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igdat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코로나 19 담론과 사회복지 개입방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COVID-19 Discourse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rough Online News Big Data: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Alone)

  • 여지영
    • 한국노년학
    • /
    • 제41권3호
    • /
    • pp.353-371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 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가축관련 운송차량 통행 데이터를 이용한 가축전염병 확산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ng Model for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Spread Using Movement Data of Livestock Transport Vehicle)

  • 강웅;홍정열;정희현;박동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8-95
    • /
    • 2022
  • 아프리카 돼지열병,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유행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가축전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축산 관련 차량 통행을 지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축산시설의 차량 방문이력 데이터와 화물차량의 디지털 운행기록계 데이터를 결합하여 각 읍면동의 주중 축산 화물차량 OD 통행량을 구한 후, 이에 기반한 가축전염병 확산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2015년 1~2월 당시 주차별 구제역 발병기록을 이용하여 훈련되었으며, 긍정적 시나리오 기준으로 검증용 감염 표본 13개의 감염을 모두 예측해내는 데에 성공했다.

한의약에 대한 국내 언론보도 경향 분석 : 2018년~2022년 뉴스 기사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news trends in Korean Medicine from 2018 to 2022)

  • 진나윤;최영선;임병묵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2
    • /
    • 202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s articles related to Korean Medicine(KM) and compare trends in news reports from 2018 to 2022. Method : News articles related to KM were collected through the BigKinds, the news bigdata service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News reports from 1 January 2018 to 31 December 2022 were searched. 2,950 news articles out of a total of 12,497 met the inclusion criteria. First, quantitative changes in media coverage were analyzed by year, media outlet, and month. For qualitative analysis, two authors independently coded the content of news articles, discussed them until consensus, and consulted with a third researcher to classify them. In addition, keywords extracted by the BigKind's Topic Rank algorith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each year. Results : The number of news articles on KM decreased by 42% in 2022 compared to 2018. Over a fiveyear period, the Naeil Shinmun reported the most on KM among newspapers, while the Hankyoreh did the least. Among broadcasters, YTN reported the most and SBS did the least. When analyzing the reports by category, the most common was 'treatment', followed by 'prevention' and 'scientification'. As a result of extracting keywords with high weight and frequency, 'immunity' and 'immune system' ranked the first and second in 2018, while 'COVID 19' and 'medical law violation' did in 2022. Conclusion : The decrease in media reports on KM during the COVID-19 epidemic period seems to be due to the limited role of KM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efforts to expand the scope of KM can induce increased media reports and social interest.

인공지능 활성화 정책 도출 방법 연구 (Research on the Methodology for Policy Deriving to 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유순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87-19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회에 접목하여 기업 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개인 및 국가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정부적 측면에서 인공지능을 활성화 정책 도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활성화 방안 도출하기 위해 1) 국내 환경에 대한 자세한 조사, 2) 인공지능 적용이 가능한 우선 지원 분야 및 모델 발굴, 3) 활성화 및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4) 구체적인 인공지능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 해야 한다. 제시된 인공지능 활성화 방안은 다면적인 접근 방법을 통한 인공지능 육성의 실효성 검증 및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다면적인 분석접근 방식은 비즈니스 서비스 활성화 방안은 비즈니스 생태계 측면, 기업을 포함한 산업별 측면, 기술 분야별 측면, 정책적 측면, 공공과 비 공공서비스 측면, 정부 주도와 민간 주도 측면 등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 유도방안으로 검토할 수 있다. 향후 연구 분야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그 효과에 대해 입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인공지능 기술 발달지원과 이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 하는 것이다.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Improving Legislation on the use of Healthcare Data for Research Purposes)

  • 박대웅;정현학;정명진;류화신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315-346
    • /
    • 2016
  • 빅데이터 처리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잠재적 가치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잠재적 가치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한 빅데이터 규제체계는 경제재로서의 빅데이터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연구목적으로 활용하는데 많은 장애를 발생시키고 있다. 환자의 치료라는 1차적 목적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보의 규제체계를 기술의 발전에 부합하며 공익적 활용이 용이한 형태로 개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균형에 대한 고민이 반영된 해외의 법제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외 법제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 법제에서 다음과 같은 방향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보건의료정보에 특화되고 보호와 활용을 아우르는 법제가 필요하다. 개인정보의 비식별화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수준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의 구축을 통해 관련 연구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외국에서의 논의에 대한 검토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옵트아웃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일 것이다.

