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suit of Psycholog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실내디자인의 주기적 변화 성향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 (A Study on the Tendency of Interior Design's Periodic Changes based on Psychology)

  • 함정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26-32
    • /
    • 1999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tendency of interior design which have sustained the periodic changes throughout the history. After analysis of changes in interior design from 1920's early modernism to nowaday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In view of the human psychology, the main trend of consistent periodic changes is the revolutionary change of tension and relaxation, and the pursuit of such a change in design is rooted in the human basic need to get the vital energy through stimuli by giving and taking the variety in the public society.

  • PDF

김수현 멜로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성 이데올로기 <내 남자의 여자>를 중심으로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Melodrama Focused on )

  • 유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5-183
    • /
    • 2009
  •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본격적 연구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를 써 온 김수현 작가의 최근작 멜로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김수현 작가의 차별성과 경향성을 분석하고 있다. 김수현 작가는 연구 대상 작품을 통해, 불륜이라는 선정적 소재를 '심리 추적과 이분법 파기'라는 장르 문법을 구사함으로써 사랑에 관한 '자기 성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성공한다. 이는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 제기돼 온 상투성과 이분법, 비현실성, 감정 과잉의 텍스트 문제점을 극복하는 결과이다. 또한 김수현 작가는 서사와 인물화를 통해 기존의 가부장 중심 성 이데올로기를 전복하는 진보적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김수현 작가의 이 같은 장르 문법 차별성이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 끼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멜로드라마에서 보여준 진보적 경향성이 김수현 작가의 다른 장르 작품에도 투영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함으로써, 지속적인 드라마 작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교통문화 (Driving Behaviors of the Korean People: A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 최상진;박정열;김정인;손영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spc호
    • /
    • pp.15-34
    • /
    • 2003
  • 본 논문은 이제까지 필자들이 교통문제와 관련하여 교육부의 BK 21 연구지원 과제를 수행하면서 발표한 여러 논문들의 결과를 정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쓰여졌다. 필자들의 이러한 작업은 교통문제와 관련한 여러 논문을 쓰는 개별 과정(주차위반, 신호위반, 과속운전, 음주운전)에서 비록 연구의 주제는 다르고 구체적 주제에 따른 위반의 상황과 일반인의 심리가 상이한 측면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면면에는 공통점이 많다는 경험과 이를 종합해서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은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시각에서 한국사회의 교통문화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통문제와 관련된 여러 사회문제를 풀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상대적인 위치지각의 왜곡: 참조자극의 위치가 왜곡에 미치는 영향 (Relative localization errors: The effect of reference location on the errors)

  • Li, Hyung-Chul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15-24
    • /
    • 2004
  • 추적 눈 운동 동안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위치는 표적 주위에 참조자극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일반적으로 눈 운동 방향으로 왜곡되어 지각된다. 본 연구는 안정적이고 정적인 참조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참조자극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얼마나 정확하게 지각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참조자극에 대한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가 왜곡되게 지각되었으며 상대적인 위치 지각 왜곡의 양상이 참조자극과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일한 실험결과가 추적 눈 운동의 방향이 상이하거나 참조자극과 표적의 다양한 물리적인 거리 조건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가 위치지각에 관하여 제안된 기존의 이론에 의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 PDF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정서적 섭식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yle for Stress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by Gender Difference)

  • 이상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yle for stress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A total of 475 college students(males, 244; females, 23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oping style for stress. The scores of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in the problem-focused and self-comforting coping styles, whereas scores of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social support pursuit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eating behavior.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emotional eating behavior than male students. Third, male students preferred a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hereas female students preferred a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style the most. Fourth, the interaction of gender and coping style for stress were not related to the emotional eating behavior. Both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preferred an emotion focused coping style reported the highest score in emotional eating behavior.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방한 외래관광객의 의류상품 구매동기와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Motivation and Behavior of Foreign Visitors in South Korea)

  • 서철현;조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7-380
    • /
    • 2002
  • This study tries to search and analyze empirically the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motivation and behavior made by foreign visitors who bought clothes as tour memorials in South Korea. To make a empirical study we made survey research and evaluated 30 items for the survey of clothing purchase motivation and 25 items for the survey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revealed at the time of purchase with the standard of Likert 5 point. We had chosen 614 sample participants including 176 English speakers, 211 Japanese speakers, and 277 Chinese speakers among those foreign tourists who had purchased clothing materials at the Dongdaemun Shopping Mall.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bout the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we had 6 factors. They are (1)impulse, (2)utility, (3)fashionableness, (4)tour commemoration (5)psychology (6)economy. A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tandard of selected 6 factors of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motivation, we could divide three groups such as (1)the pursuit type of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2)the pursuit type of recreation of feeling (3)the pursuit type of tour memorial.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items of purchased clothing merchandise, the highest frequency of purchase was made by T-shirt, then by the order of sweater, blouse, and aloha shirt, pants, and jacket. In regard to the importance of items related to clothing merchandise, the highest importance was made by design, then by the order of price, size, color and utility, and style. In regard to the items related to the service of shopping mall,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made by the convenience of business hour. Meanwhile, the lowest satisfaction was made by the inconvenience of fitting room, the speaking and by ability of foreign languages by sales agents.

