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pose of Reading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s of Smart Reading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 Jeong, Myeonggi;Jeon, Heecheol;Kim, Jeongr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59-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mart reading program, Smartree, in an elementary English class.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education has beco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educational platform an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Smart learning paradigm is converging with technology and social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an English reading method using smart technology and how it affects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we also suggest effective reading methods related to Smart learning suitable for this new educational tre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a tablet PC based Smartree reading program had meaningful effects on both improvements of cognitive reading ability and changes in affective attitude.

Patterns of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ESL College Composition Classes

  • Kim, Sun-Yo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59-85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engaging in "reading in connection to writing" (hereafter reading-writing practices) in the context of two ESL college composition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L2 proficiency level could be a key construct in explain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ading-writing practices which students engaged in during the composing process. Multiple sources of data collected over the semester included interview protocols, written products, and observational no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proficiency groups under examination differed widely in the ways reading was connected to writing and in the types of intermediate texts produced during the composing process. The students in the high proficiency group produced more intermediate texts through an engagement in reading-writing practices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contrary, the students in lower proficiency groups engaged in a limited range of reading-writing practices without support of intermediate tex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different ways ESL college students coordinate reading and writing while composing essays.

  • PDF

Korean EFL Students' Reader Responses on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 Lee, Jis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161-175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reader responses on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with the same topi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y have different reading models depending on the two genres an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he analysis focuses on textual, critical, and aesthetic reading models in the reader responses written in English by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N=30).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have different reading models in reading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They tend to read the expository text in a more critical way while reading the narrative text in a more personal and emotional way. Moreover,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levels, they wrote longer responses on the narrative text than the expository text. However, the proficiency level of English does not suppor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reading models. The findings provide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in L2 reading and suggest the pedagogical implication to pursue linguistic development as well as reading for pleasure.

  • PDF

시·도교육청의 학교도서관 및 독서교육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rdinance of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for School Library and Reading Education in Korea)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7-13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및 독서교육 관련 조례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시 도교육청에서 제정하여 운영하는 관련 조례 건을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 조례, 독서교육 조례, 학교도서관/독서교육 조례로 구분하여 내용 구성요소를 비교하였고, 조례의 내용을 교육감과 교장의 책무, 위원회와 전담부서, 독서진흥 및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조례의 개선 방향을 실효성 제고, 통합형 조례 운영,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 정보활용교육 원리 반영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 이경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3
  •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독서의 달' 프로그램의 주제 분석 (The Subject Analysis on the Reading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Metropolitan Citie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9-1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7대도시 지역(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의 62개 공공도서관에서 '독서의 달' 프로그램으로 제공된 622개의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것의 주제를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은 '독서의 달' 프로그램의 주요 주제로 독서와 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독서방식이 아동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성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Tendency of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54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과 묵독, 다독과 정독, 발췌독과 통독의 각 상대적 개념의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어린이 62명을 대상으로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성향에 영향을 주는 독서방식은 묵독보다 음독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다독보다는 정독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췌독과 통독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Elderly Reading Education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4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아동을 위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효과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N지역에 위치한 14개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독서도우미의 독서교육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 활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독서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에 참여한 후에 아동의 독서흥미가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의 활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생의 독서태도 및 독서량, 성격유형 간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ttitude, Reading Amount, and Personality Type of College Students)

  • 정대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11-230
    • /
    • 202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성격유형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독서율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태도는 재미를 위한 독서량, 종이책 독서량, 개인 독서량, 전자책 독서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에서 개방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전자책 독서량을 제외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간의 높은 상관성을 기반으로 대학생이 재미있고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 환경 제공 및 자료의 비치가 필요하다. 둘째,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독서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활동 중심으로 동적인 독서 활동을 진행하고 지역사회 활동과 연계한 교내 독서클럽 활동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상호작용 읽기전략을 통해서 본 한국 대학생들의 독해과정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English reading process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reciprocal reading strategy)

  • 나경희;이선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09-23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eciprocal teaching procedure for improving Korean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of English 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qualitative features, if any, in students' use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presented in the process of Reciprocal Reading Procedure (RRP).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study, transcripts of the students' dialogue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used different four kinds of read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RRP (questioning, clarifying, predicting, summarizing). The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he readers with limited knowledge of vocabulary had difficulty in moving on to the next level.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practical EFL classroo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