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Development Pla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 장우권;박성우;여진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45-367
    • /
    • 2014
  • 공공도서관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정보와 문화창조의 핵심기관이며 지식정보자원의 산실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지식정보자원의 활용과 서비스를 위해 이용자 친화적인 문화공간으로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교육청 소속 2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525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영만족도, 사회자본 창출, 지역발전 공헌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P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 New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7-58
    • /
    • 2021
  • 본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최상의 이용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건립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P신도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P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초기 단계에는 도서관 건립계획이 없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건립에서 P신도시에 차등이 있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수가 부족하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입지가 미흡하다.

서울지역 구립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Mid-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Nowon-gu Public Libraries in Seoul)

  • 강지혜;배경재;정다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26
    • /
    • 2023
  •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립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는 노원구의 특징과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다.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역 특성, 도서관의 시설 현황과 장서, 인력,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목적, 만족도, 장서개발에 대한 의견, 기대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정책 방향 등을 조사하였다. SWOT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노원구립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위한 미션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교육 강화, 더불어 읽는 독서문화, 지속 가능한 환경도서관, 노원구 문화 플랫폼이라는 노원구립도서관의 발전 과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문화관광부의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riety Evaluation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ith SMART Method)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79
    • /
    • 2007
  • 본 연구는 정부 차원의 도서관발전계획인 문화관광부의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책평가방법의 하나인 SMART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미래비전, 발전목표, 역점 추진과제, 주요 사업내용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실성, 시간계획성 정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구성 요소별 평가결과, 미래 비전은 3.05, 발전목표는 3.09, 역점 추진과제는 3.15, 주요 사업내용은 3.12이었다. 둘째 SMART 평가 요소별 평가결과, 구체성은 3.09, 측정가능성은 2.99. 달성가능성은 3.12, 적실성은 3.24, 시간계획성은 3.10으로 나타나, 적실성은 우수한 반면에 측정 가능성에는 문제가 있다. 셋째, 발전목표의 평가결과, '지식과 정보가 함께하는 문화사랑방'이 '첨단기술이 어우러진 정보도서관'보다 우수하다. 넷째, 역점 추진과제의 평가결과, '도서관 콘텐츠 확충을 통한 이용자서비스의 내실화'는 우수한 반면에 '전문 인력양성 및 확충을 통한 도서관기능의 활성화'에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주요 사업내용의 평가결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고도화'는 우수한 반면에 '관종별 도서관의 기능 강화'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 '국민 독서문화 진흥'에는 문제가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 Surve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ies)

  • 표순희;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1-24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Public Library OPAC Interface)

  • 하은아;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국내 외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OPAC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OPAC의 이용행태, 기능요구도, 개선사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준수하며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료에 대한 완전한 서지 레코드를 입력하여 OPAC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이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69-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24개 공공도서관의 일반현황과 행정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 인력, 장서, 예산 현황을 살펴보고,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 "도서관법"과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행정조직의 체계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확충, 사서직원 충원, 장서 확충, 노인 대상 서비스 강화, 예산 증액, 정책담당 전담부서 신설을 제안하였다.

용산구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Current Operating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Public Library in Yongsan-gu)

  • 이혜은;신동희;류희경;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5-334
    • /
    • 2021
  • 본 연구는 용산구 공공도서관의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용산구 도서관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현황 분석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지역 특성, 도서관 시설, 인력, 장서 및 예산, 프로그램 등의 기본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용산구 지역 여건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사서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용산구 도서관의 문제점 및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도서관 건립 및 도서관 수 확충, 독서문화확산 및 지역특화프로그램 개발,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um-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65-283
    • /
    • 2012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하지만, 각 지자체마다 양적으로 도서관의 관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었지, 내실을 다지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현안 사항과 문제점 및 최근 정부차원의 발전계획 등을 고려하여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 장기 발전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고,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에 대한 SWOT 분석과 중 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셋째, 청주 청원 통합시 공공도서관의 권역별 건립 및 운영 추이를 고찰하였고, 넷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체계 확립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of the 2n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27
    • /
    • 2020
  • 국내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각 지자체마다 외부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 현황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청주시는 2011년에 제1차 계획(2012~2016)을, 2016년에 "제2차 청주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2017~2021)"을 수립하여 시행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청주시의 제2차 계획에 대한 중간 점검 성격으로, 2차 계획의 수립 내용과 현안 등을 분석하여 계획 대비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문화 환경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청주시 공공도서관 제2차 계획의 추진 전략과 운영 성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청주시 공공도서관 발전의 핵심요소인 조직체계 확충과 전문 인력 충원 및 예산지원 확대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