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2,141건 처리시간 0.031초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use Factors of the Visually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 오선경;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41-162
    • /
    • 2011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주민에게 지식정보와 평생교육을 제공하고 정보접근을 도와주며 정보격차를 줄여주는 중추적인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특히 지역사회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으로 간주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상당히 부실하고 시각장애인도 공공도서관을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인식도를 다각도로 조사 분석하여 상관성이 높은 공통된 요인을 추출하고 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났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정보접근 및 이용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Strategies for Improving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s at Archives)

  • 서은경;정경희;최상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92
    • /
    • 2006
  • 기록정보의 관리와 보존은 활용을 전제로 행해질 때 그 의미와 가치가 살아난다. 따라서 기록관들은 기록정보의 활용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록정보의 검색 및 열람이라는 단순 서비스를 탈피하여 이용자 중심의 보다 적극적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을 활발히 하고 있는 각국의 국립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유형별로 즉 1) 교육자와 학생을 위한 학습지원서비스, 2) 연구자를 위한 연구지원서비스, 3) 일반 이용자를 위한 특정주제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서비스 내용을 심층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국의 서비스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을 비롯한 기록관에서 기록정보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할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록관별 기록정보 이용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정보화 실태 연구 - 2012년과 2014년 비교 - (A Study the Informationization of Public Libraries: Comparing 2012 with 2014)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9-215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의 정보화 현황과 2012년과 2014년의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2년과 2014년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조사 내용은 정보화 일반현황, 소프트웨어, 디지털자료실, RFID, 디지털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통합서비스 현황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조사 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를 지역주민에 대한 전시적 효과에 치중하였다. 둘째, 정보화 담당인력이 부족하였다. 셋째, KOLAS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넷째,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미흡하다. 개선 방안으로 차세대 자료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 모바일 앱과 웹 서비스 확산, 디지털 콘텐츠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 방향으로 이용자의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 조찬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78
    • /
    • 2008
  • 사회적 기구로서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제 기능을 다하고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적이거나 관습적인 운영보다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이 실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전략이란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자료와 서비스의 차별화와 집중화를 통한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발전과 현황을 살펴본 후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특성화란 관점에서 자료중심과 서비스중심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 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나아가 도서관의 특성화 일반에 대한 이해의 증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의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모형화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vice Modeling for IR Agency Service in a Public Library and Its Expectations)

  • 김용;김태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5-215
    • /
    • 2006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은 정보의 대량생산과 함께 정보검색의 대중화를 가져왔으며, 검색포털사이트의 성장은 정보이용자들에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원으로서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 왔다. 이용자들은 검색포털사이트를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원으로 각인하고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 속에서 도서관과 사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보다 적극적이고 현실성 있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사회적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고 진일보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특히 공공도서관의 적극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으로서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제안하고, 이러한 서비스의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정보이용자에 대한 직접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친숙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화와 PDA등을 활용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가능성 및 방법론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경기도 공공도서관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for Gyeonggi-Do Public Libraries)

  • 송재술;신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7-226
    • /
    • 2013
  • 공공도서관에서 전자정보 서비스를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전문성 부족과 저작권 문제의 제약으로 활용 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 운영 사례와 경기도 및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도서관 전자정보 서비스 현황 분석을 통해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내 공공도서관 간 상호 협력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기관의 웹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경기도 내 시군 기관별 전자정보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협력형 정보서비스 모델 구현을 위한 기능요건으로 소장 전자정보 통합검색, 웹DB, 지역 기록물 원문DB, 온라인 참고봉사, 모바일 플랫폼 지원을 제시하고 시스템 관리 체계는 참여기관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하여 집중형과 분산형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절충형 모델을 제안하였다.

PUBLIC LIBRARY SYSTEM AND SERVICES IN TAMIL NADU : PERFORMANCE APPRAISAL

  • Babu B. Ramesh;Kumar S. K. Asok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44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최대주인 Tamil Nadu의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조직구조에 대해 개관하고 공공도서관의 성장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1975년부터 2006년에 걸친 기간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자원에 대한 통계데이터와 연차보고서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 PDF

국립의과학지식센터 서비스 발전 방안을 위한 연구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 (Research on Service Development Plan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Med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43-272
    • /
    • 2024
  • 본 연구는 세계 최대의 의학도서관인 미국 국립의학도서관과 국내 국립의학도서관인 국립의과학지식센터 서비스 비교·분석을 통해 그 개선점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선해야 할 핵심적인 서비스는 주제특화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자 유형별 서비스, 교육 서비스, 기술 및 시설·공간 서비스, 연구지원 서비스, 마케팅 및 홍보와 협력 서비스이다. 주제특화 서비스와 대국민 서비스는 전문도서관에서도 점차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용자 유형별 서비스를 통한 접근의 효율성이 필요하며 대상의 제한을 두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교육 서비스도 필요하다. AI, 가상현실 그리고 장애인 지원을 위한 기술·시설·공간 서비스, 연구윤리와 연구 보조금 및 프로그램 중심의 연구지원 서비스, 국내외 관종별도서관, 타 관련 분야 학회, 기관, 지역사회와의 협력 서비스를 통한 마케팅 및 홍보도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소비자건강정보(CHI) 관련 교육전후의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 노영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4호
    • /
    • pp.1-29
    • /
    • 2012
  •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는 적절한 건강진단을 위한 기본적인 건강정보 및 서비스를 획득하고 처리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사서들은 이용자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헬스리터러시도 향상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에게 적합한 건강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건강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서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측정하고 개선사항도 발견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CHI(Consumer Health Information) 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 증가, 교육후 이용자에 대한 교육증가 및 내용의 다양화, CHI관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하는 정보원의 다양화 및 전문화, 참고서비스에 걸리는 시간 절감 및 전문지식 부족의 한계에 대한 부담 감소 등의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서대상 CHI관련 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연구로 교육강사 및 주제의 다양성, 방법론 부분에서 많은 한계가 있었으며, 향후 보다 발전된 CHI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67-186
    • /
    • 2007
  • 정보격차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이주민, 농어촌 거주자, 도시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어떠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58개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하여 홈페이지 게시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국외 정보취약 계층 서비스 관련 지침 등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향후 공공도서관들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복지 실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사서들의 인식 개선과 특별한 유형의 자료와 정보접근기기의 효율적 구입 방안 등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