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Development Pla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3초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A Research on the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곽동철;윤정옥;김용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표는 강원도 교육청 소속 22개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교육, 지식과 문화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향한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각종 공공도서관 통계 분석, 2019년 11월부터 12월 사이 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명을 도출하고, 비전, 목표, 전략, 핵심과제를 체계화하여 교육문화관(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교육 중심 특화장서 개발 및 구성, 이용자 친화적인 공간 재구성 및 지자체 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라는 4개 전략목표 및 16개 핵심 추진사업을 제안하였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는 도서관 건물과 시설, 장서와 서비스, 사서 전문인력을 핵심으로 하는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휴먼웨어(HW)의 3개 요소 전반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구감소지역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경북 의성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Depopulation Areas: Focusing on Uiseong-gun)

  • 김신영;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95-117
    • /
    • 2022
  •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의성군의 도서관의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먼저 의성군 지역의 사회·문화·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의성군과 규모가 유사한 인구감소지역의 도서관 인프라와 비교하였다. 또한 의성군 주민의 도서관 이용현황,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방안, 비이용 요인, 신규 건립 도서관에 대한 요구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성군 도서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성군 도서관 발전을 위한 4대 전략방향(미래 지향, 커뮤니티 기능 활성화, 정보취약계층 특화, 지역사회 정신문화 고양)과 5대 서비스 핵심과제(의성군 도서관의 브랜드 구축, 혁신형 공간 및 서비스 구현, 주민 정주환경 강화를 위한 도서관 기능 확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인서비스 개발 및 제공, 책 읽는 의성을 위한 독서문화 활성화)를 도출하였다. 제시한 핵심과제는 인구감소지역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의성군의 잠재력 개발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도서관서비스에 초점을 두었다.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for Facilitating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 오경묵;노영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1-276
    • /
    • 2003
  •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신영;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101-127
    • /
    • 2022
  • 2021년 12월 7일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법률 제18547호) 제31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시·도교육감은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면 미리 공공도서관 설립·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설립타당성에 관한 사전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사전평가는 공공도서관 건립규모의 적정성 제고 및 분포 조정을 통한 시·도별 및 시·군·구별 불균형 및 격차를 해소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공공도서관 건립단계에서 핵심인프라(사서, 자료, 시설, 시스템 등)의 충실한 확보를 유도하여 서비스 만족도와 운영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기본방향, 평가체계 및 평가모형(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한 평가모형(안)은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은 공공도서관 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 제시를 통한 사전평가 준비의 혼란 방지와 편의성 제공하여 부실한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따른 세금 낭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Public Libraries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신동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3-423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기준의 동향분석과 개정안 연구 (Trend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Standard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28
    • /
    • 2011
  • 대학도서관의 궁극적인 사명은 대학의 교육, 연구, 사회봉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사명을 성취하려면 대학도서관의 운영지침,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최적의 기준을 개발하고 적시에 개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대만)의 대학도서관기준이 함축하는 동향과 특징을 개관 비교하고, 국내의 법적 및 권장기준에 내재된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여 장서, 직원, 시설 중심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공순구;김형석;이승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66
    • /
    • 2010
  •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the Survey of the Status of Field Practice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51-77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field training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of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based on thi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survey were conducted on the status of field practice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4-year and 2-year colleg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analyzed that field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employment competitive- ness and employment competency of students, and the field training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career decision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ibrary with the most field training was found to be a public library,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institutions and choose their career path, it was necessary to jointly discover and use field training institutes. Third, the evaluation contents or evaluators of the field training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by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most universities are evaluating the field practice using various scales. Lastly,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on-the-job training to some ext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manual and distribute it to each university.

김포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id- to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Library in Gimpo City)

  • 노영희;장인호;강지혜;신영지;곽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27-253
    • /
    • 2020
  • 본 연구는 김포시 도서관의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이라는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김포시 내 지역별로 산재해 있는 도서관의 전체 체계 재정립과 더불어 타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김포시 도서관만의 특화된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김포시 지역주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용자)과 도서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김포시 모든 도서관이 공공도서관으로써의 자료 수집, 정보서비스, 각종 프로그램 운영 등의 기능 및 역할을 기반으로, 각 도서관만의 차별화된 콘셉트와 주제를 가지고 이용자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서비스를 지향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김포시 도서관 장서와 관련하여 도서관별 이용률이 높은 도서를 우선 수집하여 수요자 중심으로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상별 이용자 요구를 수렴한 장서 개발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김포시 도서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타 지역 도서관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분석으로 서비스 도출 또는 김포시 수요자에 맞춰 시민들이 참여하고, 활용하여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 김수정;이종욱;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운영 경험을 조사하여 주요 업무, 필요 역량, 교육 경험 및 요구, 향후 계획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11명의 사서 및 직원과 1명의 관장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서와 담당자들은 국가공모사업이나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총괄, 관리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술 리터러시, 주제 지식,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능력, 배우려는 자세와 호기심,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더십, 디자인 사고 등을 필요 역량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 확장, 장비 구입, 프로그램 개발 등의 향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교육 요구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