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sychological-adaptation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5초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Early Adolescents in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 김종운;장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67-47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하 교복우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교복우사업 대상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5~6학년의 남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초기 청소년들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 세 가지는 자아탄력성, 심리적 가정환경, 정신건강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 모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환경변인인 가정환경은 개인변인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관계되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천적 함의측면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정책이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 김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5-235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breastfeeding adaptation from among the following: parity and feeding behavior,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factors. Methods: The respondents were 179 breastfeeding m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 to 19, 2009 at two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one pediatric outpatient depar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breastfeeding adaptation were related to number of children, current problems related to breastfeeding, and lay supporters. 2) Level of breastfeeding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proportion of breastfeeding, length of previous breastfeeding, planned length of breastfeeding, parenting stress, and encouragement to breastfeed given by medical personnel. 3)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current problems related to breastfeeding, and proportion of breastfeeding explained 44.3% of variance for breastfeeding adaptation. Length of previous breastfeeding also explained 9.7%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mong mothers who had breastfed an elder child. Conclusion: Mothers with lower marriage satisfaction, breastfeeding problems, and higher parenting stress require more help from their family and nurses for breastfeeding adapt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variables, such as mother's and baby's behavior related to breastfeeding,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and attitude toward breastfeeding.

결손가족 중학생과 일반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의 비교 (The Relation of 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Broken Family)

  • 김수진;김명식;여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25-53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결손가정 중학생과 일반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해보고, 일반가정과 결손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학교생활에 주는 영향을 비교 및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결손가정 중학생이 일반가정 중학생에 비해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과 낙관성 등의 긍정심리자본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결손가족 중학생이 일반가정 중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가정과 결손가정 중학생 모두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수준 간에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일반가정 중학생의 경우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성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결손가족 중학생의 경우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만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과 낙관성 등의 긍정심리자본이 모두 긍정적 상관에 있지만, 여러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만이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이 양상은 일반가정 중학생과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상담에서는 여러 가지 상담적 개입이 중요하지만, 특히 삶에 대한 희망을 증진시키도록 노력하고 개발해야 한다는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대학 경호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Student on Department Security Programs in University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 강민완;김선아;심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18-327
    • /
    • 2010
  • 이 연구는 대학 경호학과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지역 대학 경호학과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표집 된 332명의 유효 표본을 컴퓨터에 개별입력 시킨 후, Window용 SPSS 17.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심리육체, 외부상황은 생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질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심리육체, 외부상황은 부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질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심리육체는 긍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심리육체, 외부상황은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공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 환아의 극복력, 가족지지와 질병적응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Diabetes Adaptation in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 김용미;방경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21-3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ease adaptation and related factors for the pediatric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diabetic children or adolescent whose age were 10 to 18 years old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in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earch tools measuring resilience, family support, psychological adaptation, Hemoglobin A1c (HbA1c) protein were used. Results: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religion, academic achievement, father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Psychological adaptation to diabe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HbA1c was shown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Positiv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while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HbA1c and all others includi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as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o enhance the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for the pediatric diabetic patients.

Psychiatric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amputations

  • Jo, So-Hye;Kang, Suk-Hun;Seo, Wan-Seok;Koo, Bon-Hoon;Kim, Hye-Geum;Yun, Seok-H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94-201
    • /
    • 2021
  • Amputation changes the liv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nsequently, the patient must adapt to altered body function and image. During this adaptation proces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an occur.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tients with amputation are often accepted as normal responses that are often poorly recognized by patients, family members, and their primary physicians. Psychological problems can interfere with rehabilitation and cause additional psychosocial problems. Therefore, their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are important.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includi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ideal for comprehensive and biopsychosocial management. Mental health professionals could help patients set realistic goals and use adaptive coping styles. Psychiatric approaches should consider the physical, cognitiv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functions and social support systems before and after amputation. The abilities and limitations of physical,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patient's adaptatio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such as short-term psycho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indfulness meditation, biofeedback, and group psychotherapy can be helpful.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가 남한 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self-enhancement bias to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in South Korea)