  • PDF

비정형 빅데이터를 이용한 COVID-19 주요 이슈 분석 (Analysis of Major COVID-19 Issues Using Unstructured Big Data)

  • 김진솔;신동훈;김희웅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45-165
    • /
    • 2021
  • 2019년 12월 말, 전 세계를 혼란에 빠트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팬데믹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기관에서는 기존의 정책지원 효과를 극대화하고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한 전방위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사회적으로 부각되는 논제와 관심사항의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를 통해 코로나19와 관련된 주요 생각, 태도, 감정 등을 파악한다. 특히 정부의 대응에 관한 대중의 견해를 알기 위해 '정부 대응방향'을 기준으로 시기를 나누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는 네이버를 통해 2019년 12월 31일부터 2020년 12월 12일까지 수집되었다. 또한, 분석을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TF-IDF 키워드 추출과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8개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가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슈 사항과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에서의 코로나19 및 감염병 대응 정책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위기상황에 정부와 관련 기관이 국민의 필요와 요구에 따른 정확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객체 인식 모델을 활용한 적재불량 화물차 탐지 시스템 개발 (An Overloaded Vehicle Identifying System based on Object Detection Model)

  • 정우진;박용주;박진욱;김창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2-565
    • /
    • 2022
  • 최근 증가하고 있는 도로 위 적재 불량 화물차는 비정상적인 무게 중심으로 인해 물체 낙하, 도로 파손, 연쇄 추돌 등 교통 안전에 위해가 되고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가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정상적인 무게 중심은 적재 불량 차량 인식을 위한 주행 중 축중 시스템으로는 검출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는 적재 불량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객체 인식 기반 AI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AI-Hub에 공개된 약 40만장의 대형차, 소형차, 중형차 별 적재 불량 차량과 일반차량으로 구분 된 데이터 셋 중 종류별로 제공되는 CCTV, 블랙박스, 카메라 시점의 적재 불량 차량 데이터 셋을 분석하여 전처리를 통해 적재 불량 차량 검지 AI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원시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성능 대비 약 23% 향상된 적재 불량 차량의 검출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개 빅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객체 인식 기반 적재 불량 차량 탐지 모델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의 문제점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Problems in Data Collection for Smart Farm Construction)

  • 김송강;남기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9-80
    • /
    • 2022
  • 기후변화 및 식량자원안보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어 지고 있는 지금 스마트팜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1차 산업에 있어 생산 환경의 변화는 모든 1차 산업(농업, 축산업,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식량부족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중요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차 산업에서는 ICT 및 BT등 4차 산업 혁명과 기술인 IoT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팜을 도입함으로 해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민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팜의 발전 및 활용, 지속 가능한 농업경영 시스템구축을 위한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요건 및 순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 목적성을 갖는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등에 관해고찰 하고자 한다. 특히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팜 표준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시스템의 문제점을 농축산(양돈)분야의 심층적인 조사와 다양한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수집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빅데이터 수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 Research on the Women's Costume on the Bigdata of Movie Napoleon

