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eraria thunbergiana Benth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구기자, 오미자, 갈근, 두충차 음료의 중금속 흡착율 (Effects of Korea Lycium chinense Miller,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Pueraria thunbergiana Benth, Eucommia ulmoides Oliv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

  • 한성희;신미경;김용욱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3-369
    • /
    • 1999
  • The heavy metal removability of four kinds of tea was investigated in the various conditions: particle size of tea(10, 35. 70, 100 mes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25, 50, 100ppm) and extraction temperature(30. 50, 70. 10$0^{\circ}C$). The removabilities by the tea solids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ncreased, and extracting temperature increased. Of the four kinds of tea Pb, Cd and Cu removability by Eucommia ulmoides Oliv tea was the highest. In addition, heavy metal removability by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tea as extr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 PDF

칡 뿌리를 이용한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Pueraria thunbergiana Benth Roots Film)

  • 정현엽;손태원;이건민;최원미;이연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147-149
    • /
    • 2008
  • 현재 칡은 잎, 줄기, 뿌리를 이용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칡의 줄기를 이용해 삼태기, 광주리, 바구니 등을 제작하고, 꽃으로는 갈화라하여 식욕부진, 구토, 장출혈, 술 중독 등에 처방하고 있다. 그 중 뿌리는 고열, 두통, 고혈압, 주독, 설사 등에 효과가 있어 뿌리를 달여 칡차로서 많이 음용되고 있다. 하지만 뿌리의 즙을 짜고 남은 칡뿌리 섬유의 잔사는 식물성 섬유소로서 현재 대부분 폐기되거나 일부 양축 농가에서 사료의 증량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매년 1,000톤이상의 칡뿌리 생산량 중 잔사가 600톤 이상 된다. 이 잔사를 이용해 펄프를 만들고 필름을 만들어 나아가 섬유를 만듬으로써 친환경적인 섬유로써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Study of Substance Changes in Flowers of Pueraria $thunbergiana_{Benth.}$ During Storage

  • Kim, Chung-Sook;Shin, Sun-Mi;Ha, Hyek-Yung;Kim, Jong-M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10-213
    • /
    • 2003
  • Puerariae Flos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at has long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colds, diabetes, and hangovers. The herbal medicine contains a wide variety of isoflavones such as kakkalide, tectoridin, and tectorigeni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ubstances undergo a certain degree of change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by the method of HPLC and $^{13}C-NMR$, and that the HPLC analysi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freshness of Puerariae Flos.

약용식물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 도재호;곽정원;노정진;이광승;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75-280
    • /
    • 2019
  • 약용식물 67종의 생리활성 부위를 대상으로 열수 추출물이 in vitro에서 xanthine oxidase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용식물 중에서 황금, 지각, 하수오, 갈근, 청피, 복분자, 녹차 및 지실 추출물은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여 항통풍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하수오 뿌리 추출물은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였고, 농도에 비례하여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하수오 추출물은 2.0 mg/0.1 mL의 농도에서 xanthine oxidase에 대해 73.8%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ESR Spectroscopy에 의한 감마선 조사된 한약재의 검지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Korean Medicinal Herbs by ESR Spectroscopy)

  • 이은정;양재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7-721
    • /
    • 2002
  • ES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한약재의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국내산 한약재 4종으로 칡, 당귀, 아가리쿠스, 황기를 0, 1, 5 및 10 kGy의 Co-60 감마선을 조사한 후, 이를 시료로 Bruker-EP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조사로 생성된 라디칼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조사직후 감마선 조사된 한약재 4종은 ESR 특성 신호를 나타내어 비조사시료와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적용선량의 범위에서(1~10 kGy)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ESR 신호 크기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선량의 증가에 따른 신호 크기의 증가를 나타낸 $R^2$값은 0.9428~0.9942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이들 신호는 상온에서 2주까지는 감소하였으나 저장기간 후에도 관찰할 수 있었으므로 ESR spectroscopy를 이용한 한약재의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은 6주간의 저장 후에도 측정 가능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대부도2호선 목부재의 수종과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for the Wooden Board from Daebudo Shipwreck No.2 Using Wiggle Matching)

  • 남태광;윤용희;김응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9-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 발굴된 대부도2호선의 목부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과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통해 사용된 목재의 재질과 고선박이 난파된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수종분석을 통해 선체부재로 사용된 목재는 모두 소나무속의 경송류로 식별되었으며, 기타 선체부재와 나무못은 경송류, 밤나무속, 참나무속 상수리나무아속 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오리나무속의 사용을 확인하였다. 동반 출토된 목제빗과 참빗은 단풍나무속과 대나무아과로 확인되었고, 밧줄은 칡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선수재와 받침목 그리고 씨앗류(감씨)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위글매치 분석을 통해 대부도2호선은 AD 1151~1224년 사이에 난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고선박은 12~13세기 초중반에 난파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출토된 도자기의 편년과 일치하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