  • PDF

서양 역사복식에 나타난 과장적 헤어스타일의 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Western Costume)

  • 이연희;성광숙
    • 복식
    • /
    • 제65권8호
    • /
    • pp.110-12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a phenomenon of exaggerated hairstyle in the history of Western custom through publications related with Western costume and research papers. By adopting the criteria of Delong, M. R. to analyze visual forms shown by interaction between human body and costume worn over the body, it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In addition, it infer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examined phenomenon focusing on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ostume socio-psychological precedent studi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applied by analysis criteria of Delong, M. R. were in pursuit of the emphasis style. This was clearly and intensively recognized by forming spaces for mostly closure style, part style, three dimensional style, determinate style, and space separation style.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hair and ornamentations, 'precedence of ornamentation' was pursued as ornamentations were recognized earlier than the hair itself. It means associative meanings of the surface effect were accompanied by emotions of 'intensiveness' and the pursuit of the attractive style. A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hairstyle and costume, there were many cases of pursuing 'continuity' mutually and visually by connecting the hairstyle and the costum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xaggerated hairstyle were inferred as 1) the expression of the sprite of the age(i.e. art, culture, politics, society, ideology, religion), 2) symbols of wealth, class, authority, and excellence, 3) pursuit of addicted desire to ornament, and 4) harmony through continuity with costume. This study verified that hairstyle was connected as a part of costume, or formed as a way to express deeper human psychology beyond just a part of a costume. It was also confirmed that hairstyle was an expressive method to express the spirit of the age, such as art, culture, society, religion, ideology.

Doing More by Seeing Less: Gritty Applicants are Less Sensitive to Facial Threat Cues

  • Shin, Ji-eun;Lee, Hyeonju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21-28
    • /
    • 2022
  • People differ greatly in their capacity to persist in the face of challenges. Despite significant research,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cognitive factors that might be involved in perseverance. Building upon human threat-management mechanism, we predicted that perseverant people would be characterized by reduced sensitivity (i.e., longer detection latency) to threat cues. Our data from 5,898 job applicants showed that highly perseverant individuals required more time to correctly identify anger in faces, regardless of stimulus type (dynamic or static computer-morphed faces). Such individual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response to other facial expressions (happiness, sadness), and the effect was independent of gender, dispositional anxiety, or conscientiousness. Discussions were centered on the potential role of threat sensitivity in effortful pursuit of goals.

눈 운동 측정을 이용한 추적 눈 운동 동안의 모양지각 왜곡에 대한 참조대상의 영향 검증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reference on shape perception during pursuit by measuring eye movement)

  • 이형철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8-232
    • /
    • 2005
  • 최근의 연구에서 Li. Brenner, Cornelissen과 Kim (2002)은 추적 눈 운동 동안의 2차원 모양지각이 망막에 형성된 이미지 내용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연구는 2차원 모양판단에 있어서 눈 운동 정보가 전혀 고려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실험실 연구와 달리, 실제 생활에서 2차원 모양지각의 왜곡은 대부분의 경우에 발생하지 않는데, 가능한 한 가지 이유는 실험실 연구에서 사용된 자극의 경우에 참조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데 비하여, 실제 생활에서는 다양한 참조대상이 목표대상의 주변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목표대상과 참조대상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추적 눈 운동 동안에 망막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는데 시각체계가 이러한 안정적인 관계를 목표 대상의 모양을 지각할 때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참조대상을 이용하여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피험자의 눈 운동을 눈 운동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눈 운동을 수행한 시행에서의 데이터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 PDF

첫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적응 과정에 대한 탐색 ("Our first baby was born" Experience in the newly-wed couples: A Qualitative Study)

  • 최승미;권정혜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7권4호
    • /
    • pp.679-704
    • /
    • 2012
  •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기간 5년 미만, 첫 자녀 출산 후 3년 이내의 부부 13쌍에 대해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화 작업을 거쳐,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에 대한 패러다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 자녀를 출산한 부부들에게 관계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적 조건은 삼자적 가족구조로의 전환 및 결혼 적응 수준이었으며, 중심 현상으로는 양육 및 가사 부담, 출산 후 부부관계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남편의 지원과 관심, 원가족 지원의 중재 변인을 통해 그 강도가 완화 또는 악화되었다. 작용/상호작용적 전략에서 추출된 주요 범주는 새로운 역할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가족에 대한 의미부여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완성체로서의 가족 구성과 공유된 가치 경험이 얻어질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 결과 '부부의 새로운 역할 인식과 수용 및 우리성(We-ness)의 추구'라는 핵심범주가 추출되었다. 임신과 출산, 양육 전 과정에 걸쳐 부부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 '우리성'의 획득은 출산과 양육이라는 생애 전환기적 사건을 맞닥뜨린 부부가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