rightarrow}$ G06Q](17.3%), [H04W ${\rightarrow}$ G06Q](9.8%), [G06Q ${\rightarrow}$ H04W](9.8%), [G06F ${\rightarrow}$ H04L](7.9%), [H04L ${\rightarrow}$ G06F](7.9%), [G06F ${\rightarrow}$ G06Q](6.2%), [G06Q ${\rightarrow}$ G06F](6.2%), [G06F ${\rightarrow}$ G06Q](6.2%) 순이고, CPC 코드간 상호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기술 연관성 관련 핵심 CPC 코드는 G06Q와 H04L이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앞으로의 특허 경향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반도체레이저 여기 세라믹 Nd:YAG 레이저에서 Q-스위칭 동작 최적화 (Optimization of Q-switched Operation at a Laser-Diode Pumped Nd:YAG Ceramic Laser)

  • 신동준;김병태;김덕래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0-326
    • /
    • 2008
  • 광섬유 연결 반도체레이저 여기 세라믹 Nd:YAG 레이저의 전기광학 Q-스위칭 출력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세라믹 Nd:YAG 레이저의 Q-스위칭은 여기원의 펄스폭 $1,000\;{\mu}s$, 출력 거울의 반사율 77% 및 지연시간 $985\;{\mu}s$에서 최적화되었다. 여기 에너지 17.9 mJ에서 0.35 mJ의 Q-스위칭된 출력 에너지와 약 4 ns의 펄스폭이 측정되어 1.9%의 출력 효율과 87.5 kW의 첨두 출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