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nodul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43초

흉부 CT영상에서 계층적 삼차원 블록 분석을 이용한 폐결절 검출 (Pulmonary Nodule Detection based on Hierarchical 3D Block Analysis in Chest CT scans)

  • 최욱진;최태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3-1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삼차원 블록 영상분석을 이용한 폐결절 자동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블록 기반 폐 영상 분석 방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블록을 분할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블록을 선택하는 과정이며 두 번째는 선택된 분석 대상 블록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첫 번째 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분석대상 블록들은 다음 단계인 분석과정을 통해 결절과 비결절로 분리될 수 있다. 분석대상 블록의 중심에 있는 object에서 분석을 위한 형태 특징을 추출 하고, 추출된 형태 특징 값을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결절과 비 결절로 분리한다.

원발성 폐 림프종 치험 1례 (Primary Malignant Lymphoma of Lung -A Case Report-)

  • 민경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0호
    • /
    • pp.878-881
    • /
    • 1994
  • Primary malignant lymphomas of the lung are rare and known often to be localized, solitary pulmonary lesions, in chest radiograph. Because they are highly treatable contrast to the other primary lung cancer, the distinction is important. A 35-year old man who was admitted for a solitary pulmonary nodule in the right middle lobe.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disclosed diffuse, small cell lymphoma. Bone marrow biopsy showed no evidence of neoplastic lymphoid cell infiltration. There were a walnut sized mass involving right middle lobe with a small satellite nodule at 2cm distal to the right upper lobe bronchial orifice. The histopathology of the bilobectomized specimen showed diffuse, small cell, malignant, non-Hodgkin`s lymphoma. Immunologic subtype was defined as B-cell type.

  • PDF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18}F-FDG$ PET의 임상 이용 (Clinical Application of $^{18}F-FDG$ PE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준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sup1호
    • /
    • pp.17-28
    • /
    • 2008
  • This review focuses on the clinical use of $^{18}F-FDG$ PET to evaluate 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an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hen SPN or mass without calcification is found on chest X-ray or CT, $^{18}F-FDG$ PET is an effective modality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lesions. For initial staging of NSCLC, $^{18}F-FDG$ PET is useful, and proved to be cost-effective in several countries. $^{18}F-FDG$ is useful for detecting recurrence, restaging and evaluating residual tumor after curative therapy in NSCLC. For therapy response assessment, $^{18}F-FDG$ PET may be effective aft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18}F-FDG$ PET is useful to predict pathological response after neoadjuvant therapy in NSCLC. For radiation therapy planning, $^{18}F-FDG$ PET may be helpful, but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s. PET/CT is better for evaluating NSCLC than conventional PET.

CT 영상내의 폐 결절과 색전 검출을 위한 폐혈관 자동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Pulmonary Vessels to Detect the Pulmonary Nodule and Embolism in CT Image)

  • 박찬;유홍연;홍성훈;김수형;이귀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99-702
    • /
    • 2004
  • 단층촬영에 의해 획득된 흉부영상의 폐 영역은 기관지, 폐동맥, 폐정맥으로 구성된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조직과 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악성 종양과 같은 질병들 사이의 공간정보의 유사성으로 인해 방사선 전문의조차도 질병을 간단히 구분 해내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사한 공간정보를 갖는 폐 영역을 수리형태학 필터인 모폴로지(morphology)와 국부적인 워터쉐드(watershe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할하고, 분할된 폐 영역으로부터 색전 또는 종양 등의 결절(nodule)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혈관들을 추출하는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폐동맥에서 발생한 육종 - 1례보고 - (Pulmonary Artery Sarcoma - One Case Report -)

  • 김형렬;김경환;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92-696
    • /
    • 2002
  • 폐동맥에서 발생하는 육종은 드문 질환으로서 예후도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임상적인 의심이 조기치료에 가장 중요하다. 환자의 증상은 대부분 폐동맥색전증과 유사하며, 우심부전으로 인한 증상이 진행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거의 모든 예에서 필요하다 보조적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많다. 본 증례에서는 42세 남자환자가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조영술에서 우폐동맥의 종괴를 발견하였다. 수술 소견에서 우폐동맥뿐만이 아니라 좌폐동맥 내막에도 종양의 침범이 확인되어 완전절제는 불가능하였다. 환자가 항암치료를 거부하여 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술후 6개월까지 잔존하는 종괴의 크기는 커지지 않았다. 술후 15개월에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잔존하던 종괴의 크기가 커졌으며, 좌폐에도 전이로 의심되는 병변이 발견되어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술후 24개월에는 늑골에 골전이가 발견되었다. 환자는 다시 항암치료를 받을 예정이다.

