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lace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노루발과(Pyrolaceae)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Palynotaxonomic Study on the Korean Pyrolaceae)

  • 정규영;남기흠;박명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200
    • /
    • 2007
  • 국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루발과 7분류군의 화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숙한 화분의 단위(pollen unit)는 Pyrola속의 호노루발[P. dahurica(Andres) Kom.], 분홍노루발[P. incarnata(DC.) Fisch. ex Kom.], 노루발(P. japonica Klenze ex Alefeld), 주걱노루발(P. minor L.), 콩팥노루발(P. renifolia Max.)에서 사립(tetrad), Orthilia속의 새끼노루발[P. secunda(L.) House]에서 단립(monad), Chimaphila속의 매화노루발(C. japonica Miq.)에서 사립들이 엉성하게 모여 다립(polyad)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노루발과의 성숙한 화분의 단위는 과내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새끼노루발의 학명은 Pyrola secunda L.보다는 Orthilia secunda(L.) House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화분의 크기와 삼공구형(tricolporate)인 발아구의 크기, 표벽 무늬는 분류군 간에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며, 호노루발과 콩팥노루발, 분홍노루발, 주걱노루발의 표면무늬는 기존 보고와 다소 상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은 성숙한 화분의 구성단위가 각기 사립에서 단립과 다립으로, 발아구의 형태가 공구형에서 공형으로의 진화경향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

"녹제초"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Nok Je Cho")

  • 박종희;도원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49
    • /
    • 2007
  • Chinese crude drug "Lu-ti-cao"(鹿蹄草)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beriberi, cut bleeding, snake bite, etc. In Korea, the drug is called "Nok Je Cho" and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of the same effect as that of Chinese equivalent. The original plant of this drug has not yet been as certained.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Nok Je Cho",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of Pyrola species growing in Korea, i.e. P. incarnata, P. japonica, P. minor, P. renifolia, P. secunda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Nok Je Cho" was the leaf of Pyrola japonica and Pyrola minor.

Phenolic glycosides from Pyrola japonica-(II)

  • Kim, Ju-Sun;Kang, Sam-Sik;Son, Kun-Ho;Chang, Hyeun-Wook;Kim, Hyun-Py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56.2-256.1
    • /
    • 2003
  • Six known phenolic glycosides. hyperin(2), androsin(3), homoarbutin(4), isohomoarbutin(4a), pirolatin(7) and monotropein(6), together with two new compounds, (1)[mp. 215 - 217$^{\circ}C$, C$\sub$23/H$\sub$32/O$\sub$11/] and (5)[mp. 121 -123$^{\circ}C$, C$\sub$18/H$\sub$26/O$\sub$8/] were isolated from the BuOH fraction of Pyrola japonica(Pyrolaceae). The structures of the known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omitted)

  • PDF

Phenolic glycosides from Pyrola japonica-(II)

  • Kim, Ju-Sun;Kang, Sam-Sik;Son, Kun-Ho;Chang, Hyeun-Wook;Kim, Hyun-Pyo;Bae, Ki-Hw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2.3-202.3
    • /
    • 2003
  • Two Known compounds, syringaresinol monoglucoside(8), chimaphilin(14), together with three new compounds, (9)[mp. $106{\sim} 111^{\circ}C$, C_{29}H_{44}O_{13}$], (10)[mp. $180{\sim}182^{\circ}C$, $C_{15}H_{20}O_{9}$] and (11)[mp. $100{\sim}105^{\circ}C$, $C_{18}H_{28}O_{8}$] were isolated from the BuOH fractionof Pyrola japonics(Pyrolaceae). The structures of the known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orscopic methods. The assignments of the $^{1}H-$ and $^{13}C-NMP$ spectra of these compounds were carried out by two-dimensional $^1H-^1H-COSY$, NOESY and $^1H-^{13}C$ multiple-bond, multiplequantum spectroscopic correlation technique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three new compounds is now in progress.

  • PDF

식물자원의 Prolyl Endopeptidase 저해활성 탐색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 김금숙;이승은;이희주;김이민;전소영;박춘근;성낙술;송경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4
  • 200종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PEP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81종의 식물추출물은 $10{\sim}30%$ 범위의 저해율을, 28종의 식물추출물은 10%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총 200종의 식물추출물 중 약 55% 정도의 식물추출물이 30%이하의 낮은 PEP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runus mume (매화나무) 잎 (95.3%), 노루발과 (Pyrolaceae)의 Pyrola japonica (노루발) 잎과 줄기 (93.2%), 물레나물과 (Hypericaseae)의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 지상부 (90.2%), 범의귀과(Saxifragaceae)의 Astilbe chinensis var. typica (노루오줌) 지상부 (90.1%),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잎과 줄기 (90.1%)등 5종의 추출물들이 5 ppm에서 PEP에 대하여 90% 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국내 주걱노루발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yrola fauriena (Pyrolaceae)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0
    • /
    • 2006
  • 한국내 주걱노루발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였다. 효소내 다형현상을 나타내는 대립유전자좌위는 $57.1\%$였다. 종 수준(Hes = 0.149)과 집단 수준(Hep = 0.134)에서 유전적 다양도는 유사한 생활사를 가진 초본류의 평균값에 비해 높았다. 반면에 집단간 분화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G_{ST}=0.082)$. 열 두 집단내 임의교배에서 편차는 0.298이었다. 간접적으로 평가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Nm = 2.81)는 이 종의 한국 집단내 보통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고정지수 분석 결판 많은 집단과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이형접합체의 결핍이 있었다. 이는 주걱노루발에서 가근의 번식능력과 한국내 조사된 주걱노루발 집단의 크기 감소에 기인한다.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nd Classification Type of Flora in the Bongamsa(Temple) Area, Mungyeong)

  • 오현경;한윤희;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7-469
    • /
    • 2011
  •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은 99과 303속 468종 1아종 70변종 13품종으로 총 552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상 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고란초, 너도바람꽃, 개회향, 구상난풀, 꼬리진달래, 참배암차즈기, 천마 등 12종류가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무늬족도리, 진범, 점현호색, 청괴불나무, 벌개미취, 분취 등 11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고란초, 천마 등 2종류, IV등급에 승마, 등, 가는잎향유 등 5종류, III등급에 물박달나무, 당조팝나무, 청시닥나무, 산앵도나무, 개회나무 등 10종류, II등급에 돌양지꽃,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왕쌀새, 박새 등 7종류, I등급에 거미고사리, 개비자나무, 박달나무, 대팻집나무, 피나무, 물고추나물, 숫잔대 등 24종류로 총 48종류(전체 552종류의 관속식물 중 약 8.7%에 해당)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끈끈이대나물, 큰달맞이꽃, 컴프리, 붉은서나물 등 21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552종류의 관속식물 중 3.8%로 분석되었다. 봉암사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군은 희귀식물인 고란초, 너도바람꽃, 천마, 수정난풀, 구상난풀, 꼬리진달래 및 중층 습원식물인 개회향, 꽃창포 등이 있으며, 외래종은 봉암사 경내의 식재종, 대상지안의 조림 및 인공림, 이입된 귀화식물 등으로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