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4.036

Subjectivity Reception of Univ. Students about Medical-information Advertising  

Lee, Jei-Young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Jeong, Mi-Ae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medical-information advertising.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divided into 1[(N=4) : Interest Type], 2[(N=3) : comparison Type], 3[(N=3) : Product-focus Type], 4[(N=3) : Disbelief Type], 5[(N=2) : Improvement Type].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medical-information advertising ;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Keywords
Medical-information Advertising; Q-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W. Stephenson, The Study of Behavior: Q 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2 이호용, 의료광고의 규제완화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 대한변호사협회, 2003.
3 김천수, 의료정보등에 관한 법적 평가, 대구대학교법과대학, 2001.
4 손상영, 윤지웅, 인터넷 의료정보서비스 확산에 대비한 보건의료정책의 개선방안, 정보통신정책 연구원, 1998.
5 최수현, 의료광고와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원광대 보건환경대학원, 석사논문, 2004.
6 장성운, "대학생들의 인터넷 의료정보 이용과 즐겨찾는 인터넷 의료정보 연구," 순천향대 산업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05.
7 아시아투데이, [국감] 위험수위 넘은 불법 의료 광고...최근 3년간 66건 적발. 2011.9.26. http://news.nate.com/view/20110926n14159
8 정상진, "의무기록 전공학생들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586, 2016.
9 메디컬헤럴드신문, "허위.과장표현.체험사례.가격할인 등 소비자현혹 의료광고 범람," 2011.3.15.
10 김흥규,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연구, 제1호, pp.15-33, 1996.
11 장욱, "의료광고 법제 변화와 개선 방향," 法學硏究, 19-1(통권 제41호), 서울 : 延世大學校法學硏究所, p.285, 2009.
12 유승엽, 김은희, "광고정보원 유형과 모델 인지도 및 소구 방법에 따른 의료광고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제6권, 제3호, p.42, 2005.
13 이용필, "정치체계의 안정과 발전," 淑明女子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pp.27-31, 1988.
14 이건인, "원불교 수행 Q-set의 개발과 그 타당화 연구," 仁荷大 大學院, 1996.
15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0.
16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17 F. N. Kerlinger,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3rd ed),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86.
18 백용덕, 김성수, "Q-방법론의 연구 경향," 仁荷敎育硏究, 제4호, pp.44-71, 1998.
19 R. Mckeown and D. Thomas,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