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ig data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3초

Interactions of Behavioral Changes in Smoking, High-risk Drinking, and Weight Gain in a Population of 7.2 Million in Korea

  • Kim, Yeon-Yong;Kang, Hee-Jin;Ha, Seongjun;Park, Jong He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4호
    • /
    • pp.234-241
    • /
    • 2019
  • Objectives: To identify simultaneous behavioral changes in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weight using a fixed-effect model and to characterize their associations with disease statu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7 000 529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biennial health-screening program every 2 years from 2009 to 2016 and were aged 40 or more. We reconstructed the data into an individual-level panel dataset with 4 waves. We used a fixed-effect model for smoking, heavy alcohol drinking, and overweigh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x, age, lifestyle factors, insurance contribution, employment status, and disease status. Results: Becoming a high-risk drinker and losing weight were associated with initiation or resumption of smoking. Initiation or resumption of smoking and weight gain were associated with non-high-risk drinkers becoming high-risk drinkers. Smoking cessation and becoming a high-risk drinker were associated with normal-weight participants becoming overweight. Participants with newly acquired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stroke, and cancer tended to stop smoking, discontinue high-risk drinking, and return to a normal weight. Conclusions: These results obtained using a large-scale population-based database documented interactions among lifestyle factors over time.

빅데이터활용을 통한 정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략 -서울시 재난안전관리를 중심으로- (Changes and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Service Paradigm through Using Big Data -Focused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Seoul City-)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59-65
    • /
    • 2017
  • 도시안전은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경쟁력을 지탱하는 기본적인 목표로 그 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재난재해의 위해요소가 가중되면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 정부의 경우 폭우, 폭설 등의 자연재해와 각종 사고 등 인적재난으로 인해 안전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분석을 통한 사전 예방효과를 높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효과적인 재난안전관리 차원의 정부서비스 극대화 측면에서 사례 분석을 시도하고 조례와 연계하여 반영된 전략적 의미를 모색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차박의 온라인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Perception of Chabak Using Big Data Analysis)

  • 김세훈;이환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1-81
    • /
    • 2021
  • 언택트 시대에 새로운 여행의 형태로 자동차를 숙박공간으로 활용하는 차박이 주목받고 있다. 저렴한 비용, 편의성, 안전성 등의 장점과 함께 독립적인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박의 특징으로 인해 차박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차박에 대한 인기와 관련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박 트렌드를 이해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새로운 형태의 여행 문화로 자리 잡고 관련 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차박에 대한 대중의 인식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믹스 이론과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차박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차박은 소비자 주도의 여행 문화로 자리 잡고 있고, 자동차 산업의 애프터마켓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경제적이고 현명한 방법으로 여행을 즐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 공유에 적극적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인 차박에 대한 초기 연구로써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무적 논의를 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지질자원기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민 인식 제고 방안 연구 : 언론 기사 중심으로 (A Study on Enhancement Method of Public Perception about Geoscience using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Media Article)

  • 김찬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3호
    • /
    • pp.273-28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질자원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지질자원기술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4월 14일까지 5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언론 기사 제목과 본문에 '지질자원기술'이 포함된 5,044건의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소 중심, 미국·중국·일본 중심, 포항시 지진, 연구원 원장 중심으로 주제어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중요 주제어는 지질, 산업, 광물개발, 환경, 에너지, 원자력, 지하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픽 분석 결과, 토픽들은 개별적으로 위치하지 않고 전문가, 환경,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상호 연계되어 있고, 미래, 산업, 글로벌 토픽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자원기술의 국민 인식 제고 방안을 논의하였다.

정보보호시스템도입에 따른 보안위협요소 대응방안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to security threa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 경지훈;정성재;배유미;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3-696
    • /
    • 2013
  • 정보보호시스템(Information protection system)기반의 IT 환경 구축이 보편화되면서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는 정보시스템 자원의 활용과 통합을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환경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클라우드 시스템(Cloud System), 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 빅데이터(Big Data), 빅데이터 보안(Big Data Security), 산업보안(Industry Security)등이 이슈화 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정보보호시스템(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구축에 따른 내외부적인 보안 위협요소 분석과 대응방안 수립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도입에 따른 여러 가지 보안 위협요소를 알아보고 특히 산업보안적인 측면과 내외부 보안위협요소에 관한 측면을 조명하여 대응방안 수립에 관한 기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대중교통 환승통행패턴 분석: 버스 지하철 간 환승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ransit Transfer Patter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Traffic Card Big Data: Focus on Transfer between Bus and Metro)

