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y of Emotion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7초

Predictors of Obesity and Physical Health Complaints Among 911 Telecommunicators

  • Lilly, Michelle M.;London, Melissa J.;Mercer, Mary 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1호
    • /
    • pp.55-62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1) examine rates of obesity and physical health complaints among 911 telecommunicators; and (2) document the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psychological inflexibility, duty-related distress and dissociation, and psychopathology in predicting obesity and physical health complaints in this population.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911 telecommunicators from across the country (N = 758).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assessing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functioning. Results: A total of 82.5% of the sample reported a body mass index that fell within the overweight or obese category and an average of 17 physical health complaints within the past month. Peritraumatic reactions (distress and dissociation), emotion dysregulation,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had effects on physical health largely through psychopathology (alcohol abus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Conclusion: Development of adapt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with this population is needed.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Psychological Responses Induced by Emotional Stimuli for Children

  • Jang, Eun Hye;Eum, Youngji;Kim, Suk-Hee;Sohn, Jin-H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3-335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responses induced by emotional stimuli (happiness, sadness, anger, boring and stress) for children. Background: Many researches are interested in assertion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emo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emotion needs to be studied in view of the extended integration, not in view of respective property, because personality is deeply ingrained, and the relatively enduring patterns of thought, feeling and behavior and emotion can take advantag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itivities to situational cues and predispositions to emotional state.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personality and emotion for children are necessary in that childhood is an important period for formation of their personality and emotion expression and regulation. Method: Prior to the experiment, we made parents of 94 children rate personalities of their children, based on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 Results of 64 children without missing answers to all questions were analyzed. 64 children were exposed to five emotional stimuli and were asked to report the classification and intensity of their experienced emotion. Results: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the lower 25% and higher 25% scores in twenty sub-scales of K-PIC,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five emotional stimuli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ccuracy of emotion experienced by emotional stimul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lower and higher scores in Hyperactivity and Adjustmen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experienced emotion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tellectual Screening and Psychosis. Conclusion: Our result has shown that hyperactivity, adjustment, intellectual screening and psychosis influence the accuracy and intensity of emotional responses. Application: This study can offer a guideline to overcome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emotion studies for children and help researcher basically understand and recognize human emotion in HCI.

The Effect of Empathy induced by Positive Events on Subjective Value of Reward: Preliminary Study

  • 김종완;정대현;엄기민;한광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8-231
    • /
    • 2009
  •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human empathic behavior regarding to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Especially empathy is considered as a multidisciplinary study because of its wide application. However,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empathy induced by negative emotion and physical pain.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Loggia et al. (2008), is to investigate if empathy could be induced by positive events, and consequently if the positive empathy could increase subjective value of rewa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which involved eight participants, we could confirm the inducement of empathy by positive events significantly; its power is not so strong though.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empathy type (positive and no empathy) and whether the target received the reward or not. But if we would recruit more participants and additionally analyze correlation among trait/empathic state questionnaire, subjective ratings of the reward and emotion of the target, we suggest that this study would be valuable in that it could expand the empathy studies.

  • PDF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Suicidal Ideation in Firefighters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oderator)

  • 김성정;육성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92-101
    • /
    • 2018
  • 본 연구는 외상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소방공무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한국판 자살생각,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낮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가졌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성취정서의 국내외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Achievement Emotion)

  • 박서연;윤미선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35-58
    • /
    • 2017
  • 성취정서란 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로, 성취활동이나 성취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정서이다. 교육심리 분야에서 학생들의 동기와 정서에 대한 측면으로 연구의 관심이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진 성취정서 관련 연구들을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분석하고 구조화하여 성취정서 관련 연구의 흐름과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학업상황에 적합한 성취정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추출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으로, 국내 47편, 국외 58편, 총 105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기준은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나누었고, 연구시기는 기간을 통제하지 않고 분석하였으며, 연구내용에는 연구변인과 성취상황을 포함하였고, 연구방법에는 연구설계, 연구유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대상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국내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정서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크게 성취정서에 대한 척도개발 연구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연구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성취정서를 측정하는 대표적 척도인 AEQ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국내 성취정서 연구에 적합한 척도개발 연구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의 경우 동기, 특히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업적 정서조절과 관련된 연구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성취정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퍼지 논리를 이용한 색채 기반 감성 분석 (Color-based Emotion Analysis Using Fuzzy Logic)

