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dvertising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발전정책: KOBACO와 CCTV 운영체제 비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Policy of Korea and China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ing on Comparison of KOBACO and CCTV Operating System)

  • 김나미;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71-182
    • /
    • 2014
  • 사회의 여러 가지 공공문제가 부각될수록 공익광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각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특성에 따라 공익광고의 주제가 다르며, 독특한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차이로 인해 공익광고의 운영체제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운영 주체인 KOBACO와 CCTV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3가지 범주(공익광고 운영현황과 공익광고의 주제 및 공익광고 관리감독)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5가지 공익광고 발전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제작전략과 제도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개정의료법 57조(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 개정)의 배경, - 광고의 사회적 윤리성과 공익적 가치 (Background of Revised Medical Law Article 57 (Revision of Medical Advertising Review System), - The Social Ethics and Public Value of Advertising)

  • 조은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0
    • /
    • 2019
  • The medical advertising review system which was revised and implemented on September 28, 2018, was reviv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ocial ethics and public value of advertising under 4 perspectives of advertising,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medical advertising, and suggest the meaning and expected effect of the preliminary medical advertising review system.

정부광고와 공공광고의 효과 측정: 정부·공공광고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Effect Measurement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Acceptance Proces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 김병희;손영곤;조창환;이희준
    • 광고학연구
    • /
    • 제28권6호
    • /
    • pp.7-34
    • /
    • 2017
  • 광고효과를 둘러싼 논의는 광고 연구의 가장 큰 갈래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하지만 정부 공공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과 관련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정부광고를 평가할 수 있는 지수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7대 도시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정부 공공광고의 창의성 평가 요인(독창성, 명료성, 적합성)과 정책 내용성 평가 요인(흥미성, 회피성, 상관성)을 토대로 수용자들의 인지, 태도, 행동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성과 회피성을 제외한 독창성, 명료성, 흥미성, 상관성은 정책 이해, 수용자 태도, 정책 구전의향 등 정부광고 효과를 창출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정책 이해도와 수용자 태도는 정책 구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매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정부 공공광고를 제작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Violation of Bans on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at Points of Sale in Viet Nam: Trend from 2009 - 2015

  • Le, Thi Thanh Huong;Tran, Khanh Long;Phung, Xuan Son;Do, Phuc Huyen;Phan, Thuy Linh;Nguyen, Ngoc Bich;Nguyen, Xuan Lam;Le, Vu Anh;Tran, Thi Tuyet-Han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1호
    • /
    • pp.91-96
    • /
    • 2016
  • Comprehensive bans on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were introduced through tobacco control legislation in Viet Nam, but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violations of the bans are very comm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end in violations of bans on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at points of sale in Viet Nam in the past six years and to explore any differences in the violation situations before and after the Law on Tobacco Control came into effect on 1st May 2013.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of violations of the bans on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at points of sale in 10 provinces throughout Viet Nam in four survey rounds (2009, 2010, 2011, and 2015). Variation in violation prevalence over time was examined by chi-square test using a Bonferini metho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y have influences on different types of violation. A level of significance of p<0.05 was used for all tests in this article. The most common form of violation was the display of more than one pack/one carton of a cigarette brand. Violation of bans on tobacco advertising increased while violations on promotion ban and on displaying tobacco decreased through time. Som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bans included surveyed years, types of points of sale, regions and areas where the points of sale were located. The enforcement of the bans did not improve even after the issuance and the enactment of the Law on Tobacco Control. This suggests that the monitoring and enforcement of bans on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at points of sale should be strengthened. Penalties should be strictly applied for violators as indicated in the current tobacco control legislation.

