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 이경란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3.05.19
  • Accepted : 2013.06.27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Promoti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Activ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readingmarathon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was follow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about reading activity of readingmarathon program participa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People of high satisfaction increased reading volume and frequency of library use 2) Book talk with family members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readingmarathon program. The readingmarath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ctivity.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경.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9), pp.235-263 Kim Soo-kyoung. "The True Meaning of Reading and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7, No.3(2006. 9), pp.235-263.
  2. 김승환. "도서관의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도서관문화, 제34권, 제3호(1993. 9), p.16-28 Kim Seung-Hoan. 1993. "Various Reading Program Development and Supply of Library." Doseogwanmunhwa. Vol.34, No.3(1993. 9), pp.16-28.
  3. 김은하. "전문가 협력을 통한 어린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3호(2010. 3), pp.373-389. Kim Eun-Ha. "Collaborative Network For Children's Read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3(2010), pp.373-389.
  4. 문화체육관광부. 2011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2011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2011.
  5. 박미영.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315-339. Park Mi Young,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8, No.1(2007. 3), pp.315-339.
  6. 이경란.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4호(2011. 12), pp.5-26. Lee Kyeong-Ran.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for Young Adult Programs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5, No.4(2011. 12), pp.5-26
  7. 이만수. "독서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행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3), pp.409-430. Lee Man-Soo. 2007. "A Study on the Events of Public Library for Reading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9, No.1(2007. 3), pp.409-430.
  8. 이용훈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독서진흥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3), pp.99-113. Lee Yong-hun. 2006. "A Study on the Reading Promotion Activities to Expand Social Rol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7, No.1(2006. 3), pp.99-113.
  9. 전춘애. "부모-자녀 독서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0. 3), pp.119-130. Jun Chun-Ae.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arent-Child Reading Interac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28, No.1(2010. pp.119-130.
  10. 정민정 등.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 창지사, 2008. Jung Min Jung et al. Social Welfare Program Development and valuation, Seoul: changjisa, 2008.
  11. 파나크, 다니엘 저. 이정임 역. 소설처럼.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04.
  12. 하은혜 등.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2호(2011. 6). pp.181-200. Ha Eun-Hye et al..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2, No.2(2011. 6).
  13. 한국독서학회. 독서지도. 서울 : 박이정, 2003. Korea Reading Association. Reading Guidance. Seoul: Pagijong Press, 2003.
  14. 한윤옥 등. 청소년을 위한 독서진흥프로그램 개발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7. Han Yoon-Ok et al. A Study on Young Adult' Reading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 2007.
  15. 황금숙 등.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호, 제2권(2001. 2), pp.75-92. Hoang Gum-Sook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nual for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5, No.2(2001.6), pp.75-92.
  16. Gill, Philip. The Public Library Servic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Mu(a)nchen : Saur, 2001.
  17. Nodelman, Perry.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New York : Longman, 1996
  18. Smith, L.H. The unreluctant year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53.
  19. 독서교육지원시스템. http://www.reading.go.kr [인용 2013. 4. 25].
  20. 빛고을독서마라톤대회. http://bookmaraton.gen.go.kr [인용 2013.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