고립성 폐 결절 형태로 나타난 기관지 내 국균종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Aspergilloma Presented by Solitary Pulmonary Nodule)

  • 이기만;김성진;홍종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8호
    • /
    • pp.648-651
    • /
    • 2006
  • 53세 여자가 내원 4일 전부터 심해지는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X-선상 우상엽에 고립성 폐결절이 보였고,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우상엽 후분절 기관지를 막고 있는 결절을 보였다. 기관지 내시경적 검사로 우상엽 후분절 기관지를 완전히 막고 있는 부스러지기 쉬운 황색과 갈색의 진흙 같은 덩어리가 보였고 생검 병리학적 검사로 국균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지속되는 객혈로 인해 우상엽 및 우중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기관-기관지 국균증은 면역기능이 정상인의 경우에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는 형태의 국균증이기에 우리나라 문헌에서 보고된 기관지 내 국균증의 고찰과 함께 비교하여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Metastatic Thymic Adenocarcinoma from Colorectal Cancer

  • Lee, Mina;Choi, Suk Jin;Yoon, Yong Han;Kim, Joung-Taek;Baek, Wan Ki;Kim, Young Sa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6호
    • /
    • pp.447-451
    • /
    • 2015
  • This report describes the case of a 57-year-old man with an anterior mediastinal tumor. Four years previously, he underwent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for sigmoid colon cancer. Thirty months after that procedure, bilateral pulmonary metastasectomy was performed. Twelve months later, follow-up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1-cm pulmonary nodule on the upper lobe of the right lung and a solid mass on the anterior mediastinum, and the patient was also observed to have an elevated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 Repeated pulmonary nodule resection and total thymectomy wer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anterior mediastinal tumor revealed adenocarcinoma, and his serum CEA level returned to normal after the operation.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ed metastatic thymic adenocarcinoma from a colorectal cancer.

악하선 종괴를 동반한 고립성 폐결절 (Primary Adenoid Cystic Carcinoma of Salivary Gland with Metastatic to the Lung)

  • 조해정;김진희;김주옥;송규상;남부현;임승평;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579-583
    • /
    • 1994
  • A 22-year old female visited CNUH due to palpable neck mass. Cytologic examination of a fine needle aspir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Pap class II. Routine chest x-ray shows solitary pulmonary nodule. For rule-out malignancy, FNA at neck mass was repeated and pathologic finding was dysplasia. She was admitted to MI department for evaluation of solitary pulmonary nodule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was done. Pathologic diagnosis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Thereafter, the lesions were treated by excisional biopsy of submandibular gland mass with left 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and wedge resection of right lower lobe at ENT department and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respectively. Final diagnosis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arising in submandibular gland with solitary lung metastasis. According to TMN staging system, surgical staging is stage IV of T2N0M1. Clinical follow-up to postoperative 13 months in this case showed that she is alive and well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 PDF

4년간 크기가 일정한 고립성 폐결절이 선암으로 진단된 1예 (A Case of Adenocarcinoma Presenting a Solitary Pulmonary Nodule That Showed No Growth Over 4 Years)

  • 윤병갑;김은주;김덕인;이금호;류정선;곽승민;이홍렬;조재화;김루시아;이경희;김정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326-329
    • /
    • 2005
  • 4년간 크기가 변하지 않은 고립성 폐결절에서 폐암으로 진단된 51세 여자 증례를 보고하였다. 수술적 폐쐐기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수술장 동결조직검사에서 선암으로 진단하여 우상엽절제술과 완전 림프절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저자들은 폐암으로 진행할 위험인자들이 있는 고립성 폐결절은 조기에 수술적 시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linical Validation of a Protein Biomarker Panel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Jung, Young Ju;Oh, In-Jae;Kim, Youndong;Jung, Jong Ha;Seok, Minkyoung;Lee, Woochang;Park, Cheol Kyu;Lim, Jung-Hwan;Kim, Young-Chul;Kim, Woo-Sung;Choi, Chang-Min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3호
    • /
    • pp.342.1-342.6
    • /
    • 2018
  • We validat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 previously developed blood-based 7-protein biomarker panel, $AptoDetect^{TM}$-Lung (Aptamer Sciences Inc., Pohang, Korea) using modified aptamer-based proteomic technology for lung cancer detectio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200 patients and benign nodule controls, 200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a high-risk population corresponding to ${\geq}55years$ of age and ${\geq}30pack-years$, the diagnostic performance was improved, showing 73.3% sensitivity and 90.5% specificity with an area under the curve of 0.88. $AptoDetect^{TM}$-Lung (Aptamer Sciences Inc.) offers the best validated performance to discriminate NSCLC from benign nodule controls in a high-risk population and could play a complementary role in lung cancer scre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