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thium myriotylu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Pythium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 (Root Rot of Codonopsis pilosula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 김진원;장석원;김성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7-130
    • /
    • 2001
  • 2000년 경기도 연천지역의 만삼(Codonopsis pilosula) 재배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는 만삼의 뿌리로부터 Pythium sp.를 분리하였고, 다양한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ythium myriotyl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성검정을 위하여 pot에 식재된 만삼의 뿌리에 분리 균을 접종한 결과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고, 포장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증상과 유사한 뿌리썩음에 의한 시들음 증상을 나타냈다. 만삼에서 P. myriotylum에 의한 병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 P.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을 최초로 보고한다.

  • PDF

양액 재배시 발생하는 Pythium myriotylum에 의한 감자 줄기기부썩음병 (Potato Basal Stem Rot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in Hydroponic Cultural System)

  • 홍순영;김진원;강영길;양영문;강형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16
    • /
    • 2004
  • 2000년 1월에 제주도 제주시 감자양액 재배포장에서 감자 줄기기부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감자 줄기기부와 뿌리가 갈변하였으며 심하면 고사하였다. 감자줄기 기부 썩음 증상으로부터 분리한 균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ythium myriotyl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의 주 균사의 폭은 8.4$\mu\textrm{m}$에 이르고, 장란기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주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정생 또는 간생하였고, 크기는 21.6${\times}$31.2$\mu\textrm{m}$이었다 장정기 크기는 9.6∼14.4${\times}$4.8∼9.6$\mu\textrm{m}$이다. 난포자는 구형으로 매끈하며 주로 미충만형이고, 크기는 2l.6∼26.4$\mu\textrm{m}$이었다 수경재배 감자에서의 P. myriotylum에 의한 병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 감자 줄기기부썩음병을 최초로 보고한다.

우리나라 골프장 잔디에서 분리한 Pythium spp. (Pythium spp. Isolated from Turfgrasses at Golf Courses in Korea)

  • 김진원;박은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76-290
    • /
    • 1997
  • 1990년부터 1996년에 걸쳐 전국 35개 골프장에서 한지형잔디인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그리고 난지형잔디인 zoysiagyass의 잎마름 증상으로부터 Pythium spp. 125균주를 분리 하였고, 이를 동정한 결과 P. aphanidermatum, p. arrhenomanes, P. catenulatum, p. gramlnicola, p. myriotylum, P. oligandrum, P. periplocum, P. rostratum, P. torulosum, P. ultimum Trow var. ultimum 그리고 P. vanterpoolii로 모두 11개 종으로 동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semi-solid 상태의 'sucrose-asparagine bentgrass leaf culture' 방법을 이용할 경우 Pythium spp.의 동정에 필요한 포자낭, 장란기, 장정기 그리고 난포자의 형태적 특징의 관찰이 용이하였다. 동정된 Pythium spp.는 국내에서는 잔디류에 대하여 처음 보고되는 것이고, 이 중에서 P. arrhenomunes, P. cutenulatum, P. graminioota, P. oligandrum, P. periplocum, P. rostratum, P. torulosum 그리고 P. vanterpoolii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이다. P. myriotylum, P. rostratum, P. torulosum, P. vanterpoolii의 경우는 PCA 배지상에서 특이한 균사생장형을 나타내므로 이를 균 동정에 이용할 수 있었다.

  • PDF

물달개비 병원균인 Pythium myriotylum MD2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 (Use of Pythium myriotylum MD2 to Control Weeds in Rice Paddy Fields)

  • 최경자;황인택;최용호;이병회;김흥태;김진철;이선우;김진원;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39
    • /
    • 2001
  • 물달개비에 병을 일으키는 Pythium myriotylum 균주를 2000년 충청남도 유성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실험실과 온실에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 곰팡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생장적온은 $35^{\circ}C$ 이었다. 또한 $30{\sim}35^{\circ}C$에서 물달개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 등의 논잡초에는 병원성이 강하였으나, 강피에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벼에 대한 생육시기별 및 품종에 따른 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발아 직후의 벼는 생육에 저해를 받았으나 1엽기 이상의 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12 품종의 $3{\sim}4$엽기 벼도 MD2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배추, 옥수수, 콩 등 12종의 작물에 대한 병원성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밀을 제외한 11종의 작물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ythium myriotylum MD2는 1엽기 이상의 벼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으며, 물달개비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일년생 논잡초에 대하여 강한 병원성을 보이고 또한 작물에 대한 영향도 적어서 생물적 방제제로서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한국(韓國)의 Pythium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분류(分類) 및 생화학적(生理學的)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ies on Pythium spp. in Korea -(I) Preliminary taxonomic and physiological studies-)

