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방법론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6초

치위생학과 대학생들의 의료기기 효용성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Study about Utility Awareness of Medical Machinery of Dental Hygiene Univ. Students)

  • 정미애;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72-280
    • /
    • 2014
  • 이 연구는 의료기기 효용성 인식에 관한 치위생학과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성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유형적 효과요인들을 짚어봄으로써 향후 의료기기의 효용성의 인지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Q방법론을 이용하여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즉, 결과내용은 제 1유형[(N=11) : 안전 및 광고의 중요성1(Safety & Importance of Advertising 1)], 제 2유형[(N=9) : 안전 및 광고의 중요성2(Safety & Importance of Advertising 2)], 제 3유형[(N=10) : 안전 및 내구성(Safety & Endurance)]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처럼, 분석된 내용은 각각 차별적인 것으로 정리되었다. 추후, 본 연구는 발전적인 대안책을 제공하고, 의료기기 효용성 인식에 관한 연구방향에 보다 심도 있는 접근 유형을 확인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 (Subjectivity Reception of Univ. Students about Medical-information Advertising)

  • 이제영;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4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 광고를 인식하는 대학생들의 주관성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유형적 효과요인들을 확인하여 향후 개선과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주관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분석된 결과, 총 5가지의 유형, 즉, 제 1유형[(N=4) : 관심형(Interest Type)], 제 2유형[(N=3) : 비교형(comparison Type)], 제 3유형[(N=3) : 제품중심형(Product-focus Type)], 제 4유형[(N=3) : 불신형(Disbelief Type)], 제 5유형[(N=2) : 개선형(Improvement Type)] 등으로 분류되었다. 향후, 계량적인 실증적 연구와 소비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비교와 대안책이 추가된다면, 대학생들의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주관성에 관한 보다 심도 있고, 함의있는 연구결과를 확인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폭력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반응 유형: Q-방법론적 접근 (The Reac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Q-Methodological Approach)

  • 박은영;서지민;주현옥;이은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62-77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c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Methods: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irty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lassified 33 selected Q-stateme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Quanl PC Program. Results: Three types of reactions to violence were identified. The first type(emotional and physical reactions) showed a sense of regret on the selection of an occupation and emotional and physical reactions such as anxiety, fear, depression, hopelessness, heart palpitations and trembling hands due to the violence. The second type(problem solving) actively cop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iolence, grasped the causes of violence and sought out a problem solving plan. The third type(anger reactions) felt a lot of anger against violence, and resented their reality of working under conditions of inadequately secured facilities and systems. Conclusion: The emotional and physical reactions type and the anger reactions type should be required to atte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ttitudes and abilities to solve the problems in a more active and positive manner.

임산부의 체형에 관한 인식 유형 (Types of perception on the body shape of the pregnant women)

  • 차수정;주민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393-394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임신 중인 임산부 중 6개월 이상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스스로가 본인의 체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주관적 평가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임산부의 체형에 적합한 의복디자인 및 패턴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Q분석은 쿼넬 프로그램(QuANL pc program)을 사용하였다. 임산부의 체형에 대한 인식 유형은 가는 팔다리 중앙 반구형 복부 체형, 처진 복부 돌출 체형, 굵은 윗팔 중앙 돌출 복부 체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가는 팔다리 중앙반구형 복부 체형은 임신 전 BMI지수가 가장 낮아 정상에 속하였으며 팔다리는 가늘고 다른 부위는 거의 살이 찌지 않았으며 배만 나왔다고 인식하였다. 처진 복부 돌출 체형은 임신 전 BMI 지수가 가장 높아 과체중에 속한 유형으로 가슴둘레, 엉덩이둘레뿐만 아니라 몸에 전체적으로 살이 쪘으며, 배가 아래로 처진 체형으로 인식되었다. 굵은 윗팔 중앙 돌출 복부 체형은 제1유형과 같이 복부의 중앙부분이 돌출되어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윗팔둘레가 굵어졌다고 인식하여 제1유형과는 차이를 나타냈다. 임신 전 BMI 지수는 중간인 그룹으로 정상에 속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임산부의 실제 체형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인식체형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Analysis of the Types of Images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Kindergarten Teachers : Employing Q-methodological Approach)

  • 김병만;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9-262
    • /
    • 2013
  •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유형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기존 조사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유아교사의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보육교사상을 정립하고 교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총 31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4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유치원 교사 20명, 보육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고, 그 자료를 PASW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을 '실천적-교수활동적 교사형', '부정적-체제비판형 교사형', '긍정적-인성적 교사형', '중립 적-정서적 교사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학교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 적용 (A Study used Q-methodology on the Subjective Cognition-Patterns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 to the School)

