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stress

검색결과 1,578건 처리시간 0.032초

우울장애 환자에서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시 심박변이도의 변화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Depressive Disorder after Physical or Psychological Stress)

  • 이종화;유재학;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1호
    • /
    • pp.15-20
    • /
    • 2018
  • 목 적 : 본 연구는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와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에 심박변이도 지수(heart rate variability index, HRV index) 검사를 시행하여 자율신경계 불균형이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어떻게 변화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우울장애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안정 시기,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자극을 준 시기동 안 각각 심박변이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긴장 정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로 측정하였고,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I, II (STAI-I, II)를 사용하여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안정 시기와 기립 시기, 안정 시기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 간의 각각의 자율신경계 관련 지수 변화를 보기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 ANCOVA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기립 시기에서 SDNN, LF/ HF의 유의한 증가(p < 0.01) 및 NN50(p < 0.05), pNN50(p < 0.0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서 SDNN (p < 0.01), RMSSD (p < 0.05)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기립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 SDNN, NN50, pNN50 지수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기립 시기만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자율신경계 불균형과 관련된 LF/HF ratio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나, 정신적 스트레스와 안정 시기, 두 스트레스 간 LF/HF ratio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정신적 스트레스에 비해서 기립시기에서 SDNN, NN50 및 pNN50의 유의 한 증가하였다는 것은 우울증 환자들이 정신적 스트레스에 비해 신체적 스트레스에 보다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mmigrants)

  • 박지영;이창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65-672
    • /
    • 2012
  • 본 논문은 전국의 여성결혼이민자 609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향수병을 제외하고 중간수준보다 낮았으며, 희망과 긍정적 복지는 중간수준을 상회하였고, 부정적 복지는 중간수준보다 낮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긍정적 복지와 희망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 향수병, 적대감, 두려움, 문화충격, 죄책감과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끝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차별감, 향수병, 적대감, 문화충격, 죄책감과 부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limate and Self-Resilience on Employee Perform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SURATMAN, Andriyastuti;SUHARTINI, Suhartini;PALUPI, Majang;DIHAN, Fereshti Nurdiana;MUHLISON, Muhammad Bak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1019-1029
    • /
    • 2021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limate, self-resili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CB) and job stress on employee performance during Covid-19 pandemic. This paper also attempts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OCB and job stress in this context. A confirmatory survey was conducted on 316 employees of several institutions in Indonesia who worked from home during Covid-19 for a minimum period of 2 months. The research revealed that 1) PC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OCB and performance; 2) Self resilience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3) PC and self-resilienc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4) there are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on OCB; OCB and job stress on performance; 5) PC and self-resilience have no indirect influence on performance through OCB and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organizations expected to have strategic approach in order to handle Covid-19 pandemic in different work patterns that are required to carry out routine office tasks from home, including handling stress as a fast adaptation for both employee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a routine task from home.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are worker' Enthusiasm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Job Stress -)

  • 김석건;김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69-580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1월 11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 383건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과 종사자 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종사자 열의에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귀비온담탕(歸脾溫膽湯)의 항(抗)스트레스 효과(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Stress Effect by Guibiondamtang)

  • 조진영;김지혁;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69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anti-stress effects of Guibiondamtang on several measures of stress, which were number of lever pressing, weight changes, water intake and gastroduodenal ulc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ple group in total number of lever pressin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hock duration and the shock length. 2. The median water intake during the stress was 25ml for the sample group and 17ml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median body weight losess after the psychological stress was given were 28g for the sample group and 35g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 mean frequencies of gastric ulcers induced by the psychological stress were 0.3 for the sample group and 2.3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mean lengths of gastric ulcers induced by the psychological stress were 0.3mm for the sample group and 2.8mm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6. The mean ratings of gastric ulcers induced by the psychological stress were 0.7 for the sample group and 1.9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Thus it may be concluded that Guibiondamtang has an antistress effect.

  • PDF

흡연 여대생의 성격유형별 신체 및 심리.정서 상태에 대한 연구 (Physical and Psychological-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Type of Personality in Female College Student who Smoke)

  • 김인숙;김귀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1-322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type of person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 smoker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2. The subjects were 119 female students who smok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91 (76.5%) A type and 28 (23.5%) B Type personality types, indicating that female student smokers were more frequently type A rather than type B. 2. Perceived health status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27.71{\pm}4.67$) perceived higher health status than those with type A ($26.53{\pm}4.60$) but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237). 3. Perceived stress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83.71{\pm}13.13$) perceived more stress than those with type A ($70.52{\pm}12.35$). 4.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47.21{\pm}8.53$) perceived more stress than those with type A ($45.42{\pm}7.32$)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277). 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tress (r=-0.300. p<0.004),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456. p<0.000).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r= .700, p<0.000). 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or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searchers should continually identify women's smoking behavior included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women's health. In addition, programs for impro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decrease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health motivation for women smokers.

  • PDF

음악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rap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 김영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31-452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21 patients who received hemodialysis in two hospitals located in Kwang Ju. The fourteen receiving treatment in one hospital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ven in the other hospital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gathered from December 14, 1992 to January 16, 1993 through questionnaires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package using frequency, t-test, paired t-test and Pearson Prod uct -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stress scores and quality of life scores before the treatment. 2. The mean score on the psychological stress scale for th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as 2.48 out of a maximum mean score of four, the items with high stress scores were “feeling of weakness and annoyed by everything”, “limitation of food”, “limitation of fluid”, “change in skin color” in that order. The psychological category showed the highest stress score followed by developmental, scoioeconomic and physiological stress categories in that order. 3.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t - test diastolic blood pressure decerased significantly(t=3.24, p=0.0064), but in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 test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different. 4.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re and post -test psychological stress scores or the depression scores. 5.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as 2.75 out of a maxi-mum mean score of five. The category of ‘emtional state’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self - esteem’, ‘physical state and function’, ‘economic lif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family relationship’ categories in that or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 - test quality of lif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6. Hypothesis 1 that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stress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is divided into two sub - hypotheses. 1) The first sub-hypothesis that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physiological stress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partly supported. Among three physiological stress indices (puls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only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second sub-hypothesis that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psychological stress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not supported. Psychological stress score and depression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7. Hypothesis 2 that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a higher quality of life score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d music therapy was not suppor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 PDF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Psychological Well-being)

  • 엄나연;김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19-630
    • /
    • 2016
  •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정도가 심각해지면서 단기간의 개입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통해 취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업 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자아탄력성(내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외적 변인)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감소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이상 재학생과 대학 졸업생 중 사기업과 공기업에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취업 준비생 26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 역할을 하는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조절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아탄력성은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지만, 사회적 지지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는 반면에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 김희진;문소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5-49
    • /
    • 2018
  •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소속 유소년축구선수 80명(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1명)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실험집단은 소규모(8-11명)로 나누어 주 4회, 45분씩,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운동스트레스척도와 운동선수 긍정심리자원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통해 동질성검정과 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p < .01). 운동스트레스 사전 사후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5), 둘째, 긍정심리자원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 < .01). 긍정심리자원 사전 사후점수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자원 지지와 긍정정서 유도를 통한 운동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긍정심리자원 형성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