  • Weolkye KIM;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21-28
    • /
    • 2024
  • The public can access movies more easily than any other cultural genre. The film's costumes convey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limate of that time period. Additionally, it subtly conveys the message of the movie, including the intentions of the director and the characters. Filmmakers can now use fact-based materials to plan their films, and audiences can now watch costume in movies with objective standards, particularly in period dramas, thanks to the advancements in over-the-top (OTT) services. The 77th British Academy costume Award went to the movie Napoleon because of how much emphasis it placed on the outfit. Ninety-five percent of the costume was made by experts in military uniforms and costumer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aristocratic and exaggerated Rococo costume, Napoleonic clothing had a natural and common-class character. A natural-shaped Chemise dress composed of light, reflective material first appeared in the Directoire era, just after the French Revolution. Chemise dresses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Empire era. With Napoleon taking the throne and Josephine becoming the empress, the vibrant court culture resurfaced during the Empire era. The silk was embellished with gold thread and embroidery, train dangling forms, and different types of sleeves appeared in Empire styles. They wore Pellisse and shawls under the coat. The hair style had long, ancient hair and was adorned with fillets. They also wore straw hats, bonnets, and caps. Long gloves and parasols were also popular accessories, as were pearl or colored jewelry necklaces, earrings, bracelets, and rings. During the Empire era, tiaras were fashionable. Shoes were either low-heeled pumps or sandals. The movie uses Chemise and Empire costumes, which are versatile enough to be used in a range of settings and eras. When it came to details, the type of sleeve was employed without regard to time, such as when using those from an earlier or later period. Since jewelry was worn more often than not in that era, practically every character has earrings on their necklaces. Nearly exact replicas of the coronation costume can be found in paintings by Jacques-Louis David. The red trains, Josephine's Empire dress, the crown, the Tiara, and the costumes of every character in attendance were all clearly identifiable in terms of form and color. To further aid viewers in understanding and enhancing the film's overall coherence, a scene featuring David drawing the coronation was added. Overal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the historical costumes were accurately recreated, the materials and details were utilized without restriction, and some of the costumes were designed with modern materials or accessories that were used more than the historical costumes. This section appears to have been written to highlight the beauty of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or settings. There is a limitation to this study in that it only looked at aristocratic clothing, which includes Josephine's. We will concentrate on male clothing in future research.

A Research on the Men's Costume on the Bigdata of Movie Napoleon

  • Weolkye KIM;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29-36
    • /
    • 2024
  • The public can now access movies faster and more easily thanks to over-the-top (OTT) services. The audience may be impacted by period dramas, where accurate costume reproduction is crucial. For filmmakers, it is critical to replicate period costumes using precise historical in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ct as a reference so that, when it comes to period dramas, viewers can evaluate them using impartial criteria and movie producers can use data based on fact to plan their costumes. The film Napoleon won the British Academy Award for Costume after hiring costume experts to create 95% of the entire costume,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poleon I Museum. Following the French Revolution, the ostentatious and ornate men's attire vanished, to be replaced by a more modest and functional outfit. For tops, vests were cut to waist length, shirts, cravats, and carrick were worn, and tailcoats were the norm. The pants were swapped out for loose-fitting ones. The glitzy hues and embellishments from the bygone era progressively vanished and formed the foundation of the contemporary men's costume, which is dominated by black. The hats worn were tricorn, bicorn, top hat, and bowler, and the hairstyle changed from long to short gradually. The civil class wore short tops called carmagnoles. Napoleon wore a high-collared Napoleon collar and a tailcoat with a bicorn, which became his emblem. Green, navy, and white were the colors of the uniform, and a gray woolen coat was worn outside. The elaborately decorated costumes were worn to court and to banquets; the Napoleonic coronation costume was embellished with gold embroidery on silk, red velvet, and martyred hair; the post-revolutionary costumes gradually became more colorful. In the movie Napoleon, period clothing items were well represented, with the aristocracies wearing dark tailcoats, vests, shirts, and crava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men's costume, Napoleon's outfit in the movie was made more similarly. This study's limitation is that not every character in the movie could have their costume examined, and the material matter could not be precisely determined by examini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Given that portraits typically feature a great deal of noble imagery, the clothing worn by common people is also associated with data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movie costum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