  • 채정민;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101-126
    • /
    • 2003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자기고양 편파가 성격, 사회적 관계, 문화적 측면 중 어느 것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하고, 이 자기고양 편파가 우울감과 생활만족감이라는 심리적 적응 지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이탈주민들과 남한 주민들이 자기고양 편파와 문화적 측면에서 얼마나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서 북한이탈주민 대학생과 남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고양 편파 수준과 사회적 바람직성을 비교하였는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 121명을 대상으로 자기고양 편파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측면의 영향력 비중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낙관성의 순서대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지각된 차별감과 사회적 바람직성은 자기고양 편파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지만, 회귀분석에서는 설명량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는 우울감과 생활만족도 모두에게 부적인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로 남자 북한이탈주민들이 보인 경향성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주목을 끄는 것이다. 반면에 여자 북한이탈주민들이 보인 경향성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이었다.

  • PDF

한국 대기업 중년 남성 임원들의 비자발적 퇴직 이후 적응과정 연구 (A Study of Conglomerate Executives in Adaptation Processes after Involuntary Retirement)

  • 구자복;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379-407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기업 중년 남성 임원들의 비자발적 퇴직 이후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심리적·사회적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퇴직 임원 13명(남성, 평균 58.2세)을 대상으로 퇴직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경험과 이에 대한 평가나 해석에 대해 심층면담하고 그 내용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준비'와 '배우자 지원'이 적응 선행요건이었다. 적응 과정에서 출발점은 '현실 수용'으로, 과거 삶의 재평가, 다양한 변화들을 인정하고 과거에서 탈피, 평범한 50대 퇴직자로서 자신의 모습을 수용, 불안과의 동거, 적절한 시간의 필요 등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그 다음 이들은 인지적·정서적 재평가와 삶의 가치를 재정비하고, 일의 의미와 목표를 재구성하면서 미래를 설계했으며, 새로 선택한 활동들을 중심으로 '심리적 재구조화'와 '자아정체성'을 재정립했다. 이들의 퇴직과 퇴직 후 적응은 심리적·사회적 자본이 충족되었던 임원 재직 경험에 대한 대립과정이자, 이로 인한 부적응적 대처 양상에 대한 스토리이며, 이후 인지·정서·행동 차원에서 이러한 부조화를 극복해가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서사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이나 국가 그리고 퇴직자에게 퇴직에 대한 대처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행동적 학교 적응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 ) (Primary Study of Developing Program far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Adaptation to School Violence( I ))

  • 송정아;김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6호
    • /
    • pp.35-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peer\`s deviant behavior, schoo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violence through a mass media, mediated by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 behavioral maladjustment. The present study was the primary research of developing program for adolescents'psychological & behavioral adaptation to school violence.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 the theoretical model was specified, estimated, and evaluated for adequacy of statistical fa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74 adolescents drawn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eong-ju. The model was supported by the data. Family violence, peer's deviant behavior, schoo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violence through a mass media explained directly the variance of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psychological & behavioral maladjustment. The results shows that adolescents'psychological & behavioral maladjustment can be viewed as products of the interac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violence. Accessibility of violence through a mass media was strongly related to school violence. Also, school violence was the strongest risk factor in relation to adolescents'behavioral maladjustment while school environment to adolescents'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refore, prevention program for school violence should consider the psychological & behavioral components within the environmental context.

  • PDF

The Effect of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Kim, Moo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3호
    • /
    • pp.51-62
    • /
    • 2022
  •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managers who are recognized as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the company and the adaptive performance of the members. To this end,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the final 255 data was verified as follows using the SPSS 21.00 and AMOS 21.1 version statistical programs. First, the higher th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manager, the higher the adaptive performance of the members. Third, a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al members improved, adaptation performance improved.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emb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sumption (+) o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in that it provides addition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ace of insufficient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