  • 이금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84-393
    • /
    • 2017
  •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학교'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Q표본은 학계 및 현장전문가 4인, 경계선 지능 아동 4인에 대한 심층면접과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21개를 선정하였고, P표본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계선 지능 아동 총 18명의 학부모와 본인의 동의를 거쳐 표집하였다. P표본은 5점 척도의 정규분포로 Q분류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령기 경계선 지능아동의 학교에 대한 태도유형은 '참여적-의존형'과 '방관적-위축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에 대한 태도는 아동의 자존감 및 가족 지지환경의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유형별 소속감의 욕구와 안전의 욕구에 대한 적절한 교육복지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계선 지능아동의 학교에 대한 주관적 유형을 구체화함으로써 경계선 지능 아동이 초등교육을 통해 중등교육 이상의 교육 권리와 학습의 질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중재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온라인 협력학습 회계수업 적용방안 및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in Accounting Class)

  • 송승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35-546
    • /
    • 2022
  • 본 연구는 S 대학교의 온라인 협력학습 질의응답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비대면 교육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상황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시행으로 인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심리적 고립감을 느끼기 쉬우며 학습 무기력 상태에서 혼자 공부하여야 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하는 어려운 시기에 온라인 교육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최소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온라인 협력 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학습과 온라인 협력학습, 학습 촉진 방법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인 학습 촉진 방법으로 온라인 질의응답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묻고 답하기(Q&A)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지식을 나누고 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질문자와 답변자의 익명성 보장, 향상점수제, 절대평가와 같은 성과평가 관련 요소들이 질의응답을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의 성공 요소로 설문 분석 결과 밝혀졌다.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미래에 실제 적용 가능한 작은 변화이지만 유의미한 교수방법론 적용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 현장을 바꾸고 보완해 함께 실력을 향상해 나갈 방법 및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보안 사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 상장기업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incidents and value of companies : Case of listed companies in Korea)

  • 황해수;이희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649-664
    • /
    • 2015
  • 최근 IT환경의 변화와 해킹공격의 발전은 기업의 보안사고 발생위험을 높이고 있다. 특정 사건이 기업에 미치는 주가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사건연구방법론은 보안사고 기업의 시장가치의 피해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업의 일시적인 주가변화 분석은 모든 기업들에게 공통된 시사점으로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고, 기업에 발생한 평판의 손실분석에 대한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0년간 발생된 상장기업의 보안사고 52건을 대상으로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론인 Tobin's q가 제시한 기업의 기준을 세분화함으로써, 보안사고로 인한 평판손실이 유의하게 발생함을 정량분석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q로 분류된 기업 별 피해범위에 해당하는 정보보호 투자예산 책정과 효율적인 리소스 투입 산정의 판단기준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Q 방법론의 적용- (Consumer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Benefits of On-line Game -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 남수정;황혜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5
    • /
    • 2007
  •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이 다른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와 비교하여 어떠한 혜택을 제공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온라인 게임 소비자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게임 소비자가 추구하는 혜택의 유형이 총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커뮤니케이션 추구 유형'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도록 하는 주된 혜택 요인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두 번째 유형은 '재미 추구' 유형이다. 게임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기능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재미와 관련된 오락적 기능이다. 세 번째 유형은 '성취감 추구' 유형으로 게임이 단순히 유희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게임에서 자기 자신의 가치를 느끼고자 하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 때문에 게임을 이용하는 집단이다. 네 번째 유형은 '현실탈피 추구' 유형으로 게임의 가상세계에서 받을 수 있는 현실과는 다른 느낌을 즐기는 집단으로, 복잡한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인다. 즉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세계를 즐기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이 여가 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점에서 과연 온라인 게임을 통해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그 혜택 추구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온라인 게임이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서비스이며 온라인 게임에 어떠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우리사회 '부정부패'에 대한 주관성연구: 가설발견의 Q방법론을 활용하여 (The Subjectivity Study on 'The Corruption' of Our Society: Using the Q methodology of Hypothesis Abduction)

  • 이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9-28
    • /
    • 2022
  • 본 연구는 부정부패의 척결을 가장 강하게 요구받고 있는 공직자를 대상으로, 과연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부정부패'는 무엇인가를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주관성연구' 또는 'Q방법론'이라고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부정부패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즉, 부정부패와 관련한 30개의 Q-samples과 30명의 공직자로 구성된 P-samples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의 유형이 3개로 정의되었다. 즉, 은 '교육행정' 및 '교사' 등의 공무원 분포가 높았고, 은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의 응답자 중에서 인자가중치가 높은 응답자의 경우, 우리사회 부패수준에 대하여 '상'의 분포를, 는 '중'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설명력은 62.11%로 높게 나타났고, 일련 결과를 바탕으로,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은 공직자의 업무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음은, '부정부패'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용어로 '정치/정치인' 및 '청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련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부정부패에 대한 생각을 다시한번 진단하고 성찰함으로써, 보다 투명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 모색의 '마중물'이 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