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dvertisement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4초

의료기관 주 진료과목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 특성 (Characteristics of Medical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Departments at Medical Institutions)

  • 이동우;황병덕;박재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36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advertisement and quality of advertisement execu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departments based on 2-year case study of actual medical advertisements which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Additionally, this paper provides data which will help in the efficient planning of medical advertisements.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medical advertisements that were in local newspapers, etc.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3.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 2014 to November 2, 2014 (44 days). A total of 4,991 data points were acquired from newspapers supplied by the Busan Public Library directly to the researcher. Results : Accordi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the services of clinics had more medical advertisements than that of hospitals. Urology was the most advertised service of clinics while orthopedics and neurosurgery were the most advertised services of hospitals. Conclusions : In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for the technical advertising factor was evident according to the type of examinations. Some types of examinations showed definite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examinations.

TV광고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의 기호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Semiological Implication of Dance Images in TV Advertisement)

  • 박아영
    • 트랜스-
    • /
    • 제1권
    • /
    • pp.21-44
    • /
    • 2016
  • 본 논문은 광고와 무용이 어떤 기호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광고 안에서 그려지는 무용과 무용수의 모습이 가진 기호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무용으로 표현된 기호들이 광고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무용 그 자체의 기호적 의미를 재평가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무용을 수용하는 방식과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고 관련 제작자 및 연출가의 관련 자료를 확보 하였으며, TV광고에 나타난 신체기호로서의 무용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연구목적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미지 및 효과를 분석한다. TV광고 분석은 TVCF 홈페이지, www.TVCF.co.kr 자료를 참고로 연도별 광고에 활용된 무용분야의 빈도수 중 가장 많을 때인 2008년 TV광고4편 남광토건, 롯데백화점(프리미엄세일/상품권), 현대자동차산타페- 필로볼러스(Pilobolus), 2011년 1편 PNS더존샤시- 아레나 디 베로나(Arena di Verona)로 제한한다. 또한 각각의 광고를 반복적으로 본 결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기준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통선이 크게 바뀌는 부분과 화면 문구가 변경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무용의 이미지 분석은 신제 이미지(선, 의상, 표정), 무용 이미지(움직임의 형태, 질적 특성, 춤의 분위기)에 따른 구조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 TV광고에 나타난 기호적 무용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을 활용한 광고에서 무용이 가진 상징과 기호가 광고하려는 물질적 대상에 일치한다. 예컨대 이용우가 출연하는 TV광고에서 그의 기표로서의 움직임은 빠른 턴, 점프, 아쌈블레, 터닝 점프, 슬라이딩 등을 통해 남광토건 기업의 미래의 도전이라는 기의를 알 수 있다. 둘째, 발신자의 의도에 따른 무용수의 신체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반면, 무용 이미지의 경우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V광고에 나타나는 기호적 무용의 이미지는 대중들로 하여금 시청함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특히 TV프로그램 중에서도 광고는 선택의 여지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광고만을 시청하기보다는 방송사측에서 편성된 프로그램의 방영으로 부득불 자주 노출되며 이로써 오랜 시간 머릿속에 잔상으로 남게 됨으로 수신자 개개인의 생각과 특성여부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이처럼 광고는 일반인들이 예술문화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며, TV 광고를 통한 대중예술의 전파는 소수계층에게만 수용되었던 순수예술을 대중에게 폭넓게 노출시킴으로써 오늘날 진정한 대중문화로서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페이스북 광고의 구성요인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인과모형: 광고 적절성인식 매개효과 (A causal model of the influence of the constituents of Facebook advertisement on the WOM intension: Ad fitness mediation effec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81-89
    • /
    • 2019
  •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의 구성요인이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부가적으로 광고 적절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371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요인 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이스북 광고의 광고흥미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페이스북 광고의 맞춤정보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변인반응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페이스북 광고적절성 인식은 구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광고흥미성과 맞춤정보성 및 주변인반응성 속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에게 페이스북 광고로서 정체감이 있는 광고와 효과적인 광고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속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광고 캠페인의 소셜 네트워크 확산 구조에 대한 연구 (How do advertisements spread on social networks?)

  • 김유나;한상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61-16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 캠페인이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확산되고 있으며, 광고의 핵심 요인인 광고모델이 확산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패턴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맥주 브랜드인 '클라우드(Kloud)'를 수집 키워드로 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광고의 영향이 어떻게 SNS에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현'이 광고모델로 처음 등장한 'Good Body' 광고 집행 이후 2달 간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의 소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이후 클라우드에 대해 '?고 트렌디한 스타일', '맥주 브랜드', '맥주와 어울리는 음식', '럭셔리한 맥주 음용 장소', '여가 트렌드', 'SNS 활동'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라우드 광고 모델 '설현' 역시 모델 이미지를 브랜드에 전이시키는 동시에 광고의 USP 및 브랜드명을 잘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 모델이 소셜 미디어 상에서 광고와 브랜드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광고 캠페인의 SNS 상의 확산 구조와 패턴을 밝혀냄으로써 광고 캠페인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에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간접광고에서 제품 정보의 즉각적 검색을 지원하는 인터렉티브 동영상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Streaming Platform for Supporting Instant Retrieval of Product Information in Product Placement Advertisement)