  • 권민영;김영찬;구지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71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약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확대 등 교통약자에 대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기존 대중교통 이동편의시설 설치는 역사의 면적, 층수, 시설 미확보역 등의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우선적 확대·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 기준 보다는 실제 이용자 기준의 설치 필요 지역에 이동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기반의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스마트카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승통행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용자별 환승통행패턴 분석 및 환승통행시간 차이가 큰 경로를 기준으로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교통약자의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과 교통약자의 환승통행시간 차이와 시설물 개수와의 상관관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장 조사 결과 환승통행시간 차이는 시설물의 단순 개수보다는 해당 환승최단경로 내 이동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 시 실질적 이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환승취약지점을 기준으로 우선적 시설 확보 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가 보다 더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ion of ship operational efficiency from AIS data using big data technology

  • Kim, Seong-Hoon;Roh, Myung-Il;Oh, Min-Jae;Park, Sung-Woo;Kim, In-Il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440-454
    • /
    • 2020
  • To prevent pollution from ships,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 is a mandatory guideline for all new ships. The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SEEMP) has also been applied by MARPOL to all existing ships. SEEMP provides the 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EEOI)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a ship. By monitoring the EEOI, the shipowner or operator can establish strategic plans, such as routing, hull cleaning, decommissioning, new building, etc. The key parameter in calculating EEOI is Fuel Oil Consumption (FOC). It can be measured on board while a ship is operating. This means that only the shipowner or operator can calculate the EEOI of their own ships. If the EEOI can be calculated without the actual FOC, however, then the other stakeholders, such as the shipbuilding company and Class, or others who don't have the measured FOC, can check how efficiently their ships are operating compared to other ship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the EEOI without requiring the actual FOC.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ship static data, and environment data that can be publicly obtained are used to calculate the EEOI. Since the public data are of large capacity, big data technologies, specifically Hadoop and Spark, are used. We verify the proposed method using actual data,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stimate EEOI from public data without actual FOC.

Level of Agreement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Between Nationwide Medical History Questionnaires and Hospital Claims Data

  • Kim, Yeon-Yong;Park, Jong Heon;Kang, Hee-Jin;Lee, Eun Joo;Ha, Seongjun;Shin, Soon-A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5호
    • /
    • pp.294-302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greement between medical history questionnaire data and claims data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between these data types. Methods: Data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an individual's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stroke, heart disease, and pulmonary tuberculosis were collected from a general health screening database for 2014. Data for these diseases were collected from a healthcare utilization claims database between 2009 and 2014. Overall agreemen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values were calcula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and was adjusted for age, gender, insurance type, insurance contribution, residential area, and comorbidities. Results: Agreement was highest between questionnaire data and claims data based on primary codes up to 1 year before the comple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was lowest for claims data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codes up to 5 years before the comple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en comparing data based on primary codes up to 1 year before the comple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overall agreemen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values ranged from 93.2 to 98.8%, 26.2 to 84.3%, 95.7 to 99.6%, and 0.09 to 0.78, respectively. Agreement was excellent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fair to good for stroke and heart disease, and poor for pulmonary tuberculosis and dyslipidemia. Women, younger individuals, and employed individuals were most likely to under-report disease. Conclusions: Detailed patient characteristics that had an impact on information bia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differing levels of agreement.

FAIR 원칙 기반 메타데이터 평가 프레임워크 (FAIR Principle-Based Metadata Assessment Framework)

  • 박진효;김성희;윤주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61-468
    • /
    • 2022
  • 최근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으로 디지털 플랫폼에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이터 관련 분야에서 (메타)데이터 품질, 서비스, 기능 등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FAIR 원칙을 데이터 품질 평가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럽 오픈 데이터 포털에서는 FAIR 원칙 기반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매년 보고서로 공개하고 있다. 이에 반해 공공데이터 포털에서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럽 오픈 데이터 포털에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FAIR 원칙을 국내 여러 공공데이터 포털 및 데이터 거래를 위해 구축된 빅데이터 플랫폼에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델 제안하고 평가를 시행한다. 제안한 성숙도 평가 모델은 공공데이터 포털 데이터셋 품질을 평가하는 모델이다.

공공플랫폼 구축사업의 거버넌스: 경기도 배달플랫폼 '배달특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A Public Platform Project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Special Delivery')

  • 서정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5-28
    • /
    • 2022
  • Recently, government agencies are actively adopting the platform model as a means of public policy. However, existing studies on the public platform are minimal and have focused on user experiences or the possibility of public usage of the platform model. Now the research concerning building governance structure and utilizing network effects of the platform after adopting the platform model in the public sector is keenly required. This study intended to ignite academic dialogue on the governance of public platforms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focused on a case of the 'Special delivery,' a public delivery app established by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latform and its governance struc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s releases, policy reports, and news articl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rame of Hagui's platform design factors and Ansell & Gash's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The results of the public platform analyses showed 1) incompleteness in the value trade-off accounting, which was designed for platform business based on general cost-benefit analysis, and 2) a closed governance structure that limits direct participation of diverse user groups(i.e., service provider, customer) in order to enhance providers' utility by preventing customers' excessive onlin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designing the strategy for accounting for value trade-offs and functioning governance structure for public plat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