  • 우영운;김창규;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5-250
    • /
    • 2008
  • 색채 심리학은 색채와 관련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색채는 상징성과 이미지를 지니는 동시에 인간과 심리적 교감을 나눈다. 각 색채는 희망, 열정, 사랑, 생명, 죽음 등 다양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여기에 각 색깔이 주는 독특한 자극은 인간의 감성과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방 모델링을 하고 그 모델링에 사용된 색상 정보를 분석하고 퍼지 소속 함수를 적용하여 소속도를 구한 후, 그 소속도를 퍼지 추론 규칙에 적용하여 각 색채의 빈도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후 그 색채에 따른 인간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색체 기반 감성 분석 기법을 알슐러와 해트윅(Alschuler and Hattwick)의 색채에 따른 감성 상태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기법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leep Quality

  • Gu, Xinyu;Hyun, Myo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1호
    • /
    • pp.25-31
    • /
    • 2019
  • Personality, especially neuroticism has been found related to be related with poor sleep quality. This study focused on emotion regulation, reappraisal and suppression, which can buffer or aggravate the effect of neuroticism influencing sleep quality. One hundred and forty two ordinary adult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were recruited and required to complete a package of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th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an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The result was that participants with higher neuroticism had poorer sleep qualities than those with lower neuroticism. Moreover, participants that had high neuroticism and high reappraisal had better sleep qualities. This means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neuroticism and reappraisal on sleep quality. However, suppress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sleep quality. These findings inferred that reappraisal plays an important moderating role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leep quality. Reappraisal cannot only prevent people high in neuroticism from sleep problems but can also buffer symptoms of sleep disorder by treating patient's negative emotions.

공포와 혐오 정서에 대한 아동의 심리생리반응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Evoked by Fear and Disgust Emotion Using Audiovisual Film Clips in Children)

  • 장은혜;우태제;이영창;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73-280
    • /
    • 2007
  • 많은 정서 연구에서 주관적 경험인 정서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 반응을 통하여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자율신경계 반응은 그 반응 패턴을 통하여 생리적 각성 여부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 연구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부정정서(공포와 혐오)를 느낄 때 나타나는 심리생리반응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47명의 아동(연령: 11-13세, 남: 23명, 여: 24명)을 대상으로 시청각 동영상(Audiovisual Film Clips)을 이용하여 공포와 혐오정서를 유발시킨 후, 이 때의 심리반응 및 자율신 경계 반응(ECG, EDA, PPG, SKT)을 측정하였다. 심리반응 결과, 공포정서는 100%, 혐오정서는 89.4%의 적합성을 보였고, 아동이 경험한 정서 강도(효과성)는 공포 4.05, 혐오 4.07 (5점 만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신경계 반응 결과, 두 정서 모두 대부분의 생리지표에서 안정상태와 정서상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정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포 정서에서는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수, 심박률,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호흡수, 심박률 분산의 고주파수 성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혐오 정서에서는 피부전도수준은 감소하고 피부전도반응의 수는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 공포 정서와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동 정서 유발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Protocol for Standardized Emotion Induction in Children)

  • 장은혜;양경혜;이정미;정명애;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381-392
    • /
    • 2009
  •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기쁨, 슬픔, 분노, 스트레스와 무료함의 다섯 가지 정서를 유발시키는 정서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하고자 실시되었다. 심상을 유발하는 이야기 음악 색깔 인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서를 유발시키는 상황을 구성하였다. 또한 정서 평가를 위하여 아동용 정서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아동은 다섯 가지의 정서 상황을 경험한 후, 자신의 정서 상태를 평가하였다. 정서 프로토콜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자기보고와 전문가의 행동 관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개발된 정서 프로토콜은 각각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별 비교에서는, 남아보다는 여아가 무료함을 더 강하게 느꼈으며, 학령 이후의 아동은 학령이전의 아동보다 슬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