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ple cor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Colored Potato Flakes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Rats

  • Ohba, Kiyoshi;Watanabe, Shoko;Han, Kyu-Ho;Hashimoto, Naoto;Noda, Takahiro;Shimada, Ken-Ichiro;Tanaka, Hisashi;Sekikawa, Mitsuo;Fukushima, Michihir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63-469
    • /
    • 2007
  • We examin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olored potato flakes on acetaminophen (AAP)-induced liver damage in rats. F344/DuCrj (8 week-old) rats were fed a cholesterol-free diet with 54.9486 g of ${\alpha}$-corn starch/100g diet and were orally treated with 25% colored flakes of Kitamurasaki (KM: light purple), Northern Ruby (NR: red), and Shadow Queen (SQ: medium purple) potatoes co-administered with AAP (0.5 g/100 g diet) for 4 weeks. The hepatic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in the KM, NR, and SQ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with and without AAP. Furthermore, the hepatic catalase, Mn-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u/Zn-SOD mRNA levels in the KM, NR, and SQ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with and without AAP.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olored potato flakes are useful as a prophylactic agent against oxidative liver damage.

검정찰옥수수 종실 분쇄 정도에 따른 항산화 및 Cytotoxicity 활성 효과 (Effect of Particle Siz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in Purple Corn Seed Powder)

  • 김정태;손범영;이진석;백성범;우관식;정건호;김미정;정광호;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53-3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와 저온미세분쇄를 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cytotoxicity를 평가하여 이용성 증진을 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쇄 정도에 따른 평균값은 일반분쇄가 $473.7{\mu}m$, 저온미세분쇄 $17.2{\mu}m$이었으며 중간값은 $336.9{\mu}m$$13.4{\mu}m$를 나타내었다. 2. TEAC 활성 측정 결과 일반분쇄는 $3.87{\mu}mol$ TE/g로서 저온미세분쇄 $5.15{\mu}mol$ TE/g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FRAP 활성 측정에서는 저온미세분쇄가 $10.08{\mu}mol$ Fe(II)/g로 일반분쇄 $8.86{\mu}mol$ Fe(II)/g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3. 간암 세포주(Hep-G2)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1 mg/ml 농도에서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31.48%)한 것보다 저온미세분쇄(27.41%)를 한 경우가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를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에서는 1 mg/ml에서 분쇄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방암 세포주(MCF-7)에서는 일반분쇄가 미세분쇄보다 높은 생장억제를 보였다.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효과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Treated with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 이기연;홍수영;김태희;김재은;박아름;노희선;김시창;박종열;안문섭;정원진;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1-139
    • /
    • 2018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결과,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100, 500, $1,000{\mu}g/mL$ 농도처리구에서 양성대조군인 orlistat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추출물은 모든 처리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화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은 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lipid droplet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PAR{\gamma}$$C/EBP{\alpha}$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에서는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처리에 의해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활성 및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항비만 활성 기능성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치자(梔子)(Gardenia jasminoides 열매)배지(培地)를 이용한 객담(喀痰) 및 기타 병리검체내(病理檢體內) 각종(各種) 효모균류(酵母菌類)의 分離(분리) 및 동정(同定)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Yeasts from Sputum or Other Clinical Specimens Using the Medium Containing Pigments Extract of Gardenia jasminoides Fruits)

  • 정숙;김신옥;김상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87-296
    • /
    • 1991
  • Colonial morphology of the various yeasts often encountered in sputum or other clinical specimens was investigated on the corn meal-potato-yeast extract agar medium (GJCPY) containing orange-yellow pigments extracted from Gardenia jasminoides fruits in hopes of differential identification on primary cultur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ryptococcus neoformans which is a medically important yeast and whose colony showed brown to purple brown on GJCPY medium was distinguishable not only from buff colored Cr. laurentii after one week incubation but also from Candida spp. 2) Colony color of Candida albicans, a most common species in sputum specimens and of Ca. parapsilosis, a rare isolate, remained unchanged even after 15 days incubation. 3) Ca. tropicalis, second common isolate from sputums and Ca. krusei, a rare isolate, formed a characteristic rough and wrinkled colonies that permit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s. 4) Rare isolates, Ca. guilliermondii and Ca. lusitaniae, turned to prussian blue within three days of incubation. 5) Torulopsis sp.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showed glossy grayish blue or light blue after one week incubation. The findings clearly showed that Ga. jasminoides pigments medium was useful to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medically important yeasts that were often encountered in sputum or other clinical specimens.

