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Residential Housing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초

최근 주상복합건물 공용공간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Space of Residence-commerce Complex Building)

  • 이준상;유성은;하미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54
    • /
    • 2004
  • Recently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are being built more like residential-oriented apartments and also as deluxe residential houses targeting at the high-income bracket that is seeking for high Qualify of life. The important factors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for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are both common space shared by occupants and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conveniences. These have already become prominent as important factors when choosing a residence. This research manip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ly shared space, being an important factor of amenity, in the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recently built for sale so that a reference to planning of common space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can be provided for the future.

  • PDF

전국 토양오염실태 및 공공택지개발지구의 오염토양 관리 (Soil Pollution and Contaminated Soil Management of the Public Housing Agency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 오정익;진규남;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377-38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를 토지용도별로 조사하고, 공공주택개발지구의 토양오염 처리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환경부가 매년 조사하고 발표하는 토양오염실태 자료를 근거로 지목별 토양오염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고, 공공주택기관이 발주하는 대규모 택지조성 및 주택 도시개발 사업지구에 근무하는 토양오염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21가지 유기 및 무기 토양오염물질(예,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크롬, 아연, 니켈 등)은 전반적으로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낮은 반면 산업활동 지역에서 일부 오염물질에 국한되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해물질이 측정되었다. 한편, 공공개발사업지구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상당수는 오염토양에 관한 업무 처리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외부 전문 업체에 의한 처리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오염토양 발생 직후 신속한 대응, 합리적인 전략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실무자들은 오염토양 처리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아 그 처리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이 요구되었다

제주지역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공간 선호경향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of Residential Space on Residers of Public Rental Hosing in Jeiu)

  • 김태일;이용호;김수이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59-166
    • /
    • 2005
  • This study is focused on Resider's Preference of Residential Space to improve Residence Unit Plan. Three Rental Housing Complexes in Jeju which supplied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KNHC) were selected for more detailed Resider's Preference research, which were constructed within 5years. Questionnaire of Total 360 sheets were distributed for each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total 299 sheets were return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Generally satisfaction of environment and living area of home is not high. And also it seem that many residers want to live in housing of average 25.87 pyeong in housing scale. In view and direction of housing Especially, many residers tend to select housing that view is better than direction. With based on like this results, it is proposed housing plan's develop and political supports reflected Jeju's culture condition, life style, climate and so on.

공공 주거실태조사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ublic Housing Survey)

  • 이윤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7-3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화와 주택보급과정을 거쳐 주택 정책에 필요한 지표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이에 따라 주거실태조사의 항목과 분류체계 또한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며, 계속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주거실태조사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조사 자체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와 공공에서 실시한 유사한 성격의 조사를 대상으로, 조사항목의 내용과 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증가하고 있다. 둘째, 주택의 지역별 수요와 밀접한 주거이동과 관련된 항목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셋째, 시기별로 당시의 주택정책과 관련한 질문이 포함되었다가 제외됨을 반복해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주택정책과 관련된 항목들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나.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관심이 부족했던 주거실태조사를 대상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변화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거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single-mothers)

  • 김지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7-48
    • /
    • 2017
  • 본 연구는 주거 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5년 한부모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주거환경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의 물리적 특성 중 채광, 난방, 소음 등과 같은 주거 성능이 충족되지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부모 여성들은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낄 확률이 높았다.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자가 보다는 공공 임대에 거주하는 경우와 주거로 인한 과한 부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우울에는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자가보다는 공공임대주택인 경우와 과도한 주거 부채가 있는 경우가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주거개선서비스의 필요성과 주거실태조사, 주거 부채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환경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현황 및 거주특성 연구 - 서울시 공급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upply Pattern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in Seoul)

  • 이재수;성수연;이동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supply pattern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type Housing in Seoul. There have been 3,336 buildings and 71,790 housing units approved until the end of 2012. One-room apartments and small units less than 30 $m^2$ of residential area amount to 81% and 82% of total units, respectivel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less than 30 years of age are mostly lived in the housing. Respondents are mainly professional and white-collar (43%) and service and sales workers (27%). Most of them are mid-income classes (67%), which is twice more than that of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in Seoul. They pay 672 thousand won in rent more than average rent of mid-income class. The rent to income ratios are 29.9% for single households and 24.5% for two-person households, which are higher than that of mid-income bracket. Third, their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in internal environment and access to public service facilities, but not in external environment and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They are satisfied with security and daylight, walking and safety, access to public transport and parking space, but not with noise and vibration, natural environment, access to park and cultural and sports facilities, and most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rticles of deregulation and prepare design standards while considering different housing and locational types.

도시주택 평면류형별 공간이용의 행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Use Patterns of Urban Housing)

  • 정전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63-73
    • /
    • 1998
  • This study has a subject for the detached houses and mass housing ( alias dictus, Apartment) on the Dae Gu urban area, and has a process of surve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using states of dweller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has an object of find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spatial using corresponded to the living activities. As its result, a cultural searching for urban housing is disciplined with the positive study for surveying the living contents emerged form the residential spaces. Limited into sleeping, eating, hosting, familiarity and family ritual, where and how the living activities is appeared according as the housing types and floor types, and what different and common features of its spatial using is possessed, is focused on this study. As Conclusion, it is found that each living activities are differed in the spatial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housing and floor types, but genetically are inherited by the traditional custom. Thus two behavial directions of dweller in public residential architecture have to be reconsidered in the urban housing culture.

  • PDF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필지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개별필지집적방식에 의한 노인복지공동주택사업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f estate development scheme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 정은정;이희진;양병옥;김주석;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5-240
    • /
    • 2008
  • When rate of stated and public owned demesne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s low under the limited resources of revenues, the new infrastructure for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estate has increased land reduction rate thus the place where lot of small estate find it difficult to accept as the feature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lthough 'Diffusion mod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which designed to overcome existing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s middle of progress, there is not any suggestion made to solve problem caused by short of estate in order to maintain small estate and total Infrastructure. In feature of resident, we also notice ageing not only facilities and building. 'Elderly housing'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living style to solve housing and elderly matter which are caused by accumulation of individual estate and aging at once. Therefore, this research identifies resident's perception about elderly housing and recognizes task and potentialities that has to be solved in order to apply virtually to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 PDF

은평구 장기전세주택 입주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 허용;홍형옥;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6-260
    • /
    • 2011
  • In 200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ed new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called SHift that works as rental deposit b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This research has shown conclusively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the Location of apartment, Internal Premises, External Premises and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The main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are Location of economical fact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12 factors of variable are confirm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is analysis is evaluate on discri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welling circumstance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economical factor was the main factor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neral overview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Hift residents satisfaction is "quite good". But there are maby problems on SHift.

  • PDF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특성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of Housing Voucher Program -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김가연;홍희정;홍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07-220
    • /
    • 2016
  • 서민층의 주거지원 정책이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대규모 공공임대주택 공급에서 수요자 중심의 주택바우처 제도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의 주택바우처는 2010년부터 서울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하였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주택바우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가 많으나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선택요인을 찾아내고, 일반 회귀분석(OLS)과 지리적 가중회귀(GWR) 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들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으로 단순노무직 일자리와 사회복지시설 접근성, 대중교통 접근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형 주택바우처에 대한 목적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단순한 주거지원 뿐만 아니라 재취업을 위한 교육과 가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