  • 이응권;이영희;유재당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2
    • /
    • 1975
  • 지금(只今)까지 한국(韓國)에는 담배, 오이, 참외, 인삼(人參) 등(等)에서 입고병(立枯病)을 일으키는 Pythium debaryanum을 보고(報告)한 것 뿐이였으나 1975년(年) 저자(著者)들은 3종(種)의 미기록(未記錄) Pythium 균(菌)을 동정(同定)할 수 있었다. P. spinosum Sawada는 양배추에서 P. myriotylum Drechl은 강낭콩에서 그리고 P. butleri Subr는 오이, 시금치, 팥, 무우등(等)의 기주(寄主)에서 분리(分離)하였다. P. myriotylum과 P. butleri는 병원성(病原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P. spinosum는 병원성(病原性)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nmeal agar 배지(培地)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분리균(分離菌)이 완전(完全)한 자실체형성(字實體形成)이 되지 않았으며 몇 개의 분리균(分離菌)은 같은 배지(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함에 따라 퇴화(退化)된 자실체(字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그러나 해바라기 종자(種子)를 이용(利用)한 배지(培地)에서는 모든 분리균(分離菌)이 만족(滿足)할만한 자실체(字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Pythium myriotyrum에 의한 생강뿌리썩음병의 발생상태 (Ecology of Ginger Rhizome Rot Development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 김충회;양성석;한기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4-190
    • /
    • 1997
  • 생강뿌리썩음병의 발병진전은 35~40 C에서 가장 빨랐으며 온도가 내려갈수록 병반진전속도도 감소하였다. 생육상 시험에서 초장 22~25 cm의 생강을 고사시키는데 걸리는 시간도 35~40 C의 고온에서는 5일이 소요되어 15 C의 15일에 비하여 1/3에 불과하였다. 상대습도 90% 이상의 고습도, 최대포장용수량의 80%이상의 높은 토양수분, 재식깊이 4 cm 이상의 깊이심기는 뿌리썩음병의 병반진전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P. myriotylum의 토양내 전염원은 균사절편, 팽윤균사편, 유사 난포자, 혹은 유주자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P. myriotylum은 생강 주위의 토양표면에 임의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표토로부터 10 cm 이내의 토양에서 가장 밀도가 높았고 그 이하 토양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 생강식물의 근면과 근권토양내 P. myriotylum의 밀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건전주와 이병주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어서 이병주에서의 밀도가 건전주에 비하여 수배-수백배 이상 높았다. 토양내 병원균 밀도와 뿌리썩음병의 발병정도와는 정의 곡선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생강뿌리썩음병균 Pythium myriotyrum의 병원성 및 균학적 특성 (Pathogenicity and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ythium myriotylum Causing Rhizome Rot of Ginger)

  • 김충회;양성석;박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2-159
    • /
    • 1997
  • 병든 생강으로부터 분리한 6개 Pythium 균주들은 여러 가지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서 Pythium myriotylum Drechsler로 동정되었다. 이 균들은 생강 지하부의 싹, 근경, 뿌리, 땅가줄기 뿐만 아니라 지상부 잎, 줄기 전부분에 걸쳐 병원성이 강하였다. 이 균들은 오이, 수박 등 10개 작물 혹은 잡초의 어린 묘를 부패시켰으며 보리, 옥수수 등 공시한 3개 작물 유묘의 지상부 생장이나 뿌리 생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 균들의 생육 최고, 최적, 최저온도는 각각 39~45$^{\circ}C$, 33~37$^{\circ}C$, 5~7$^{\circ}C$였으며 생육최적 pH는 6~7이었다. 이 균들의 균사생장은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빨랐으나 기중균사량은 PDA와 옥수수전즙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유주자낭과 장난기는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으며 유주자낭 형성 최적온도는 균주에 따라 20~35$^{\circ}C$, 장난기 형성은 15$^{\circ}C$의 저온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Occurrence and Pathogenicity of Pythium Species Isolated from Leaf Blight Symptoms of Turgrasses at Golf Courses in Korea