  • PDF

세종조 회례연시 관모 재현 - 진현관, 피변, 부용관을 중심으로 - (Reproduction of Kwanmo worn during the Hoeryeyeon(會禮宴) Performances in the reign of King Sejong - Focusing on Jinhyunkwan, Pybyun, Buyongkwan -)

  • 조우현;조현진
    • 복식
    • /
    • 제64권6호
    • /
    • pp.65-77
    • /
    • 2014
  • This paper is on the reproduction of kwanmo, which is worn by the dancers in Taepyeongjiak a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focusing on Jinhyunkwan, Pybyun, Buyongkwan. Taepyeongjiak is a performance of the court banquet called Hoeryeyeon held during the 15th year of Sejong'reign(1433). The Hoeryeyeon performances were held on January 1st and December 22nd, to strengthen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The reproduction of kwanmo worn by the dancers was reproduced for the modern performance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and rel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Jinhyunkwan is the kwanmo that is associated with the literature and it comes from an old Chipokwan, is confirm that liang(梁) of Chipokwan's characteristic vanished. Pybyun is kwanmo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ilitary, comes from Jeolpung. The incision line was formed to make the corn shape, and this became the liang(梁). Buyongkwan is corolla adorned with lotus, and is highlighted with colored string of beads. Unlike other corollas, its gilt lotus was adorned with purple-yellow braids.

옥수수 수염 추출액을 이용한 식혜 제조 (Manufacture of Sikhe(a Traditional Korean Baverage) Using Corn Silk Extracts)

  • 조계만;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44-651
    • /
    • 2010
  • 본 연구는 옥수수 수염 추출액과 흑미를 이용한 식혜를 제조하였다. 옥수수 수염 추출액/흑미 식혜(CSE/BR-SH)의 당화 과정 중 pH는 초기 pH $5.88{\pm}0.03$에서 당화 1시간째 5.92로 약가 증간 후 서서히 감소하여 당화 종기(6시간째) $5.67{\pm}0.02$로 나타났다. 반면에 brix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초기 $1.4{\pm}0.01$ brix와 $0.605{\pm}0.02$ g/L에서 당화 6시간째 각각 $7.6{\pm}0.05$ brix와 $4.012{\pm}0.05$로 증가하였다. 한편 당화 초기 95.23%에서 당화 1시간되는 시점에 최대 활성인 116.12%를 나타낸 후 당화가 진행되면 활성이 감소하여 당화 6시간째 70.89% 활성을 나타냈었다. CSE/BR-SH의 색깔은 연한 보라색을 나타냈었다. 한편 CSE/BR-SH의 수용성 phenolics 함량은 당화 초기 8.43 g/L에서 당화 6시간째 23.09 g/L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에 상응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17.3%에서 70.98%), ABTS 라디칼 소거활성(40.25%에서 75.32%), 환원력(0.241에서 0.682) 및 FRAP 활성(0.288에서 1.071)도 증가하였다.

Ruminal Degradability of Tropical Feeds and Their Potential Use in Ruminant Diets

  • Chanjula, P.;Wanapat, M.;Wachirapakorn, C.;Uriyapongson, S.;Rowlinson,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11-21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adability of cassava chip (CC), cassava waste (CW), yellow sweet potato (YP), white sweet potato (WP), purple sweet potato (PP), corn meal (CM), and rice bran (RB) using in situ technique. Two ruminally fistulated steers with an average weight of $303{\pm}10kg$ were used to determine in situ degradabilities of DM and OM. Seven feed sources were weighted in nylon bags ($38{\mu}m$ pore size) and incubated ruminally for 1, 2, 4, 6, 8, 12, 24, and 48 h. The results showed that asymptote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DM of energy sources ranked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CC, YP, WP, PP, RB, CW, and CM (99.3, 92.5; 97.6, 87.9; 97.5, 87.9; 97.2, 87.8; 87.5, 63.6; 78.6, 63.0 and 81.7; 59.3, respectively) and for OM asymptote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were similar to those of degradation of DM (99.4, 93.4; 98.8, 89.8; 98.5, 89.4; 98.4, 88.1; 92.4, 65.8; 85.1, 66.9 and 83.6, 63.3,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disappearance characteristic of CC was the highest and it may potentially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optimal ruminal availability of energy: protein especially with NPN for microbial protein synthesis.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알곡과 속대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가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kso 2 Corn Kernels and Cob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기연;김재은;홍수영;김태희;노희선;김시창;박종열;안문섭;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99-405
    • /
    • 2016
  •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이를 2주간 급여한 결과,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첨가로 인한 식이섭취량 감소효과는 없었으며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C)대비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에서는 처리군(T3)을 제외하고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장기중량은 실험군 간의 체중 당 신장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 당 간 무게는 대조군(C)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처리군(T2)가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전체 실험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군 T3와 T4가 대조군(C) 대비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처리군(T1~T4)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혼합 추출물의 영양성분, 항산화 활성 물질 함량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 이기연;김태희;김재은;박아름;노희선;김시창;안문섭;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0-509
    • /
    • 2018
  • 본 연구는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검정하여 향후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각각 6.90%, 7.31%, 0.52%, 7.07%이었다.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혼합추출물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은 83.33%이었다.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혼합추출물의 구성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을 포함한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736.08 mg / 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95.62% ($1,000{\mu}g/mL$), 92.00% ($10,000{\mu}g/mL$)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9.87 mg/g, 25.02 mg/g이었다.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alpha}-amylase$${\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추출물 10 mg/mL의 처리농도에서 각각 95.86%, 76.92%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