  • 임현진;조대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31-938
    • /
    • 2020
  • 최근 크로스 미디어 이용의 확대로 대중들은 단순히 방송을 시청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중에 나오는 인물, 스토리, 제품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함께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시청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와 검색에 사용되는 디바이스가 달라 불편함이 있고 검색을 통해서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받는 시점의 차이로 대중들은 방송을 통해 간접광고를 접한 후 대상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광고주는 간접광고를 접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통한 간접광고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방송에 간접광고의 정보를 포함시켜 이용자에게 제품 정보의 즉각적 검색을 지원하는 인터렉티브 동영상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본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관심이 가는 제품이 나왔을 때, 이벤트를 주어 화면 속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고 광고주는 인터렉티브한 시청자의 반응을 제공받아 간접광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CSR광고의 모델속성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인과모형분석: 메시지 진정성 매개효과 (Analysis of Causal Model Attributes of Model Affects to Corporate Attitudes in CSR Advertising: Message authenticity mediation effect)

  • 김나미;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53-61
    • /
    • 2018
  • 본 연구는 CSR광고의 모델 속성(가치부합성, 매력성, 전문성, 신뢰성)이 기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CSR광고의 모델 속성과 기업태도에 있어 메시지 진정성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SR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 매력성, 신뢰성은 CSR광고의 메시지진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광고모델의 매력성, 전문성은 기업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SR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 매력성, 신뢰성과 기업태도의 관계에 있어 메시지 진정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CSR광고를 제작할 때 모델의 가치부합성, 매력성, 전문성이미지를 갖는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민족주의'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 진 캐주얼브랜드 '잠뱅이'의 광고 연구 - (Semiotic Analysis of Jambangee's 'Nationalism'Advertisement)

  • 김정은;홍기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6호
    • /
    • pp.949-963
    • /
    • 2000
  • Jambangee's advertisements in spring 1998 attracted public attention by the differentiating message of 'na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Korean youth's culture of consumption, value, thought and culture expressed in these advertisements. The semiotic analytic method of F. Saussure and R. Barthe were used. Metaphor and metonymy as interpretive tools were used. Two levels of meaning, denotation and connotation were examined, and idelogies and mythologies were sought. Contrary to the most of jean advertisements which show youth, characteristic style, western life style and westernized beauty, refinement, materialism, and social differentiation, Jambangee's advertisement showed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ese advertisements criticized that preference of imported goods and ostentation of purchasing power brought crisis of economy and I.M.F. system. Jambangee's jeans symbolized as the meaning of nationalism and patriotism were suggested as a way to save our country. Jambangee's advertisements are meaningful. Because we had accepted western fashion passively so far, but for the first time Jambangee applied Korean design elements to jeans and gave new meanings to them through the 'nationalism'campaign.

  • PDF

텔레비전 식품 광고에 관한 고찰 (Television Food Advertise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

  • 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07-515
    • /
    • 1996
  • Television food advertisemen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ach to consumers with food and nutritional informations and affect their eating behavior. Therefore, 218 food commercials were reviewed using video tapes and copies to know the present food product trends, food messages they transmit and define misleading food commercials. Messages were focused on the benefit of health promoting substances they contain, especially for functional food components, fortified nutrients, food safety focused on food additives, convenience and differentiation with other products. Overnutrition on specific nutrients could be expected due to nutrient fortified products and misleading of food commercials were also noted. Regarding trends, guidelines provided by television broadcasting company shoud be fortified in the connection of Food Hygine Law and supervision committe should reinforce the food company to summit data for the approval of their advertisement claims. Nutrition educational spot program shoud be produced and broadcasted for the public to protect the consumer from food faddism in near future.

  • PDF

건강기능식품의 표시·광고의 사전심의제와 관련한 문제점 (Prior screening of the advertisement for health functional food)

  • 김중권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4호
    • /
    • pp.325-333
    • /
    • 2018
  • If private discipline replace the strict administrative regulation, fundamental rights of protective essence can be relativized while if may be beneficial for the individual freedom. Assigning the state power to the private organization is equivalent to giving up the practice of individual liberty to the organized authority. It is important to make use of public law mechanism, particularly under the imperfect juristic system. Regarding the prohibition of prior censorship,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desirable to prioritize the freedom of speech over the rest of the legal benefit. Apart from this necessity, new advertisement screening mechanism was irreversibly - and controversially - introduced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since the unconstitutional verdict of the prior screening of advertisements. With this, the state must secure the broad order through legal regulations and norms in order to freedom of speech and other legal benefit can be harmoniously and practically guaranteed.

광고제도 변화가 방송 제작산업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Change of Advertisement Policy in Broadcasting Industry)

  • 노동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38-147
    • /
    • 2015
  • 광고정책은 새로운 방송사업자가 등장할 때마다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을 만들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해왔다. 하지만 지속적인 광고시장 위축은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을 제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 해체는 제작주체들로 하여금 광고 획득을 위한 과잉 경쟁 상황에 빠져들게 함으로써 제작비를 상승시키는 악순환 과정을 유발한다. 자유경쟁 시장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냉혹한 시장 원리에 방송 제작산업을 개방해두는 것이다. 시장에 존재하는 제작주체들의 적절한 수를 결정하는 것은 시장 자체의 기능이다. 따라서 경쟁에서 도태되는 제작주체들은 시장에서 퇴출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수신료 기반의 공영방송은 광고를 금지하는 방향의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