  • Kim, Jin-Won;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12-118
    • /
    • 1999
  • Eleven species of Pythium were isolated from leaf blight symptoms o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irs Huds.),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isis L.) and zoysiagrasses (Zoysia japonica Steud., and Z. matrella (L.) Merr.) planted on golf courses in Korea. Mycelial growth on potato carrot agar medium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indicated that Pythium specie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responses to temperature conditions. P. vanterpoolii was found to favor low temperature conditions with the optimum temperature of $25^{\circ}$, whereas P. aphanidermatum and P. myriotylum favored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ith the optimum temperature of $35^{\circ}$. Other species including P. arrhenomanes, P. catenulatum, P. graminicola, P. oligandrum, P. rostratum, P. torulosum, and P. ultimum were the intermediate group with the optimum temperature of 25~$35^{\circ}$. P. periplocum was similar to the intermediate group but the minimum temperature for its mycelial growth was $15^{\circ}$, which was approximately $5^{\circ}$ above that for the intermediate Pythium spp.group. In the pathogenicity tests conducted in the lab using potted plants, P. aphanidermatum, P.a arrhenomanes, P. catenulatum, P. graminicola, P. myriotylum, P. periplocum, P. rostratum, P. torulosum, P. ultimum, and P. vanterpoolii were found to be pathogenic to creeping bentgrass and Kentucky bluegrass. P. aphanidermatum, P. catenulatum, and P. graminicola were frequently isolated from leaf blight symptoms of creeping bentgrass and Kentucky bluegrass in golf courses during the warm and humid periods in July-August. On the other hand, P. vanterpoolii and P. torulosum were frequently isolated during the cool and humid periods in March-May, suggesting both species might be the major causes of leaf blight occurring in the spring time. Zoysiagrass was susceptible to P. arrhenomanes and the heterothallic Pythium sp. (Ht-F), showing stem and crown rot of turf-grasses at poorly drained areas under coool and humid or rainy conditions. P. oligandrum and the heterothallic Pythium sp. (Ht-L) isolated from creeping bentgrass were avirulent to all species of turfgrasses tested in this study.

  • PDF

우리나라 생강 뿌리썩음병의 연구현황과 향후과제 (Review of Researches on Rhizome Rot of Ginger and Future Tasks for Its Management in Korea)

  • 김충회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87-93
    • /
    • 2004
  • Rhizome rot of ginger,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a major limiting factor for its production, has occurred annually, but become severe, especially in hot and humid years with frequent rainfalls in Korea. Most studies on rhizome rot have been carried out since 1980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Honam Crop Experimental Station and Choongnam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any aspects of rhizome rot, such as survey of the disease incidence, taxonomy, pathogenicity and physiology of pathogen, and ecology of soilborne inocula have been studied in the researches. However, intensive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management technologies of the disease including seed-rhizome disinfection, soil sterilization, evaluation of cultivar resistance, and fungicide application, and most developed technologies have been used in commercial farmings. In future, development of resistant varieties and simple soil disinfection technologies applicable in Korean condition and economically feasible fungicide application technology have to be developed for better management.

수도(水稻)에 관여(關與)하는 Pythium spp와 균핵병균류(菌核病菌類)의 분류동정(分類同定)에 관(關)한 연구(硏究)(II)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Pythium spp. and Sclerotial Fungi isolated from Rice plants in Korea (II))

  • 이영희;이응권;김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1978
  • 1976년(年) 9월(月) 일신품종계(日新品種係)인 수도(水稻)의 유유품종(維新品種)에 주(主)로 발생(發生)된 위조(萎凋)벼와 상자육균대(箱子育菌代) 및 답토양(畓土壤) 등(等) 대상(對象)으로 병해조사(病害調査) 열시(實施)한 결과(結果) Pythium spp와 몇가지 균핵(菌核) 병균류(病菌類)를 공리동정(公離同定)하였다. pythium속(屬) 가운데는 병원성(病原性)이 있고 고온(高溫)에서 잘자라는 Pythium aristosporum Vanterpool과 Pythium sp. Kythium myriotylum Drechsler 그리고 병원성(病原性)이 약(弱)하고 저온성(低溫性)으로 답토(畓土)에서 분리(分離)된 Pythium irregulare Buisman을 동정(同定) 균핵병균(菌核病菌)으로는 우리 나라의 병해목록(病害目錄)에는 미기록종(未記錄種)인 Sclerotivae hydrophilum(구상균씨병)(球狀菌核病)과 Sclerotium oryzae-sativae(복빛균)(福色核菌)였으며 이들 균핵병(菌核病)들의 병원성(病原性)을 보면 소립균핵병(小粒菌核病)이 강(强)한 편(便)이미 그외 균핵병(菌核病)들은 오래된 하부옆(下部葉)와 상병기생성(傷病寄生性)의 약(弱)한 병원성(病原性)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균핵병(菌核病)의 분포(分布)는 답토양중(沓土壤中)에 상당(相當)한 밀도(密度)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발생생태(發生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