옥외광고를 활용한 공공 콘텐츠 사례연구: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ublic Contents in Out-Of-Home Advertising: Focused on Visual Characteristics)

  • 김운한;정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53-459
    • /
    • 2023
  • 본 연구는 공공매체 성격이 강한 옥외광고에서 공익광고 및 공공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금조성용 야립광고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주체는 주로 정부부처였으며 지자제 광고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광고 메시지는 대부분 정부와 공공기관 등의 정책홍보에 관한 내용이며, 기타 공공 콘텐츠 또는 공익 메시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셋째, 표현 측면에서는 텍스트가 시각적 요소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시각적 표현요소로 일러스트레이션이 주를 이뤘다. 이는 국내 야립광고의 공공 콘텐츠들이 주로 직접적인 정보 전달 목적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방송 환경에서 방송광고 공용인프라 활용 (Application Plan of Public Infrastructure for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in the New Circumstance)

  • 차유철;이수범;이희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5-101
    • /
    • 2012
  •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도래와 복수 미디어랩의 등장을 앞두고 방송광고의 공용인프라 구축과 활용에 대해 광고업계와 학계의 관심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조성되는 방송광고 환경에 따라 기존 코바코 코덱스의 가치를 분석하고 코덱스를 방송광고산업의 공용인프라로 사용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코바넷과 코덱스 시스템은 첫째, 방송광고 거래 시스템 인프라 둘째, 광고콘텐츠 활용 인프라 셋째, 광고산업 진흥 인프라 넷째, 새로운 수익창출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변화되는 방송광고 환경에서 방송광고 인프라 활용의 선행적인 연구로 업계와 학계에 시사점과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지상파 TV에서 중간광고 도입에 대한 태도: 일반인과 전문가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on Introduction Method of In-Program Advertising in Terrestrial Broadcasting Television: Comparison of Public and Professional Awareness)

  • 정진택;김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263-271
    • /
    • 2014
  • 디지털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이하여 인터넷, 케이블, 그리고 위성방송 및 IPTV 등의 뉴미디어의 성장으로 지상파 방송은 시청률 저하와 함께 광고비 또한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상파 TV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간광고 도입이슈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중간광고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지상파 TV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자는 의견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들 사이에 인식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중간광고 도입의 타당성 자료는 향후 중간광고 제도시행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정부 및 공공기관 광고의 문화적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dvertising Appeals in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Cultures)

  • 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53-158
    • /
    • 2021
  • 본 연구는 집단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 정부 및 공공기관 광고 콘텐츠에서 문화적 가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내용분석과 실험연구를 통하여 조사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1은 집단주의 문화 표본으로 선정된 한국과 개인주의 문화 표본으로 선정된 미국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쇄 광고가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가를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2는 두 문화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쇄 광고물의 소구에 대한 상대적 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두 가지 연구의 결과는 문화적 배경이 정부 및 공공기관의 광고 메시지 소구방식과 효과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는 글로벌 마케터와 광고주는 글로벌 환경에서 광고를 실행할 경우,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메시지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보여 주었다.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 규제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Regulation among Nations)

  • 리대룡;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6권
    • /
    • pp.209-257
    • /
    • 2004
  • 본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에 관한 다양한 규제들의 내용과 그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 한국의 비교광고 규제의 특성을 도출해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정확하게 도출해 내기 위해 현재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 규제의 특성을 고찰하고 보드윈(Boddewyn)의 1978년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어려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각국의 비교광고에 대한 규제를 살펴보면, 점차적으로 비교광고에 대한 합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거의 규제와 비교하여 비교광고에 대한 허용범위와 가이드라인을 법적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현재 한국의 비교광고에 관한 법적 규제 내용에는 과거와 비교하여 좀 더 구체적인 기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고, 이는 유럽 국가들의 가이드라인의 수준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A Hedonic Model Effects for Consumer-oriented Retargeting Advertis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Kim, Bo-Ram;Yoon, Yong-Ik;Chung, Man-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5-80
    • /
    • 2017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edonic Model for Retargeting Advertising Based on Consumer-centerd IoT space for offering useful, interest, and interactive information to consumer. And most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about Internet of Things but, this paper focus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humor, and interactive and analyze the attitude and clicks intention to Retargeting Advertising Based on Consumer-centerd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humor Advertising i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and click intention toward Internet of Things Advertising. But information Ad and interactive Ad affect positive to click intention. This is mean that click intention is more immediate reaction of consumers in the IoT space.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be designed in a more interactive elements that can lead to positive reaction of consumers on the Internet of Things be more effective if you advertise adverti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